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대학개혁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XIH7/btsAaE28yHn/yikK5KKw7lT4ziNxTk4lHk/img.jpg)
본지정 평가를 거쳐 10개 글로컬대학 지정‧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글로컬대학 본지정 평가위원회의 평가와 글로컬대학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1월 13일(월), 2023년 글로컬대학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 글로컬 본지정 대학은 ①강원대학교‧강릉원주대, ②경상국립대학교, ③부산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 ④순천대학교, ⑤안동대학교‧경북도립대학교, ⑥울산대학교, ⑦전북대학교, ⑧충북대학교‧한국교통대학교, ⑨포항공과대학교, ⑩한림대학교 등 총 10개이다. 올해 시작된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는 인구감소, 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지역 및 지역대학의 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대학 내‧외부의 벽을 허무는 과감한 혁신과 지역과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대학의 동반성장을 이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mnj5/btsng8PoI4O/Fh92BMXZ4EHrh58yCfWbgK/img.jpg)
2023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 확정 및 본지정 평가 일정 돌입 미지정 대학의 혁신기획안 실행 지원을 위한 방안 마련, 규제혁신, 통합 추진대학 지원 등 지속 추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확정 및 본지정 평가 일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7월 12일(수), 2023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를 확정‧발표한다. 지난 예비지정 결과 발표(6.20.) 이후 진행된 이의신청 기간(~6.30.) 동안 1개교가 이의신청을 하였다. 이에, 한국연구재단은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이의신청심의위원회(총괄 심의위원회)를 개최하였으며, 그 결과 이의신청 1건에 대해 기각 결정을 내렸다. 예비지정 대학들은 10월 6일(금)까지 대학 구성원, 지자체, 지역 산업계 등과 함께 실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JGP7/btskBBNiAhp/wdqKncpl5VvNVKYK4KEKx1/img.png)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를 통해 총 15개 혁신기획서 선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글로컬대학위원회(위원장 김중수)는 6월 20일(화), 2023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 총 15개 혁신기획서가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5월 31일(수) 마감된 2023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신청에 총 108개교가 94개의 혁신기획서를 제출하였으며, 그 중 27개교는 통합을 전제로 공동 신청(13개)하였다. 이번 예비지정 평가는 전문기관(한국연구재단)에 위탁하여 진행되었으며, 혁신성, 성과관리, 지역적 특성 3개 영역에 중점을 두고 혁신기획서를 평가하였다. 특히, 제시한 혁신과제들이 단순 나열식이 아니라 얼마나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대학 전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대한민국의 대학개혁에 얼마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BA7q/btsa44kHgLo/5byFIN2haxFXiCYgV5AEsk/img.jpg)
교육개혁은 시급성, 국민 공감도 등을 감안해 주요 3대 정책에 역량 집중 ‘2023 교육·인재정책 세미나(4.19.)’를 개최하여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교육개혁 핵심 정책과 인재양성 전략 논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4월 19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교육개혁 핵심 정책 및 국가 차원의 인재양성 전략을 논의하는 「2023 교육·인재정책 세미나」 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교육개혁 방향과 인재양성 전략을 수립·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변화를 반영하고, 전문가들과 함께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정책들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행사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정책의 시급성과 국민 공감도를 고려하여 교육부가 우선적으로 집중 추진해야 할 과제로서 △국가책임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