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주거 (2)
교육부 공식 블로그

전공 서적부터 학원비까지 대학생들의 지출이 늘어가고, 또 다양해져가는 가운데, 높은 대학가의 주거 비용은 많은 학생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학생들은 다양한 주거 형태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절한 주거 시설을 찾기 위해 노력하실 것 같아요! 그러나 대학에 갓 입학한 새내기들이 각 주거 형태의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하기란 쉽지 않을거예요. 많은 새내기들은 광고나 부동산의 말만 믿고 주거 시설을 선택하여 불만족스러운 계약기간을 보내곤 합니다. 저 역시 몸과 마음이 불편한 1학년 생활을 보낸 한 명입니다. 하지만 더 이상 자신과 맞지 않는 주거 형태를 선택하는 대학생들이 없도록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가 '대학생 주거 형태 전격 비교'를 준비했습니다! 기숙사 생활 2년 + 자취 3년 차 언니가 다양한 주..
촌락의 생활 - 농촌, 어촌, 산촌 ■촌락의 위치와 기능에 따른 분류 촌락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 평야에 있는 것을 야촌(野村), 해안에 있는 것을 해촌(海村), 산간에 있는 것을 산촌(山村)으로 구분해요. 또한 주민이 어떤 모습으로 생활하고 있는가에 따라 농업에 기반을 둔 농촌, 어업이 이루어지는 어촌, 임업과 목축을 주로 하는 산촌으로 구분하기도 하지요. 우선 농촌에 대해 알아볼까요. 농사는 지형, 기후, 토양 등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농촌의 입지는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물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답니다. 평야 지역의 촌락에는 주민의 대다수가 농사를 짓고 생활하기 때문에 촌락의 위치가 평야에 위치하고 있다는 야촌과 농촌은 같은 말로 사용되기도 하죠. ▲농촌(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