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교육부 02.12(화) 12시 보도자료] 학생들의 북한 및 통일 인식 변화.hwp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유은혜)와 통일부(장관 조명균)는 2018년 10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학생 및 교사들의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학교 내에서 진행되는 통일교육의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통해 「2018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 대상: 전국 597개교 87,113명(학생 82,947명, 교사 4,166명), (연구학교 학생 9,717명 별도조사)
* 통일교육지원법 제8조 4항에 근거(2014년부터 시행)
제8조(학교의 통일교육 진흥) ④ 통일부장관은 교육부장관과 협의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초ㆍ중등학교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중·고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에 대한 이미지로 ‘전쟁‧군사’ 또는 ‘독재‧인물’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6.4%로 전년과 비교하여 17.4%p 감소하였습니다. 반면에 ‘한민족‧통일’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4.9%로 전년 대비 16.3%p 증가하여 북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의 답변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전년도 비교 수치는 연구학교를 제외한 일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수치임.
* 북한 이미지: 전쟁‧군사(29.7%, 전년 대비 5.2%p 상승), 독재‧인물(26.7%, 전년 대비 22.6%p 하락), 한민족‧통일(24.9%, 전년 대비 16.3%p 상승) 등
* 북한(정권)에 대한 생각: 협력 대상 50.9%(전년 대비 9.6%p 상승), 경계대상 28.2%(신설항목), 지원 대상 12.1%(전년 대비 1.3%p 하락), 적 5.2%(전년 대비35.8%p 하락)
또한 ‘통일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일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3.0%로 전년 대비 0.8%p 상승하였고, 반대로‘통일이 불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13.7%로 전년 대비 2.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생들은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전쟁위협 등 불안감 해소’와 ‘한민족’, ‘국력강화’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반면에 ‘통일 후 사회혼란’과 ‘통일비용 등의 경제적 부담에 대한 우려’ 등을 통일이 불필요한 이유로 지적하기도 하였습니다.
* 통일이 필요한 이유: 전쟁 위협 등 불안감 해소 24.6%(전년 대비 7.0%p 하락), 한민족 21.6%(전년 대비 6.9%p 상승), 국력 강화 21.2(전년 대비 4.2%p 하락), 이산가족 문제 해결 18.2%(전년 대비 4.2%p 상승)
* 통일이 불필요한 이유: 통일 후 사회혼란 35.7%(전년 대비 4.3%p 상승), 경제적 부담 28.8%(전년 대비 9.3%p 상승), 북한의 도발로 인한 북한체제에 대한 거부감 15.8%(전년 대비 11.3%p 감소)
한편, 학생들이 학교에서 통일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9%로 나타나 전년의 80.4%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학교통일교육 후 통일에 대한 관심도 향상 여부’와 ‘통일교육 후 통일 문제 이해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 등은 전년에 비해 향상되었습니다.
* 통일교육 후 통일 관심도 변화: ‘향상’ 52.2%(전년 대비 2.5%p 상승), 낮아짐 1.8%(전년 대비 0.6%p 감소),
* 통일교육의 통일 이해 도움 정도: ‘향상’ 58.2%(전년 대비 7.1%p 상승), ‘도움안됨’ 8.5%(전년 대비 1%p 감소)
통일․북한 관련 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인터넷․블로그․누리 소통망(SNS) (40.2%), ▵학교 수업(25%), ▵TV․라디오(18.4%) 순으로 답변하였습니다. 한편, 교사들은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급한 과제로 통일교육 ▵자료 보급(50.2%),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44.3%, 신설 항목), ▵교사 전문성 향상(31.7%), ▵통일교육 시간확보(22.0%) 등을 지적하였습니다.(복수응답) 향후, 2018년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와 통일부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학생 체험활동, 교사연수 등에서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교사들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학생들의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