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3D프린터 대중화 개척자 에이드리언 보이어 교수 본문

교육정보

3D프린터 대중화 개척자 에이드리언 보이어 교수

대한민국 교육부 2017. 6. 19. 18:10

  "메이커에게 길을 묻다" 

3D프린터 대중화 개척자

에이드리언 보이어 교수





1986년 3D프린터가 세상에 모습을 보인지 30여년의 시간이 흘렀다. 3D프린터는 이제 소수의 기술자나  기업만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특수한 기기가 아니다. 조작기술과 설계도가 모두에게 오픈되었기 때문이다. 누구나 기기를 저렴하게 구입하여 이 오픈된 소스를 바탕으로 어떤 상품이나 물건을 출력, 소유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적어도 그러한 가능성이 사람들에게 확실히 각인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기술의 민주화’는 1인 제조업을 증가시켰고, 4차 산업혁명의 흐름으로 꼽히는 제조업 혁신과 메이커 운동  확산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3D프린터 대중화의 선각자로 불리는 RepRap 프로젝트의 창시자 에이드리언  보이어(Adrian Bowye) 교수와 함께 3D 프린터와 현재와 미래에 관련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안녕하세요,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에이드리언 보이어입니다. 저는 영국의 바스 대학교(University of Bath)에서 기계공학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을 가르치며 3D 프린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지금은 렙랩  제품을 연구, 판매하는 ‘RepRap Ltd’를 설립, 활동하고 있습니다. 
 

렙랩 프로젝트의 첫 3D 프린터 ‘다윈’과 다윈으로 만들어낸 복제 3D 프린터 
 


 Q. 최근 3D 프린터는  단순히 신기한 기계가 아니라  산업현장과 가정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일상과 환경 모두를  바꾸어버릴 기기로서  예측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바로 교수님의 RepRap프로젝트인데요. 산업계의 리눅스에 비견될  이 프로젝트를 소개 부탁 드릴게요.


렙랩(RepRap)은 ‘신속한 프로토타입 복제(Replicating Rapid-Prototype)의 줄임말로, 렙랩프로젝트는 ‘3d프린터로 3d프린터를 만들자’는 자가복제를 향한 오픈소스 운동을 의미합니다. 즉 이 프로젝트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3D 프린터 부품을 생산하여 새 3D 프린터를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프린터를 통해 프린터 부품을 프린팅하고, 프린팅한 부품을 조립하여 새로운 프린터를 만들고, 또 새로운 프린터로 새로운 부품을 프린팅할 수 있게 되는 것. 재미있지 않나요?



 Q. 렙랩 프로젝트(Reprap Project)를 어떤 동기로 시작하셨나요? 또 그 과정과 결과는 어땠나요.


3D 프린터의 시작 시기는 생각보다 오래 전입니다. 1986년 찰스 헐(Charles Hull)이 SLA방식의 3D 프린터를  최초로 고안한지 수십 년이 지났지만 그 동안 가격이 너무나도 비쌌죠. 저희 렙랩 프로젝트를 시작할 당시  조형기기로서의 3D 프린터의 대당 가격이 4,000달러 선이었습니다. 일반인이 구입하기에는  너무나 힘든 금액대였죠. 낮은 비용으로 많은 사람들이 3D 프린터를 이용해서 기기의 가능성을 끄집어 낼 수  있도록, 더 많은 사용사례와 방법들이 나올 수 있도록 해보자. 이 지점에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희는 당시 3D 프린팅 방법 중 하나인 용착조형공정(FDM, fused deposition modeling)기법의 기술특허가 만료되었는데, 이 기술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3D 프린터를 공개했고, 이 공개된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낸 3D 프린터의 제작비는 400달러선이었습니다. 시간과 들이는 노력을 감안해도 그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  것이죠. 그만큼 많이 사람들이 3D 프린터에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장되었습니다.

3d 프린터는 제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 기계일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실현시킬 수 있는 생산도구가 된 것이죠. 
 


 Q. 이 굉장히 의미 깊은 정보와 기술을 공개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공개 결정 당시의 랩 분위기도요.


공개 이유는 간단합니다. 가격과 기술의 정보공유가 그런 발전을 가로막고 있었던 것이었고 저희는 단지 그 족쇄를 타이밍 좋게 풀어낸 것입니다.

저희의 기술을 남들 못쓰게 막으려 했다면, 누가 그 기술을 가져다 쓰는지 머리가 아프도록 찾으려 다니느라  남은 인생 모두를 낭비했을 것입니다. 욕심이고 낭비죠. 재미있게 일하고 행동하는데 굳이 무언가를 더 욕심 낼 필요는 없죠. 단지 그것입니다. 저희 모두들 이를 공감했기에 함께 모여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이고요.

시작 당시에는 정말 작은 규모 작은 공간이었습니다. 정부지원금 2만 파운드와 제 박사과정 조교, 그리고 학부생 제자 모두 3명이었죠. 이렇게 시작하여 제 생각과 구상을 인터넷에 공개했고 곧 14명의 자발적 참여자가 생겼습니다. 모두 정말 열정적이었죠. 
 

(좌) 3D 프린터 다윈 / (우) 3D 프린터 ‘멘델’ 
 


 Q. 교수님과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정보공유를 향한 마음은  메이커의 가치와 부합합니다. 메이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D 프린터를  가장 잘 활용하고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은 산업계 사람들과 더불어 ‘메이커’들일텐데요.


메이커들이야말로 3D 프린터를 또 다른 가능성의 궤도로 이끌어 올려줄 중요한 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기술을 이해합니다. 그리고 기술을 자신이 원하는 또 다른 기술로, 또 다른 무언가로 만들어나갑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들은 그런 자신들의 행동을 즐깁니다. 또 그러한 행동을 공유하죠. 이들이 존재하기에  제 프로젝트가 힘을 얻고, 생명을 얻어 이어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자가복제 오픈소스 3D프린터를 연구, 개발하고 부품을 판매하는 RepRap Ltd 사이트.



Q. 3D 프린터는 미래의 변화상을  결정한 중요한 기술일 것입니다. 교수님께서 생각하시는 근미래는 어떤 모습인가요.


많은 분들이 물어봐 주시는 질문입니다. 지금의 생산-유통-소비 시스템은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거나 외국에서 물건을 수입하고, 이것을 수많은 유통단계를 거쳐, 상점에 도착한 물건을 사게 되는 절차를 거칩니다. 하지만 3D 프린터는 이 시스템을 통째로 바꿀 수 있죠. 필요한 물건이 생기면, 다른 사람이 인터넷에 올린 해당 물건의 설계도를 다운 받아, 집에 있는 3D 프린터로 실물을 뽑아내는 것. 이것이 현실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이미 현실화된 부분도 많죠. 
 

3d프린터로 만든 스탠드 

 
 Q. 최근 진행하시고 있는 프로젝트나 이후 계획은?  


요즈음 AI에 대한 혁신적인 결과물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루 하루가 놀라온 것이 지금입니다.
한 예로 아마존에서 ‘알렉사(Alexa)’라는 음성인식 인공지능 비서 시스템을 내 놓았습니다. 놀라운 음성인식과 사물인터넷을 통합한 시스템입니다. 그 인터페이스 기기가 에코닷(Echo Dot)인데, 이것과 유사한 시스템에 대한 시도로 EchoPi를 진행하고 블로그에 공개했습니다.

EchoPi프로젝트는 단 5달러의 라즈베리 파이 제로(Raspberry Pi Zero)와 동글(USB WIFi dongle), 그리고 토드 메데마의 파이썬코드(Todd Medema’s WeMo Python code)를 이용해 사물인터넷과 음성인식과의 결합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것입니다. 거대규모의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이렇게 IoT관련 실험과 시도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을 전해주고 싶었습니다. 
 


 Q. 렛츠메이크 독자들에게 한 말씀.


3D 프린터를 비롯해 자유롭게 공개, 공유되는 기술을 통해 필요한 물건들을 만들어가는 미래.
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갔으면 좋겠습니다.



   *RepRap LTD Echopi 확인하기 
1) https://reprapltd.com/2016/11/21/echopi/
 2) https://github.com/RepRapLtd/EchoPi

 *토드 메데마의 WeMo 파이썬 코드
https://github.com/toddmedema/echo

 *에이드리언 보이어 웹페이지
http://adrianbowyer.com/about.html

 *에이드리언 보이어 Github페이지
https://github.com/AdrianBowyer  


 
기획_ 한국과학창의재단
글_ 허대찬 Let’s make 에디터
사진_ 아모스 두들리 웹페이지(http://amosdudley.com/)
프로젝트 페이지(http://amosdudley.com/weblog/Ortho)

출처_ 메이크올 뉴스레터 Vol.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