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환한 보름달 아래서 만끽하는 풍요로운 가을날, 추석이 왔어요! 본문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환한 보름달 아래서 만끽하는 풍요로운 가을날, 추석이 왔어요!

대한민국 교육부 2017. 9. 28. 22:51



환한 보름달 아래서 만끽하는 풍요로운 가을날,

추석이 왔어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 추석의 어원과 유래

 

음력 팔월 보름, 우리 민족 최대 명절 추석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문구를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지요. 한가위가 추석을 뜻하는 우리 옛말이라는 것을 모두 알고 계시죠? '' '크다', '가위' '가운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따라서 한가위란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입니다. 추석, 중추절 등이라 불리게 된 것은 후대에 와서라고 합니다. 또한 추석(秋夕)을 글자대로 풀이하면 가을 저녁이니, 이는 더 나아가 달빛이 가장 환한 가을밤, 달이 유난히 밝은 명절이라는 의미를 품고 있답니다.

 

추석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합니다. 고대 사회에서 어두운 밤은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보름달은 인간에게 큰 도움을 주었고, 가장 큰 보름달이 뜨는 8 15일에 축제를 벌이게 되었다는 설도 그 중 하나이지요. 추석의 유래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문헌 자료는 전해지지 않지만, 우리나라의 삼국사기나 중국의 문헌들을 살펴보면 추석은 신라시대에 이미 세시명절로 자리 잡아 있었다고 합니다. 고려시대에도 9대 속절(俗節), 조선시대에도 설날, 한식, 단오와 함께 4대 명절로 꼽힌 추석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지요.

 


(출처-한국세시풍속사전, 사진 주병수)

 

농경사회에서 전래된 추석은 농공감사일, 즉 한 해 동안의 풍성한 수확에 감사하는 뜻을 기리는 날입니다. 추석 전에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하여 여름 동안 묘소에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베어주고, 추석날 아침에는 햇곡으로 빚은 송편과 각종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합니다.

 


 "가을 맛은 송편에서 오고 송편 맛은 솔내음에서 온다" - 추석의 대표 음식, 송편

  


 

(출처-한국세시풍속사전, 사진 주병수)

 

풍요롭고 즐거운 명절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맛있는 명절 음식입니다. 대표적인 추석 음식으로는 송편이 있지요. 송편은 본래 계절과 상관없이 특별한 날에 축하의 의미로 먹는 음식이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송편이 추석의 대표 음식으로 꼽히는 것은 추석이 한 해 중 갓 수확한 햅쌀로 송편을 빚을 수 있는 유일한 명절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추석에 만드는 송편은 올벼(보통 벼보다 철 이르게 익는 벼)’로 만든 송편이라는 뜻에서 '오려송편'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가을 맛은 송편에서 오고 송편 맛은 솔내음에서 온다'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송편의 '()'도 소나무를 일컫습니다. 송편을 찔 때 솔잎을 사이사이에 깔아주면 송편이 서로 달라붙지 않고, 솔잎의 향이 베어날 뿐 아니라 살균효과도 있어 송편을 더욱 오래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환한 보름달이 떠오르는 추석에 즐겨 먹는 송편은 달의 모양을 본 따 만들어졌습니다. 반죽을 둥글게 편 모양은 보름달이었다가 소를 넣고 접으면 반달이 되니, 달을 우러렀던 우리 조상이 달이 차고 기우는 모습을 송편에 담아낸 것이라는 유래도 전해지고 있답니다.




 "달 떠온다 달 떠온다~♪ 강강술래~♬" - 추석의 대표 놀이, 강강술래

  


 

(출처-한국민속예술사전, 사진 국립민속박물관)

 

송편이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이었다면, 추석을 대표하는 놀이로는 대부분 강강술래를 가장 먼저 떠올릴 것입니다. 중요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된 강강술래도 달과 연관이 깊은데요. 이는 농경사회에서 풍요를 상징하는 보름달에 비유되는 놀이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놀이로 율동미가 돋보이는 강강술래는 손을 잡고 둥그렇게 도는 원무가 대표적이지만 고사리꺾자, 덕석몰이, 청어엮자, 문열어라, 기와밟기, 남생아놀아라 등의 다양한 놀이도 함께 행해집니다.

 

그밖에도 추석에 즐겨 하는 전통 놀이에는 줄다리기, 가마싸움, 소놀이, 거북놀이, 소싸움, 닭싸움 등이 있습니다. 한 해 농사의 마무리를 하는 시기이자 이듬해의 풍농을 기리는 시기인 추석에는 이러한 놀이들을 통해 풍요로운 농사를 기원하고, 이듬해의 농사를 점쳐보기도 합니다.

 



 "할머니, 할아버지!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 절 하는 방법

  

추석에는 평소에 찾아뵙기 어려운 가족들이 한 데 모여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그에 앞서 오랜만에 만난 친지 어른들과 올 한 해에도 풍성한 곡식과 열매를 거둘 수 있게 해준 조상님께 바르게 절을 올릴 방법을 꼭 알고 가는 것도 중요하겠지요?

   

절을 하는 예절은 성별에 따라 다릅니다. 우선 차례상을 기준으로 남자는 오른쪽 여자는 왼쪽에 서야 합니다. 절을 할 때에는 두 손을 지긋이 잡고 있는 공수가 중요한데요. 평상시 공수는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합니다.

 

 


 

남자는 공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리면서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으면서 절을 합니다. 발은 오른발이 위로 오도록 합니다. 일어날 때는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를 짚고 일어납니다.

   

여자는 공수한 손을 들어 어깨 높이만큼 올리고 시선은 손등을 바라봅니다.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은 다음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데, 왼발이 위로 오도록 합니다. 이어서 윗몸을 살짝 앞으로 굽힌 다음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나 두 발을 모은 후 두 손을 내려 공수한 후 가볍게 묵례를 하면 됩니다.

 

올 추석은 특히 긴 연휴 기간 때문에 많은 이들이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려왔을 텐데요, 환하게 차오른 보름달처럼 행복과 즐거움이 마음에 가득 차오르는 풍요로운 한가위 되세요 여러분!

 

<참고 자료>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folkency.nfm.go.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네이버 지식백과] 추석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백미영. 2017. “햅쌀로 빚는 송편 한가위 보름달 반으로 접었을까”, 전남일보, 2017 9 15.

한성현. 2015. “다가오는 추석, 절하는 방법은? [TV지식용어]”, 시선뉴스, 2015 9 16.




2017 교육부 블로그 기자단 / 황유리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