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능 (270)
교육부 공식 블로그

모든 고3 수험생분들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번에는 수능 이후 또는 겨울방학에 무엇을 하며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을지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가지고 왔는데요. 교육부는 수능 이후에도 안전하고 내실 있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능 이후 학사 운영 지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학생들의 진로 탐색과 자기 계발을 돕기 위한 다양한 온·오프라인 학사 운영 지원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제공되고 진행할 예정인데요. 저와 함께 자세히 알아볼까요? 겨울방학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교육 캠프 운영 겨울방학 기간에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교육 캠프 ‘디지털 새싹 캠프’가 열립니다. 전국의 초·중·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체험과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

언론사명 : 아이뉴스24 등 / 2022. 12. 20.(화) 제목 : “수능 없애겠다”이주호 장관의 단호한 결심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수능을 없애겠다’고 언급하였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이주호 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수능 시험을 없애겠다고 말한 적이 없으며, 수능에 관한 언급은 교실 현장에서의 수업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장기적으로 교실에서의 변화를 대입에 반영하자는 취지입니다. 현재 교육부에서는 수능 폐지를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습니다. 교육부는 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해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을 준비하고 있으며, 학생과 학부모의 대입 예측 가능성, 교육 현장의 안정적 운영 등을 고려하여 현행 대입제도의 큰 틀의 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이규민)은 지난 11월 17일(목)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채점 결과를 12월 9일(금) 수험생에게 통지한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며, ‘성적통지표 교부 및 온라인 성적증명서 발급’에 대한 안내문을 수능 홈페이지(www.suneung.re.kr)에 게시하였다([붙임] 참조).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한다. 2023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은 447,669명으로 재학생은 308,284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139,385명이었다. 영역별 응시자 수는 국어 영역 446,043명, 수학..

[수능 이후 학사운영 지원 계획 발표] 수능 이후 고3 생활 안전하고 의미 있게 마무리해요! ✅ 수능 이후에도 학생들에게 유용한 교육 활동을 지원합니다! ✅ 고3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함양을 지원합니다! ✅ 학생 안전확보를 위한 특별기간 운영, 안전교육을 실시합니다! ▶자세히 보기: https://bit.ly/3hTOjwh 수능 이후 학생들이 고등학교 생활을 안전하고 의미 있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교육부 #수능 #수험생 #고3 #교육활동 #디지털역량 #안전확보

수험생 여러분 수고하셨어요~ 여러분의 빛나는 내일을 응원하겠습니다! 고생한 수험생 여러분을 위한 '수고했어 오늘도'를 준비했습니다. 그 동안의 긴장감과 부담감은 살짝 내려놓고 오늘 하루, 편안하게 마무리 하시길 빌게요 :) 모든 수험생 여러분, 너무 수고 많으셨습니다~ *본 영상은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는 주말 오후 촬영 되었습니다. #수능 #수능응원 #수능격려 #교육부 #옥상달빛 #수고했어오늘도

2교시_수학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수학 영역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근거하여,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 고등학교까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복잡한 계산을 지양하고,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보다 교육과정에서 다..

11월 17일은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입니다! 누리울림 발견팀과 함께 준비물, 반입금지 물품, 부정행위,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영상으로 알아볼까요? 준비물 수험표와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시침, 분침(초침)이 있는 아날로그 시계 개인 도시락 Q. 점심 식사는 어떻게 하나요? 쉬는 시간과 더불어 점심 시간에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환기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점심은 2022학년도 시험과 마찬가지로 각자의 자리에서 종이 칸막이를 설치하고 드시면 됩니다! Q. 시험 당일 수험표 분실 시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시험 당일 수험표를 분실했을 때는 입실 시간 전까지 응시원서에 붙인 사진과 동일한 원판사진, 그리고 신분증을 가지고 시험관리본부로 가시면 수험표를 재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휴대 가능 물품 ..

□ 11.14.(월)부터 11.16.(수)까지 전국 84개 시험 지구에 배부 □ 안전한 문답지 운송을 위해 경찰의 지시와 유도에 운전자의 협조 당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1월 14일(월)부터 11월 16일(수)까지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문제지와 답안지를 전국 84개 시험 지구에 배부한다. 올해 수능은 작년 대비 1,791명이 감소한 508,030명이 지원했으며, 11월 17일(목) 전국 1,300여 개의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행될 예정이다. 문제지와 답안지는 경찰의 경호를 받아 각 시험지구로 운송되며, 운송에는 시험 지구별 인수 책임자 등 관계 직원, 중앙협력관 등이 함께 참여한다. 시험 지구로 옮겨진 문제지와 답안지는 시험 전날인 11월 16일(수)까지 별도의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