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육 패러다임 : 합리모델 vs 창조모델 본문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교육 패러다임 : 합리모델 vs 창조모델

대한민국 교육부 2017. 6. 29. 17:17

 

교육 패러다임 : 합리모델 vs 창조모델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방식 및 정책(자유학기제, 거꾸로 교실, 혁신학교 등)들은 학생들의 자유로운 탐색활동 및 창의성 증진을 위해 힘을 쓰고 있는 중이다. 과연 이러한 노력들은 교육의 변화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쳐왔을까?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대표적인 교육패러다임 2가지를 비교하며 우리나라 교육을 분석해보려 한다.

 

교육패러다임은 크게 합리모델과 창조모델로 나뉜다. 합리모델은 20세기의 산업사회에서 합리성(이성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체계이다. 반면에 창조모델은 현재 21세기 창조사회에서 직관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되, 합리성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사진 1] 합리모델 vs 직관모델 비교표 

(출처: 2017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4차 산업혁명과 교육혁신: 교육공학의 리더적 역할 자료집)

 

위 표를 참고하여 두 패러다임의 대표적인 특징을 살펴보자면, 합리모델은 확실하고 예측 가능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논리적·체계적으로 협동을 하며, 효율적인 방식으로 효과적인 결과를 낳기를 추구한다. 그에 비해 창조모델은 불확실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직관적으로 판단해야하는 상황)에서 실패에 대한 긍정을 가지고 새로운 도전을 하려는 특징이 있다. 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예를 들어보자면, 정해진 매뉴얼과 같은 체계적인 방식을 바탕으로 사고를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합리모델이며, 자신의 직관(일종의 본능)에 따라 특정한 사고방식을 거치지 않고 창조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직관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방식을 살펴보면, 아직까지 학생들은 이론적·형식적으로 정해진 틀 내에서 학습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정 범위 내에서 대학입시라는 예측 가능한 목표를 기준으로 효과적인 결과를 낳기 위해 공부를 하는 것은 합리모델이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마음이 가는대로 하고 싶은 것을 하기 보다는 학교시간표, 학원스케줄과 같이 미리 구체적으로 체계화된 틀에 따라 움직이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은 직관적인 태도를 함양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창의력 및 순간 대처능력 등을 중시하는 최근 세계의 흐름에는 적응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주입식이면서도 일 방향적이라는 지적을 받던 우리나라의 교육의 문제점(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의 저하, 자유로운 탐구환경 부족 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방안들(자유학기제, 거꾸로 교실 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새로 실시되는 이러한 교육방안들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및 탐구능력 등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봐야할 것이다.

 

 

[사진 2] 20세기(합리) vs 21세기(창조) 부연설명 표 

(출처: 2017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4차 산업혁명과 교육혁신: 교육공학의 리더적 역할 자료집)

 

위의 표는 앞서 말한 합리 및 창조모델들의 특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는 표이다. 21세기가 접어들면서 우리교육은 과거와 조금씩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과거에는 잘못된 부분에 대하여 지적하는 ‘Feedback(피드백)’이 아니라, 학생들이 해내온 것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어떤 식으로 나아갈 것인지에 대한 ‘Feed forward’가 대두되고 있는 시점이라는 것이다. 물론 아직도 많은 교육현장에서는 틀린 부분들을 바르게 고쳐나가야 한다는 기존의 방식을 따르고는 있지만, 점점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이루어낸 것들을 토대로 앞으로 진전하기 위해 조언을 해주면서 힘을 실어주기도 한다. 또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할 것은 최근 교육현장에서 많은 학생들이 상황의 변수 및 변화에 당황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침착하게 그에 맞는 해결방안을 탐색한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매뉴얼대로 문제해결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나가곤 했는데, 그 안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지는 경우에 우왕좌왕하며 결국에는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변수(예측 불가능한 상황)에도 적절하게 대처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이다.

 

 

이렇게 합리모델·창조모델이라는 크게 두 가지의 교육패러다임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이 두 패러다임이 우리나라 교육에서도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아직까지는 정해진 방식대로 학생들이 따라가며 일종의 사고과정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합리모델이 지배하고는 있지만,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학생들이 점점 직관을 바탕으로 변수에 대처하며 실패에 두려워하지 않고 창의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며 성장하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학생들이 자유롭게 탐색하며 사고하는 경향이 더욱 넓어질 것이라 보이며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 교육이 좀 더 창의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암시한다. 

 

 



  

<참고 자료>

 홍영일 행복수업(www.hong01.com)

    



2017 교육부 블로그 기자단 이연수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