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보도자료) 즐기고 소통하는 창의적 과학교육, 본격 추진 본문
즐기고 소통하는
창의적 과학교육, 본격 추진
‣ 학생 스스로 참여하고 즐기는 과학수업
‣ 첨단과학·인문학이 어우러진 탐구활동 중심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
‣ 교육 기부, 과학 대화, 평생교육 통해 사회와 소통하는 과학교육 실현
교육부는 2월 26일(금), 과학을 ‘즐기고, 누리고, 나누는’ 창의적 과학교육 구현을 위한 「과학교육 종합계획」 을 마련하고 ’16년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계획은 과학·과학교육, 산업, 인문·사회, 문화·예술 등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시·도교육청, 학교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계획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Science for All)’을 강조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학생, 교원, 학교, 사회가 어우러져 과학을 함께 즐기고 배우는 창의적 과학교육 분위기 조성을 위한 종합 계획을 담고 있습니다.
「과학교육 종합계획」 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과학을 즐길 수 있는 교육여건 조성】
학생들 스스로 즐겁게 과학을 배우고 탐구할 수 있도록 과학중심융합인재교육(이하 STEAM교육)을 연계한 거꾸로 과학교실*과 학생 중심 과정·참여형 수업을 도입‧지원하고, ‘과학토론형’, ‘탐구실험형’, ‘자율탐구활동형’ 등의 다각적인 과정중심 평가를 실시합니다.
*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 학생들이 수업 전 다양한 방법(동영상 등)으로 학습 내용을 습득하고, 수업시간에는 학습 내용을 토대로 과제수행, 토론, 문제풀이 등 진행
※ 모델개발(‘16년)→ 시범 학교운영(’17년)→ 일반학교 확산·적용('18년)
또한 메이커활동*과 연계한 ‘스스로 과학동아리’를 확대**하여 학생 스스로 도전하고 시도하는 과학적 태도를 길러, 실제 과학적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의 창작·제작 교육을 지원합니다.
* 메이커활동 :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기술기반의 제품서비스를 구상하고, 조립·개발하는 활동
** (‘16년)17,000개→(‘17년)18,000개→(‘18년)20,000개→(‘19년)21,000개→(’20년)22,000개
*** (예시) 에디슨 프로젝트 : 팀의 주제별 과정이나 결과에서 실패나 경험을 위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재도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과학을 즐기고 몰입할 수 있는 학교 환경 조성】
2015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라 신설되는 초·중학교 통합단원과 고등학교의 ‘과학탐구실험’이 운영될 수 있도록 교구설비 기준을 마련하여 필수 교구를 확보하도록 지원하며,
※ ('16년)과학탐구실험을 위한 과학교구 설비기준 마련→(‘17년)학교급별 필수 교구 확보
기존의 과학실을 첨단 과학실험 및 STEAM 탐구활동이 가능한 창의융합형 과학실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16년)모델개발→(’17년)100개 시범운영→(’18년)500개→(‘19년)1,000개→(’20년)2,000개
창의융합형 과학실은 미래형 과학교실에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체험 실험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ICT) 첨단과학기술과 미술, 음악, 인문학 등이 융합된 첨단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지원합니다.
* IOT(사물인터넷) 활용 수업 예시 : 학교주변 하천에 수온 감지기를 설치하고 인터넷 연결 디지털 측정 장치로 생태변화 측정, 데이터를 수집‧분석·예측
아울러, 과학 분야에 우수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며, 연구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몰입할 수 있도록 과제연구 및 연구교육(R&E, Research & Education) 프로젝트 학습 환경을 일반계 고등학교까지 확대*하고, 과학중점학교의 특성화모델을 개발하여 교육청 주도의 자율적인 과학중점학교**를 확대·운영할 계획입니다.
* R&E지원: (‘16년)450개→(’17년)520→(‘18년)700개→(‘19년)850개→(’20년)1000개
** 과학중점학교 확대:(‘16년)120개→(‘17년)150개→(‘19년)200개
【아이디어(IDEA)*형 과학교사상 구현】
* Interest(흥미와 관심), Development(개발과 혁신), Engagement(참여와 실천), Association(창의와 융합)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흥미·관심 분야의 전문성을 개발·혁신하도록 하여 창의적인 융합교육을 실천하고 참여하는 IDEA형 과학교사 양성을 위해, 과학교사 연구 집중 제도를 도입하여 우수 과학교사에 대해 국내외 대학·유관기관과 연계한 파견·연수 기회를 제공하며, 과학교사 연구회를 확대 지원할 계획입니다.
※ 교사연구회 (‘16년)500개→(‘17년)650개→(’18년)800개→(’19년)900개→(‘20년)1,000개
【세상과 나누며 소통하는 과학교육 실현】
학생들이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학관련 이슈 등을 통해 과학기술의 중요성과 역할을 실생활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과학적 가치 판단* 및 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지원할 계획입니다.
* 과학적 가치판단 및 윤리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16년)하여 자유학기제 및 방과후 교실 등에 활용
**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17년), ’청소년 과학말하기“ 대회 개최('17년)
또한, 과학문화 저변 확대를 위해 과학기술 전문가, 교사 및 전문 기관의 교육기부 활성화를 지원하여 과학교육을 둘러싼 사회적 참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과학기술 전문가와 대중의 소통 기회 확대, 평생학습 관점에서 과학문화 사업 전개 등 과학교육의 기반을 다집니다.
이준식 부총리는 “이번 과학교육종합계획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기르고 창의적인 과학교육을 통해 미래 세대에 필요한 핵심 역량이 함양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습니다.
■ 과학교육종합계획 주요내용
○ 추진배경
과학교육진흥법 제3조에 따라 과학교육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기본 틀을 제시하는 정책 마련 필요
○ 기본방향
○ 주요과제
‘모든 이의 과학적 소양’을 강조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 착근할 수 있도록 지원체제 구축
ㅇ 과학탐구실험** 과목을 대비한 과학교구·설비기준 마련(‘16) 및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과학탐구실험 프로그램’ 개발‧보급(‘18~)
* ‘15.9.23 고시, ('17년) 초1, 2학년, ('18년) 중·고1학년부터 연차 적용
** 자연현상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과 융복합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대주제 중심의 ‘통합과학’ 과목과 탐구실험 강화를 위해 ‘과학탐구실험’ 신규 개설
ㅇ 교육과정의 현장 착근시 문제 분석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교사워킹그룹 운영 및 교원 역량강화 연수 실시
ㅇ 과정 중심의 평가 강화를 위해 평가 방안을 연구하고 시범 운영을 통해 확대
※평가모델 개발(‘16)→시범운영(’17)→일반학교 확선(‘18년)
모든 학생들이 과학을 ‘스스로’, ‘즐겁게’ 학습하고 도전하는 과학적 태도 함양
ㅇ 거꾸로 과학교실* 등 ‘학생 능동 수업’ 도입을 통해 학생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실 수업 변화 유도
*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 : 학생들이 수업 전 다양한 방법(동영상 등)으로 학습 내용을 습득하고, 수업시간에는 학습 내용을 토대로 과제수행, 토론, 문제풀이 등 진행
ㅇ 가정환경, 성별, 장애에 관계없이, ‘과학 재능과 꿈을 가진‘ 아이를 행복한 과학기술인의 길로 이어주는 ‘사다리프로젝트’ 추진
ㅇ 실패를 통해 스스로 배우는 자기주도형 ‘스스로 과학동아리*’ 지원 확대를 통해, 도전하고 시도하는 과학적 태도 함양
* 팀별로 정한 주제에 대한 과정이나 결과단계에서 실패했던 사례나 경험을 위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재도전하는 것을 당초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로 계획하여 추진
ㅇ 메이커 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구현해 볼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의 청소년 창작·제작 교육 지원
* Maker Education Initiative 사례 : 오바마 대통령의 ‘Educate to Innovate' 캠페인에 따라 메이커 활동과 연계, 학생의 수·과학 실력 향상을 목표로 추진 중인 교육 프로그램
ㅇ 자유학기제 및 창업 연계 과학기술 진로교육 강화
교사 중심 활동에서 벗어나 우수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 확대
ㅇ 과학중점학교의 특성화 모델 개발을 통한 질적 강화와 함께, 시도교육청 주도 자율 과학중점학교를 도입하여 일반고에도 과학교육 확대
※ (‘16년)교육부120개→(‘17년)교육부130개/교육청20개→(‘19년)교육부150개/교육청50개
ㅇ 한국형 과학중점학교 모델 및 성과를 공유하고, 다양한 학술교류의 기회 제공을 위한 「과학중점학교 페어」 신설·개최
ㅇ 대학·연구소와 같은 주제로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R&E (Research & Education) 프로젝트 학습의 일반고 확대
※ (‘16년)450개→(’17년)520개 선정·지원→(‘18년)700개→(‘19년)850개→(’20년)1000개
ㅇ 중학교에 프로젝트 기반학습 도입‧지원
※ (’17년)100개→(’18년) 200개→(‘19년)250개→(’20년)300개(전체 중학교의 10%)
첨단 과학 기술이 학교 안으로 들어오는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
ㅇ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ICT를 활용한 다양한 과학교수학습이 가능한 환경으로 기존 과학실 개선 및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보급
※ ('16년)모델개발→(’17년)100개 시범운영→(’18년)500개→(‘19년)1,000개→(’20년)2,000개
교사 전문성 신장 및 과학교육 인프라 연계를 통한 과학교육 지원 체제 강화
ㅇ 예비교사 단계부터 퇴직까지 단계별로 교사 전문성을 신장
ㅇ 과학교사 연구회 확대하고 이를 중심으로 학교‧지역단위 과학교사 학습 공동체간 교류 지원 및 우수성과 공유
ㅇ STEAM 내실화 및 중기 계획 수립
ㅇ 과학 분야에서 학생이 도달해야 할 기준 및 소양을 마련하고,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학제를 연결하는 단계별 과학교육 표준 마련
ㅇ 과학실험실 관리 체계 운영 강화 및 안전관련 학생‧교원 교육 강화
사회 속 과학기술 이해 증진 및 과학문화 저변 확대를 통해 과학교육의 발전 기반 조성
ㅇ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학 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증거기반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학생 및 교사에 대한 교육 시행
※ 유전자조작 식품, 지구온난화 등 글로벌이슈에 대해 자기주도적 자료 수집, 협동 학습을 통해 주장과 근거 공유, 글쓰기, 프레젠테이션 및 토론을 통해 의사결정
ㅇ 과학윤리교육, 과학적 의사소통 교육 등 다양한 사회 속 과학이해프로그램 추진
ㅇ 과학소통 전문가 발굴‧양성 및 연구대중화 콘텐츠 개발을 통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도 향상 및 쌍방향 소통 기회 확대
ㅇ 평생학습 관점에서의 과학문화 사업 전개 및 관리 체계 구축
02-26(금)조간보도자료(과학교육종합계획 발표).hwp
'교육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교육부 블로그 기자단 최종합격자를 발표합니다! (0) | 2016.02.29 |
---|---|
(인포그래픽) 정부 출범 3주년 교육 정책 성과 (0) | 2016.02.29 |
(보도자료) 교육부, 『학생 감염병예방 종합대책』 마련 (0) | 2016.02.29 |
(해명자료) 「초등 국정교과서에서 위안부 용어와 사진 삭제 돼」 관련 (0) | 2016.02.26 |
(보도자료) 초·중·고생 신체발달, 건강검진 등 표본분석 결과 발표 (0) | 2016.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