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가책임 (10)
교육부 공식 블로그

유아와 초등학생을 국가가 책임지고 챙겨서 학부모들이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문제를 방지해 나가겠습니다. ✅ 유아부터 초등까지 안심교육 ✅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교육기회 ✅ 체감할 수 있는 교육비 지원 ✅ 믿고 보낼 수 있는 안전한 학교 ▶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ct4IAG

유아교육 국가책임 확대를 위해 국공립유치원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2020년 1월 17일 금요일 조선일보(유소연 기자)에서 보도된 '사립유치원 폐업땐 공립 전환? 불안한 학부모’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문재인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유아교육의 국가책임 확대’에 따라 국·공립유치원 확충(취원율 40%)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국공립유치원 학급 수(개) : (’17)10,395 → (’18)10,896 → (’19)11,889 지난 ‘18년「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10.25)」의 국․공립유치원 다양화 모델의 일환으로 공립유치원 선호도가 높은 지역,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에 우선하여 ‘매입형 유치원’*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운영 중인 사립유치원을..

국공립유치원 다양화 모델로 매입형 유치원을 공립유치원 선호도가 높은 지역,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으로 우선 설립•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교육부 #사이다 #사실은이렇습니다 #유아교육 #국가책임 #국공립유치원 #확대 #선호도 #저소득층 #통학버스

"받침이 어려워요" "그냥 그림처럼 외워요" 초등학교 1학년 과정을 마칠때까지 모든 학생들을 한글 해득 수준으로 이끄는 '한글 책임교육'을 진행하고 있어요. 정확한 진단부터 한글 해득 완성까지 단계별로 학급의 모든 아이들을 1:1로 지도하고 있으니 믿고 맡겨주세요. ▶️ 자세히보기: http://bit.ly/31OlkgC #한글 #책임교육 #초등학교 #한글또박또박 #국가가_책임지는_우리아이_한글교육 #한글책임교육공감한마당

2020년 3월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성장하는 누리과정이 시작됩니다. 다양한 활동과 함께 행복해지는 우리 아이, 아이에게 놀이는 최고의 배움입니다. 누리 과정을 통해 더욱 다채로워질 아이들의 성장,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교육부 #누리과정 #놀이교육 #유치원 #어린이집 #아이 #행복 #놀이 #성장 #배움 #유아교육 #국가책임

2019년 2학기, 드디어 우리나라도 고교무상교육을 실시합니다.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점차 대상을 확대하여, 2021년에는 고등학교 전 학년 대상 전면 실시! 입학금, 수업료, 학교운영지원비, 교과서비 지원으로 1인당 연 160만원의 학비가 절감됩니다. 출발선이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초중고 교육의 국가책임을 완성하는 고교 무상교육. 교육부는 모든 아이의 미래를 응원합니다! #교육부 #고교무상교육 #고등학교 #2021년 #학비절감 #입학금 #수업료 #학교운영지원비 #교과서비 #국가책임
드디어 시행되는 고교 무상교육! 실무왕이 정리해드립니다! 초중고 교육의 국가책임을 완성하는 고교 무상교육! 학생 1인당 학비 연 160만원의 경감 효과! 2019년 2학기, 고3부터 시작합니다~~ 1분만 투자해서 고교무상교육 완벽정리해보세요! ▶고교 무상교육 카드뉴스로 더 알아보기 : https://blog.naver.com/moeblog/221620345876

2019년 2학기부터 고등학교 무상교육 시행 - 초·중·고 교육의 국가 책임 완성 - - 17개 시·도교육청 2,520억원 예산 편성, 고등학교 3학년 44만명 지원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019년 2학기 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고등학교 무상교육(이하 고교 무상교육)을 전격 시행한다. 이는 정부가 지난 4월 9일(화) 당․정․청 협의에서 확정․발표한 「고등학교 무상교육 실현 방안」에 따른 것으로 ’20년 고 2‧3학년(88만명), ‘21년 전학년(126만명)으로 단계적으로 확대․완성될 예정이다. 고교 무상교육은 헌법이 보장하는 모든 국민의 교육 기본권을 실현하고, 가정환경․지역․계층과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고교 단계까지 공평한 교육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초·중·고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