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회 (151)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출제방향 4교시 : 사회/과학/직업탐구 4교시 :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출제의 기본 방향 한국사 영역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한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하였다. ◦ 단원 시대별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 위주로 출제하여 학교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이라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출제 범위 한국사 영역의 출제 범위는 한국사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에 맞추었다. 문항의 소재..

초등 3~6학년 '사회, 수학, 과학' 교과서 검정 전환계획 예고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7월 30일(화) 「초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교육부 훈령) 일부 수정 고시안을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 현재 국정인 초등 3~6학년 사회·수학·과학 교과용 도서를 검정으로 발행체제를 전환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그 동안 학생들의 기초・기본 능력, 문화적 정체성과 바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기본 교과는 국정체제를 유지하여 왔다. - 최근 급속한 사회변화와 새로운 지식 및 기술의 발전 등에 따라 학생들에게 특정 개념과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교육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성․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을 위해 발행체제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확산되었다. - 이를 반영하여 교사의 수업재구..

사회부총리의 부처간 사회정책 조정 역할 강화를 위해 교육부 차관보 직위 신설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사회부총리의 사회정책 조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부에 차관보를 신설하고 실무인력을 증원하는 내용으로 「교육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정령안을 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차관보 직위 신설은 교육․사회 및 문화 분야 등의 정책을 조정하고 협력을 유도하는 사회부총리 역할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여,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목표인 ‘혁신적 포용국가’를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번에 신설되는 교육부 차관보는 사회관계장관회의 간사로서 부처 간 실무협력을 조율하며, 사회정책 분야, 사람투자·인재양성, 평생․미래교육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사회부총리를 보좌하게 됩니..

√ 초등사회 교과서 수정은 교육과정에 따라 바로잡는 것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절차에 따라 수정하였습니다. √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18년 교과서를 교육과정의 취지와 내용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 초등 사회 교과서 196곳은 맞춤법 등 단순 수정과 정확한 서술울 위한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초등6_사회교과서_수정_문제없습니다 #사실은이렇습니다 #사이다 #교육부 #교과서 #사회교과서
고구려를 이어받은 발해 ■ 고구려 장군의 아들 대조영, 고구려를 이어받는 나라 '발해'를 세우다.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중국 동북 지역을 중심으로 약 700년간 존속해온 고대국가입니다. 훌륭한 사냥, 기마기술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를 호령하였으나 서기 668년, 결국 당나라에 의해 무너지게 되었죠. 고구려의 멸망으로 인해 고구려 장수의 아들이었던 대조영은 아버지와 함께 당나라로 떠나야 했습니다. 당나라 땅 영주라는 곳에서 기회를 노리고 있던 대조영은 당나라와 돌궐이 싸우는 틈을 타서 조용히 고구려 유민들을 모으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당시 영주 땅에는 고구려인들이 그다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말갈족과도 힘을 합쳤습니다. 서둘러 무기를 모으고 병사들을 훈련시킨 대조영은 고구려가 멸망한 지 30년이 지난 698..
몽골의 침략과 고려의 저항 ■ 무신정권의 등장 무신정권은 1170년(명종 1년) 무신이었던 정중부의 난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당시 고려 사회는 문신 중심의 정치를 해 나가며 무신들을 푸대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고 일어난 무신정변은 고려 사회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무신정변 결과 고려사회는 새로 정권을 장악한 무신들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정권이 성립되게 됩니다. 무신정권은 약 백 년간 계속되었는데 무신들은 백성이나 나라 걱정보다는 본인들의 이익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권력을 독점하여 고려사회는 점점 어려워져 가게 되었습니다. ▲ 무신정권의 계보(출처: 에듀넷) ■ 약해진 고려의 국력, 몽골의 침략 몽골이 고려를 침략한 시기는 바로 고려시대 무신정권기였습니다. 만주지역..
권력가 한명회와 압구정은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 칠삭둥이로 태어나 권력을 움켜쥔 지략가, 한명회 영화 ‘관상’ 속에서 지략가로 나오는 인물로, 조선전기 계유정난의 설계자로서, 성공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 한명회(출처: 에듀넷) 바로 한명회입니다. 한명회는 7달 만에 태어나, 어려서는 몸이 불편했는데 차츰 성장하면서 체구가 보통 사람보다 커지고 지모가 남달리 뛰어났다고 합니다. 젊었을 때는 절에서 글을 자주 읽고, 짧고 간결하면서 설득력있게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훌륭한 말솜씨를 지녔다고 합니다. 단종을 왕위에서 밀어내고 수양대군이 왕이 되기까지 지략의 중심이 된 인물인 한명회는 영의정까지 지내고, 두 딸을 예종과 성종의 후궁으로 들이면서 왕의 장인으로서 권력을 지녔으나, 그만큼 여러 ..
조상들은 어떻게혼례를 치렀을까요? ■ 우리 조상들의 여러 가지 결혼 풍습▲ 우리나라의 전통 혼례식을 치르는 현대인들의 모습(출처: 에듀넷) 우리는 흔히 ‘시집간다, 장가간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하는데요, 이것은 우리 조상들의 결혼 풍습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합니다. 여자가 남자의 집으로 들어가는 ‘시집간다’는 표현과 남자가 장인의 집으로 간다는 의미인 ‘장가간다’는 표현이 사용되었음을 미루어 볼 때, 결혼에 관한 다양한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삼국지]의 고구려 편에서 우리 고유의 결혼 풍습인 장가들기에 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혼인하는 경우, 구두로 미리 약속하면 여자 집에서 본채 뒤편에 작은 별채를 짓는데 그 집을 ‘사위집’이라 부른다.”이는 고구려의 독특한 혼인 풍습인 ‘서옥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