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ADHD)과 창의성 본문

교육정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ADHD)과 창의성

대한민국 교육부 2017. 10. 13. 19:47


 


미국에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ADHD)’과 ‘주의력 결핍증 (ADD)’은 이제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에게서 이런 증상이 나타나고 있기에, 좀 과장되게 표현해서 ‘질병’이라고 부르기에도 어색할 정도이다. 미국의 테드 (Ted) 강연에서 ‘창의성의 죽음’을 선고함으로써 세계적 스타가 된 켄 로빈슨 (Ken Robinson)은 ADHD성향이 있었던 어느 뛰어난 무용수 이야기를 소개했으며, 최근 하버드 대학교의 한 교수는 대부분의 ADHD는 가짜이며, 약물이 필요한 정도로 진단이 나오는 ADHD환자는 매우 극소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관련 영어기사 https://curiousmindmagazine.com/harvard-psychologist-says-adhd-largely-fraud



 

또한 연이어 미국에서 최근 발표된 책 <The Power of Different>의 저자인 게일 살츠 (Gail Saltz) 박사의 CNN 기사는 ADD와 성공하는 창업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다루기도 했다.

관련 영어기사 http://edition.cnn.com/2017/03/09/health/learning-disabilities-mental-health-genius-parenting/index.html



 ADD 주의력 결핍 장래르 가진 수많은 창업자



10년 동안 미국에서 내로라하는 작가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는 80%의 작가가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했지만, 비슷한 지능을 가진 타분야 종사자에게서는 30%만이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충동조절능력이 낮은 ADD가 있는 사람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제 활동으로 옮길 확률이 높다는 것도 알아냈다. ADD는 주변에서 이런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다. "너 왜 지금 이 상황에서 그런 말을 해?" 한 마디로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 연관성이 없는 것에 자꾸 관심을 둔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것을 "장애 (impaired)"라고 딱지 붙인다. 하지만 소설가에게는 이런 얼핏 보기에 연관성 없는 것을 연결시킬 수 있는 생각의 뭉게구름 같은 흐름이 곧 창의적인 능력이다.


그래서 ADD 또는 ADHD증상과 창의성의 연관성을 1995년 처음으로 발표하고 주변 어른들이나 진단을 받은 본인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매우 구체적으로 다룬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ADHD의 증상을 간략하게 알아보자.


 

 


 


 

 ADHD가 의심될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문제 행동이 말 그대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창의력과 같은 특별한 능력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문을 열어놓아라.

2. 평생 동안 창의적 행동 표현과 ADHD의 행동표현을 공부하면서 그 방면에 대한 지식을 쌓으라.

3. 관찰과 기록을 통해서 어떤 상황에서 특정 행동이 나타나고 줄어드는지를 파악하라.

4. 아이에게 멍 때림, 상상, 얼빠짐의 상태가 끝나고 난 직후에,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물어봐라.



 심리학자나 의사에게 상담에 대한 권유를 받았을 때


1. 상황이 허락된다면 언제나, ADHD뿐만 아니라 영재성이나 창의성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는, 또는 적어도 그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는 전문가를 찾아라.

2. ADHD 체크리스트 외에도 창의성이나 창의력 검사 도구를 활용해서 체크해보라.



 아이가 ADHD로 진단 받았을 때


1. 다른 전문가의 의견도 받아 보라.

2. 메칠페니데이트 (methylphenidate)나 다른 약물을 권유를 받았다면 약물에 대한 위험성을 생각해보라.

3. 교육적 자극이 별로 없거나, 도전적이지 않은 쉬운 커리큘럼을 권유 받았다면, 비판적으로 따져보자.

4. 학교에만 의존하지 말고, 아이가 학교 밖에서도 창의력과 자존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

주의할 것은, 단순히 ADHD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모두가 창의적이다라는 의미로 해석해서는 절대 아니며, 창의적인 사람들은 모두 ADHD적인 행동을 한다라는 오류적 해석 또한 피해야 한다.


 


※ 영어논문 출처 : http://nrcgt.uconn.edu/research-based_resources/cramond



인터뷰와 글_최도원
출처_ 크레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