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2609)
교육부 공식 블로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올바르게 미디어 사용하는법!!💻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왜 중요할까요? 거짓 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사회구성원 간 갈등 등 피해를 예방할 수 있어요! ✔올바른 미디어 이해 ✔슬기로운 유튜브 생활 ✔소셜 미디어 바로 알기 ✔온라인에서 위험상황 대처법 건강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함께 실천해보아요! ▶자세히 보기 : https://url.kr/vub86t ▶미리내 바로가기 : www.miline.or.kr #교육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미리내 #콘텐츠 #유튜브 #소셜미디어 #온라인 #위험상황 #대처법

우리의 아름다운 섬 독도를 방문해 본 적 있으신가요? 독도에 관심은 있지만 거리가 멀고, 시간이 나질 않아 실제로 가보신 분들은 적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이러한 아쉬움을 일부라도 해소할 수 있는 온라인 체험관이 개관하였다고 합니다. 오늘은 온라인에서 독도를 제대로 알아볼 수 있는 ‘사이버독도체험관’을 소개하며, 제가 직접 방문하여 느꼈던 점을 여러분들에게 전달해 드리려고 합니다. 최근 서울 서대문구에 있던 독도체험관이 영등포구로 이전하게 되어 당분간은 오프라인 독도체험관을 방문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동북아역사재단과 교육부는 임시휴관 동안 독도에 대한 교육이 멈추지 않고 온라인 공간에서 독도에 대해 알아갈 수 있도록 ‘사이버독도체험관’을 운영한다고 합니다. ▼ 사이버독도체험관 관련 보도자료 링크 ▼ 사..

“기업이 트렌드를 읽는다고 해서 100% 성공할 수는 없지만 트렌드를 읽지 못하면 100% 실패는 보장할 수 있다.” 피터 드러커 오스트리아의 작가이자 경영학자인 피터 드러커는 ‘트렌드’에 대해서 위와 같이 말했습니다. 비단 기업 경영에만 국한하는 말이 아닌 모든 분야에 해당하는 말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교육에서도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사회가 급변하고 있는 만큼 교육계에서는 세대, 학교, 정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 방향을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교 교육을 배우는 세대가 M세대에서 Z세대로 넘어가는 이 시점에서 교육자가 된 MZ세대 교사는 어떤 역할을 해야할지, 코로나19로 비대면 교육이 활성화함에 따라 ..

□ 연구자 개인 단위의 연구과제 위주의 총 1,036과제 예비선정 결과 발표 □ 전년 대비 7.1. 개시과제 기준 선정과제 수 및 선정률 확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2022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신규과제(7월 1일 연구개시) 선정결과를 6월 23일(목) 발표하였다.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은 인문사회분야 우수 연구자·연구소 육성 및 연구활동 지원으로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역량을 강화하고 학문 균형발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1963년부터 교육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이다. 이번 선정결과 발표에서는 학문후속세대를 집중 지원하기 위한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지원 사업 A유형과 함께 중견연구자지원, 일반공동연구지원, 명저번역지원, 인문도시지원,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내 연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