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래교육 (12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여러분 교과서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보통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주요 교과 교과서가 생각나실 것 같아요. 그런데 요즘 교과서 내용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환경 융합 탐구, 철도운전이론, e스포츠 심리훈련 이런 과목을 본 적 있으신가요? 해당 과목명은 정부부처와 교과연구회가 협업하여 만든 과목입니다. 학생의 다양한 적성과 진로에 적합한 교육 기회를 보장하고, 전문지식과 최신 정보를 담은 현장 맞춤형 협업 교과서 이야기 자세히 알아볼까요? “정부부처, 교과연구회 협업 교과서란 무엇일까요?” ‘정부부처, 교과연구회 협업 교과서’란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각 정부부처와 교과연구회가 힘을 합쳐 만든 교과서입니다. 이는 2019년부터 추진된 정..

요즘 학교 현장에서는 프로젝트 수업이 화두입니다. 수업 혁신을 추구하는 교사들이 많아지며 ‘주입식 수업’이 아닌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고 토론하며 답을 찾는 수업’은 정말 매력적이지요. 사실, 이 프로젝트 수업은 매우 복잡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즐거워할 만한 참신한 주제를 찾아야 하고, 학년별 특성도 많이 고려해야 합니다. ‘같은 내용이지만 더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즘 선생님들의 고민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고민 끝에 우리 선생님들은 아이들이 즐거워하는 유익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알에서부터 부화까지, 동물의 한살이를 알아보는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 포항제철초등학교의 이야기부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 달의 기간에 걸쳐 알을 낳는..

어느새 완연한 봄인데요. 여러분은 오늘 어떤 하루를 보내고 계시는가요? 날이 좋아 봄나들이 다녀오신 분도 있으실 테고, 포근한 날씨에 몰려오는 잠기운을 떨쳐 내려고 노력하는 분도 계실 것 같은데요. 솔솔 몰려오는 잠기운 떨쳐 내시라고 퀴즈 하나 드리겠습니다. 4월 22일은 무슨 날일까요? 잘 모르겠다고요? 힌트는 카드뉴스의 그림인 인공위성입니다! 눈썰미가 좋은 분들은 이미 정답을 눈치채셨을지 모릅니다. 4월 22일은 바로 정보통신의 날입니다. 우리 삶을 편리하게 하는 정보통신의 중요성과 의미를 높이고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을 다짐하는 날이죠! 정보 기술과 통신 기술의 합성어인 정보 통신은 이미 사회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디를 가려고 지하철 노선도를 검색하거나, 맛집에 찾아갈 때와 ..

탄소중립 중점학교 알아볼꾸미😉 -삼일공업고등학교 편- 미래 환경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교육으로 한 걸음 내딛고 있는 삼일공업고등학교의 탄소중립 이야기 함께 알아볼까요? 😄 ▶자세히 보기 https://url.kr/9sowpm #교육부 #탄소중립중점학교 #탄소중립 #고등학교 #미래교육 #환경교육 #삼일공고

□ 지난 5년간(2017~2022) 교육 현장의 변화와 혁신을 위해 추진해온 노력들을 7대 분야 33개의 핵심성과로 정리한 자료집 발간 □ 교육의 국가책임 확대, 초·중등-고등-평생 전반의 미래교육 준비, 코로나 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 교육의 공정성·투명성 강화 등의 성과를 디딤돌 삼아 교육의 발전과 미래인재양성을 위해 지속 노력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지난 5년간(2017~2022년) 교육 현장의 다양한 주체들과 함께 이루어온 교육 분야의 주요 성과와 변화를 담은 ‘교육 분야 5년 성과자료집’을 4월 21일(목)에 발간한다. 이번 성과자료집은 교육의 국가책임을 강화하고 미래교육으로 도약하기 위해 그간 노력해왔던 사항들을 7대 분야 33개의 핵심성과로 정리하였으며, 각 성과별 주요내용..

최근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교육 현장에서는 공교육에서의 소프트웨어(SW) 교육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졌습니다. 현재에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실과 및 관련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정보통신 활용 능력을 키우고 놀이와 체험 중심의 활동을 통해 기초적인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을 체험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서는 게임 등 재미있는 놀이를 통해 컴퓨터 없이도 컴퓨터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학습 활동(언플러그드), 블록 형태의 명령어를 조립해보는 프로그래밍 학습(블록코딩), 로봇과 센서를 활용한 교구활용 교육(피지컬 컴퓨팅)등을 통해 소프트웨어 기초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고교학점제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으신가요? 뉴스에서, 주변에서 자주 들리는 만큼 들어본 적은 있지만, 아직 그 개념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거나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잘 모르시진 않나요? 이런 고민을 가진 분들을 위해, 오늘 이 시간 누리울림에서 고교학점제를 소개하려고 해요. 자꾸 들어도 알쏭달쏭한 고교학점제,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알고 가자고요! 고등학생 진학을 앞둔 친구나 자녀를 둔 부모님께서 읽으시면 더 좋을 거예요! Chapter 01. 고교학점제란 무엇일까? 고교학점제란, 쉽게 말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들으면서 고등학교 졸업에 다가서게 하는 제도예요. 자신이 희망하는 진로에 맞게 다양한 과목을 선택해 수강하고, 목표 수준에 도달하면 해당 과목을 이수하게 돼요. 그렇게 수업을 하나하나 듣..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핵심 교육정책을 주제로 현장의 의견을 듣고 논의하는 ‘교육정책 열린 대화’를 2월 23일(수)부터 운영한다. □ ‘교육정책 열린 대화’는 미래교육의 방향 정립과 핵심 의제 발굴, 중장기 교육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구상 등을 위해 학계, 현장 관계자, 언론, 정책 수요자들과 교육정책에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교육부는 그간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고 미래교육으로의 도약을 추진해나가는 과정에서 현장과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며 과감한 도전과 혁신을 이루어나감으로써 현장의 저력을 느끼고 신뢰를 쌓아왔다. 이에,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미래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으며 정책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