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에듀넷 (455)
교육부 공식 블로그

미디어 활용이 일상이 되어 버린 요즘, 학생들의 미디어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었습니다. 초등 5~6학년을 주요 대상으로 흥미도와 몰입도는 물론 역동적인 학습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 현명한 미디어 생활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 ✅ 자세히 보기 : https://url.kr/zCHX59 #교육부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콘텐츠 "갈수록 낮아지는 휴대폰 사용 연령, 1인 미디어 확산, 일상을 미디어와 함께하는 아이들…" 지금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가 생산하는 정보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미디어로 표현·소통하는 능력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용 학습 콘텐츠, '슬기롭게 누리는 미디어 세상'을..

초등 국어 교과서, 미디어 리터러시와 만나 원격 수업 지원한다 ◈ 활동 중심 미디어 리터러시 콘텐츠로 온라인에서 초등국어 학습 가능 ◈ ‘거짓정보 바로잡기’, ‘영화 제작하기’ 등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신장을 위한 21개 주제 개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미디어 속 정보의 신뢰도 판별 및 비판적 수용등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슬기롭게 누리는 미디어 세상’ 콘텐츠를 개발․보급한다. 이번에 개발한 콘텐츠는 학생 참여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지원하고,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가 지닌 한계를 보완한다. 이 자료는 에듀넷·티-클리어 누리집**에 탑재할 예정으로, 초등학생과 교사들이 휴대전화(모바일 기반)와 개인용 컴퓨터(웹기반)를 활용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

집에서 알차게 공부할 수 있는 학습 사이트가 정말 많이 준비되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교육부 국민서포터즈 레터스가 알려드리는 집에서도 알차게 공부할 수 있는 학습사이트 BEST4! 영상으로 내용 확인하시고, 아래 링크에서 직접 학습에 참여해보세요~ ▶ 바로 보기 : https://bit.ly/33JXc0z 1. 에듀넷: http://www.edunet.net/ 2. e학습터: https://cls.edunet.net/ 3. EBS 초등: https://primary.ebs.co.kr/ EBS 중등: https://mid.ebs.co.kr/ EBS 고등: http://ebsi.co.kr/ 4. 이솦: https://www.ebssw.kr/

, , 들어보신 적 있나요? 전국 교사, 특히 초등교사의 수업과 학급경영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오늘은 이 사이트들을 소개해드릴 예정이니, 특히 초등학교 선생님들께서 이번 콘텐츠에 집중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고등학교 선생님들~ 너무 낙심하지 마세요! 각 사이트 별로 다르지만, 중고등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면 좋을 자료로 있으니 귀를 쫑긋, 눈은 번쩍해서 봐주세요! "교사가 최고의 콘텐츠다." 이 문장을 모토로 모인 교사공동체 '참쌤스쿨'입니다. 교실과 학교, 교육의 변화를 꿈꾸며 학교에서 아이들이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를 고민하고 개발하는 전국의 교사들이 모여있죠. 이들은 ppt 템플릿, 교실 현수막, 교육자료 등을 이미지와 영상 기반의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작..

추석의 대표 음식, 송편 이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민족의 대명절인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인 송편입니다. 송편은 원래 송병이라고 불리었었습니다. 소나무 송과 떡 병자를 써서 송병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송편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추석이 되면 가족들이 옹기종기 모여 송편을 빚습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송편은 반달 모양입니다. 그렇다면 왜 반달 모양의 송편을 많이 만들까요? 달을 닮은 음식, 송편의 유래 반달송편의 유래를 잘 읽어보았나요? 옛날 농경 사회에서 달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달의 변화에 따라 시간을 예측하고, 이에 맞추어 농사를 지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중요한 달의 모양을 본떠 자연스럽게 송편을 빚게 되었던 것이죠. 소를 넣기 전에는..

#고3 여러분, #수능 이 끝나고 학교에서 #운전면허증, #컴퓨터자격증 등 #자격증 취득을 지원합니다.🤓 또, 관계기관과 #예비사회인 에게 필요한 금융, 근로, #세무교육 도 실시합니다. ▶자세히 보기: https://bit.ly/2T9cyWV #걱정말아요 #금융교육 #교육부
고구려를 이어받은 발해 ■ 고구려 장군의 아들 대조영, 고구려를 이어받는 나라 '발해'를 세우다.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중국 동북 지역을 중심으로 약 700년간 존속해온 고대국가입니다. 훌륭한 사냥, 기마기술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를 호령하였으나 서기 668년, 결국 당나라에 의해 무너지게 되었죠. 고구려의 멸망으로 인해 고구려 장수의 아들이었던 대조영은 아버지와 함께 당나라로 떠나야 했습니다. 당나라 땅 영주라는 곳에서 기회를 노리고 있던 대조영은 당나라와 돌궐이 싸우는 틈을 타서 조용히 고구려 유민들을 모으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당시 영주 땅에는 고구려인들이 그다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말갈족과도 힘을 합쳤습니다. 서둘러 무기를 모으고 병사들을 훈련시킨 대조영은 고구려가 멸망한 지 30년이 지난 698..
몽골의 침략과 고려의 저항 ■ 무신정권의 등장 무신정권은 1170년(명종 1년) 무신이었던 정중부의 난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당시 고려 사회는 문신 중심의 정치를 해 나가며 무신들을 푸대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고 일어난 무신정변은 고려 사회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무신정변 결과 고려사회는 새로 정권을 장악한 무신들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정권이 성립되게 됩니다. 무신정권은 약 백 년간 계속되었는데 무신들은 백성이나 나라 걱정보다는 본인들의 이익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권력을 독점하여 고려사회는 점점 어려워져 가게 되었습니다. ▲ 무신정권의 계보(출처: 에듀넷) ■ 약해진 고려의 국력, 몽골의 침략 몽골이 고려를 침략한 시기는 바로 고려시대 무신정권기였습니다. 만주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