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 2018 글로벌 역량 결과 발표 본문

보도자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 2018 글로벌 역량 결과 발표

대한민국 교육부 2020. 10. 22. 18:00

◈ 우리나라 학생,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 평가에서 우수한 성취와 태도 확인


[교육부 10-22(목) 18시보도자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 2018 글로벌 역량 결과 발표.pdf
0.83MB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성기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 2018의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결과를 2020년 10월 22일(목) 18:00**에 분석·발표하였다.

**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 프랑스 파리 시각 2020년 10월 22일 11:00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2018에서는 만 15세 학생들의 읽기, 수학, 과학 소양 평가와 더불어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중의 하나인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을 혁신적 평가 영역으로 추가하여 최초로 평가하였다.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이란 ▴세계적(global) 및 상호문화적 사안(issue)을 설명하고, ▴서로 다른 관점과 시각을 이해하며, ▴서로 다른 배경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집단 ‘웰빙(Well-being)’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행동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역량이다.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은 설문과 인지적 평가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2018에 참여한 79개국(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37개국, 비회원국 42개국) 중학생 설문66개국(회원국 27개국, 비회원국 39개국)이, 인지적 평가27개국(회원국 11개국, 비회원국 16개국)이 참여하였다.

※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2018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 평가 구성 및 방식

▪ 전체 4개 차원에 대하여 학생 설문(4개 차원) 및 인지적 평가(3개 차원)로 측정

차원

학생 설문

인지적 평가

1. 지역적, 세계적, 그리고 상호문화적 사안(issue) 설명하기

2. 타인의 관점과 세계관을 이해하고 인정하기

3. 문화 전반에 걸쳐 개방적이고 적절하며 효과적으로 상호작용에 참여하기*

×

4. 집단의 웰빙(Well-being)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행동하기

* 3번 차원은 시험 방식의 측정이 용이하지 않아 인지적 평가에서 제외
※ 설문 결과: 학생 설문에 참여한 경제협력개발기구 27개국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태도 및 성향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지수(index)로 제시함
※ 인지적 평가 결과: 인지적 평가에 참여한 전체 27개국의 정답률을 제시함

글로벌 역량의 4개 차원별설문 및 인지적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지역적, 세계적, 그리고 상호문화적 사안(issue)설명하기’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과 인지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글로벌 이슈(global issue)에 대한 자기효능감*’지수는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높게, ‘글로벌 이슈(global issue)에 대한 인식’ 지수는낮게 나타났다.

* 자기효능감: 행동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

 

<‘지역적, 세계적, 그리고 상호문화적 사안(issue) 설명하기’ 관련 지수>

구분 지수

글로벌 이슈(global issue)에 대한 인식

글로벌 이슈(global issue)에 대한 자기효능감

대한민국 평균

-0.3

0.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0.0

0.0

※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을 0, 표준편차를 1로 하여 표준화한 수치

-인지적 평가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평균 정답률은 46.7%로,참여국 평균보다 약 9%p 높았다.

 

<인지적 평가에 참여한 27개국의 평균 정답률>

 

 

② ‘타인의 관점과 세계관을 이해하고 인정하기’ 차원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과 인지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 설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 다른 문화권 사람에 대한 존중, 이민자에 대한 태도’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높게 나타났다.

 

<‘타인의 관점과 세계관을 이해하고 인정하기’ 관련 지수>

                  지수
구분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

다른 문화 학습에
대한 흥미

다른 문화권
사람에 대한 존중

인지적 적응성*

이민자에 대한
태도

대한민국 평균

0.2

-0.1

0.2

-0.1

0.5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평균

0.0

0.0

0.0

0.0

0.0

* 인지적 적응성: 새로운 요구 및 도전이 제기되는 문화적 환경이나 상황에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적응시킬 수 있는 능력

※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을 0, 표준편차를 1로 하여 표준화한 수치

-인지적 평가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평균 정답률은 49.4%로,참여국 평균보다 약 11%p 높았다.

 

<인지적 평가에 참여한 27개국의 평균 정답률>

③ ‘문화 전반에 걸쳐 개방적이고 적절하며 효과적으로 상호작용에 참여하기’ 차원의 측정은 설문만 시행하였으며,

- 설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지수는 0.4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높게 나타났다.

 

<‘문화 전반에 걸쳐 개방적이고 적절하며 효과적으로 상호작용에 참여하기’ 관련 지수>

구분 지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대한민국 평균

0.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0.0

※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을 0, 표준편차를 1로 하여 표준화한 수치

 

④ ‘집단의 웰빙(Well-being)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행동하기’ 차원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과 인지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자신이 세계 공동체와 연결되어 있고 공동체 구성원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는‘글로벌 이슈(global issue)에 대한 주체성’지수는 0.5로높게 나타났다.

 

<‘집단의 웰빙(Well-being)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행동하기’ 관련 지수>

구분 지수

글로벌 이슈에 대한 주체성

대한민국 평균

0.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0.0

※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을 0, 표준편차를 1로 하여 표준화한 수치

-인지적 평가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평균 정답률은 40.4%로,참여국 평균보다 약 7%p 높았다.

 

<인지적 평가에 참여한 27개국의 평균 정답률>

인지적 평가에 대한 평균 점수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509점을 얻어 27개 참여국전체의 평균 점수(474점)보다35점높게 나타났다.

 

최고 5수준과 최저 1수준으로 구분되는 인지적 평가의 성취수준은 우리나라의 경우 3수준과 2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성취수준별 학생비율(%)

- 대한민국 (5수준) 4.4, (4수준) 14.5, (3수준) 24.7, (2수준) 24.6, (1수준) 17.7, (1수준미만) 14.2

- 참여국평균 (5수준) 4.3, (4수준) 9.3, (3수준) 16.2, (2수준) 21.2, (1수준) 22.5, (1수준미만) 26.5

 

우리나라 여학생의 평균 점수는 518점으로 남학생의 500점보다 18점이 높았으며(27개 참여국 평균 점수차 26점), 27개국 중 26개국에서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국제본부는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은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이기에순위 없이 국가별 평균 점수만 산정하여 제시하였음을 강조하였다.

 

<참여국별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인지적 평가 결과 평균 점수>

국가명

전체학생
평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국가

 

국가명

전체학생
평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국가

싱가포르

576

 

 

몰타

479

러시아

캐나다

554

 

 

칠레

466

세르비아

홍콩(중국)

542

스코틀랜드(영국)

 

세르비아

463

칠레~코스타리카

스코틀랜드(영국)

534

대만, 홍콩(중국)

 

콜롬비아

457

코스타리카, 세르비아

대만

527

스코틀랜드(영국)

 

코스타리카

456

콜롬비아, 세르비아

스페인

512

크로아티아, 대한민국

 

브루나이

429

알바니아, 태국

대한민국

509

크로아티아, 스페인

 

알바니아

427

브루나이, 태국

크로아티아

506

대한민국, 스페인

 

태국

423

알바니아, 브루나이

라트비아

497

이스라엘

 

파나마

413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이스라엘

496

그리스~라트비아

 

인도네시아

408

모로코~파나마

리투아니아

489

슬로바키아~이스라엘

 

카자흐스탄

408

모로코~파나마

그리스

488

이스라엘~러시아

 

모로코

402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슬로바키아

486

리투아니아~러시아

 

필리핀

371

 

러시아

480

그리스~몰타

 

참여국 평균

474

 

*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 점수를 500으로 두고, 표준편차를 100으로 하여 척도화한 점수

 

전진석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2018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이 전반적으로우수한 성취와 태도를 보였다.”라고 설명하면서, “세계시민교육, 다문화 교육, 인권교육,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등에 대한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교육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 결과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붙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2018 개요 및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 설명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