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시스템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 인공지능 기반 영어말하기 연습 시스템 ‘인공지능(AI) 펭톡’ 내년 3월 전면 도입, 그에 앞서 현장 교원을 대상으로 연수 실시 - ◈ 초등학생 수준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영어 말하기 연습 시스템, 내년 3월부터 전면 도입 ◈ 현장 교원 대상의 연수를 통해, 연습시스템의 활용도 향상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방송공사(사장 김명중)는 「인공지능 기반 영어 말하기 연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내년 3월부터 전국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입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초등학생들이 영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듣고, 말하는 환경을 풍부하게 제공하여 기초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지원하고자 2019년 11월부터 개발을 시작하였다. 올해 1·2차 시범활용*..

◈ 초‧중‧고 학교 현장 경험 공유 및 자율‧자치‧분권 제고 방안 토론 ◈ 생활 속 거리두기 위해 온라인 유튜브 생중계로 진행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의장 김진경)는 6월 23일, 오후 2시부터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방배동)에서 『코로나 이후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위한 현장포럼 : 자율·자치·분권을 중심으로』를 개최한다. 이번 현장포럼은 지난 4월 개최된 교육 4개 단체 공동포럼*에 이어, 코로나19 이후 초․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학교의 역할 변화와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무관객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한다. * 코로나로 미리 온 미래교육과 학교의 역할(국가교육회의‧교총‧전교조‧시도교육감협의회, ‘20.4.28) ** 국가교육회..
국제학업성취도평가의 진실! 창시자의 목소리로 들어보자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는 2000년부터 3년 간격으로 OECD국가들을 대상으로 치러지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Reading, Science, Mathematics 총 세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인 정기고사와 달리 학생에게 창의력과 사고력을 요구합니다. 이 시험은 21세기 인재양성에 효과적인 교육제도를 시행하고 있는지 판단해주는 시험이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시험과 다른 만큼 시험에 대한 관심은 현재 대한민국에서도 높은 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험을 만든 목적에 대해 궁금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과연 창시자는 교육에 대한 어떤 관점과 가치로 이 시험을 만들었을까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 창시자에게 물어봤습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의..
체육 인재육성재단에서는 대한민국 스포츠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체육 영재를 발굴‧육성를 해왔습니다. 해마다 2~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적 평가방법을 적용한 신체구성, 인체 계측, 운동능력, 생리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검사, 스포츠 적성 검사, 골 연령 검사를 시행하는데요. 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우수선수를 선발, 육성하고 있습니다. 체육 영재육성프로그램 스포츠과학 연구소에 위치한 한국체육대학교 체육 영재센터에는 국가대표출신의 육상·수영·체조 전문실기 교수들과 스포츠 과학과 외국어 전공 교수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국제규격의 스포츠시설 (운동장, 체조장, 수영장)이 갗추어져 있는 것은 물론, 첨단과학기자재를 활용하여 체육 영재의 체격과 체력, 운동능력을 효율적으로 기를 수도 있답니..
"교육부 장관, 제4차 아셈 교육장관회의 참석" - 서남수 교육부 장관, 「산학협력」주제발표 및 노르웨이 등과의 양자회담으로 한국 교육의 우수사례 공유 - - 말레이시아 한국학교 설립 출범식 만찬 참석해 관계자 격려 아시아․유럽간 유일한 고위급 교육협의체인 아셈(ASEM) 교육장관회의가 말레이시아(쿠알라룸프르)에서‘13.5.13~14 양일간 개최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수 교육부장관이 참석하여, 13일 개최된 산학협력 세션의 아시아 대표 발제자로 나서, 한국의 산학협력 정책의 성과 및 한계와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아셈을 통한 아시아․유럽간 산학협력 활성화를 제안하였습니다. ․(제1차) ‘08.5.5(월)~5.6(화), 독일 베를린 / 박종구 차관 ․(제2차) ‘09.5.13(수)~5.16(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