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북극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물의 비열 ■ 물의 비열이란? 바삭바삭한 튀김 다들 좋아하시나요? 튀김을 하기 위해 기름을 불 위에 올려놓았을 때, 우리는 같은 양의 물을 데울 때보다 기름이 훨씬 빨리 더 높은 온도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기름의 비열이 물의 비열보다 더 작기 때문입니다. 비열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비열은 물질의 고유한 특성이기 때문에 물질마다 비열이 다릅니다. 그리고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물질 중에 비열이 큰 것은 바로 물입니다. 그래서 물은 잘 데워지지도 않고 잘 식지도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햇볕이 내리쬐는 바닷가를 생각해 볼까요? 뜨거운 모래사장은 발을 디디기조차 힘들지요. 하지만 그럴 때 물속으로 풍덩 뛰어들면 어떤가요? 모래사장보다 훨씬 시원하..
관광지로서의남극 대륙 ■ 지구 최남단의 대륙, 남극남극(南極)은 지구의 최남단에 있는 대륙으로, 한가운데 남극점이 있습니다. 남극 대륙은 거의 대부분 남극권 이남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는 남극해가 있습니다. 면적은 약 14,000,000 km2로서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대륙이며 남극보다 면적이 넓은 나라는 러시아가 유일합니다. 한반도의 60배이고 지구 육지면적의 9.2%를 차지합니다. 남극의 연평균온도는 영하 23도이며, 남극의 약 98%가 얼음으로 덮여 있는데(얼음으로 덮이지 않은 면적은 약 280,000 km2에 불과함), 이 얼음은 평균 두께가 1.6km에 이릅니다. 남극에는 각종 자원이 풍부합니다. 얼음처럼 생겼지만 불을 붙이면 활활 타오르는 메탄..
지구는 거대한 자석 나침반이 항상 같은 방향을 가리키는 이유 등산하다가 길을 잃었을 때 우리는 어떻게 방향을 찾을 수 있을까요? 이럴 때 나침반이 있다면, 언제나 같은 방향을 가리키기 때문에 나침반을 이용하여 쉽게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인류가 처음으로 자석을 사용하게 된 것은 방향을 알게 해주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2세기 무렵 중국에서, 늘 남쪽을 가리키는 자석의 성질을 이용해 ‘지남차’를 만들어 사용한 기록이 있는데, 지남차란 마차 위에 항상 남쪽을 가리키는 인형을 세워 방향을 알 수 있게 만든 장치입니다. 후에 휴대가 간편한 나침반을 만들어서 항해에 이용되었고, 나침반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전파되었다고 합니다. ▲ 방향을 알려 주는 지남차와 나침반(출..
'ET'가 뭐에요? 땅이 눈과 빙하로 덮여 있어, 태양빛의 대부분을 반사해 평균 기온이 낮은 곳의 기후를 '한대기후(E)'라고 하고, 툰드라 기후를 ET라고 한답니다. 툰드라 기후와 빙설기후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세상지구의 양 극지방은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가장 멀고, 태양의 고도가 낮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지역인데요. 특히 이 지역은 눈과 빙하로 덮여 있어요. 그래서 태양빛의 대부분을 반사하기 때문에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10℃가 넘지 않아요. 이러한 기후를 '한대기후(E)'라고 해요. 한대기후는 최난월 평균 기온 0℃를 기준으로 툰드라기후와 빙설기후로 구분한답니다. 0℃는 물과 얼음의 경계가 되는 온도인데요. 툰드라기후는 가장 따뜻한 여름에는 기온이 0℃ 이상이 ..
최근 미디어에서는 지구온난화, 즉 온실가스의 증가를 주제로 수많은 기사을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08년 MBC는 북극의 눈물이라는 특별기획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녹고 있는 남극과 북극의 빙하, 해수면 상승, 그리고 아파하는 남/북극의 생명체에 관한 사실적인 이야기를 보여주어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는데요. 이렇게 귀엽고 예쁜 북극곰들이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해 설 곳 없이 고통받고 있다니, 눈으로 보고만 있어도 참 가슴 아프고 슬픈 현실이에요. 그뿐만이 아닙니다. 우리 주변에서 또한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최근 들어 코끝이 시린 겨울이 짧고, 햇볕 쨍쨍한 무더운 여름이 길다고 느끼지 않으셨나요? 지구 온난화는 이처럼 우리 눈에 띄지는 않지만, 우리의 체감으로 느낄 수 있는 부분들이지요. 자, 그럼 ..
지구에 있는 거의 모든 얼음이 모여 있는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남극과 북극입니다. 바람소리마저 차갑고, 세상을 모두 덮칠 것 같은 눈보라가 부는 곳이죠. 똑같은 지구라고는 하지만 사람이 살 수 없을 정도로 추워 우리에게 알려진 게 적은 ‘신비의 땅’입니다. 그런데 남극과 북극은 왜 이렇게 추운 것일까요? 극지방이 추운 이유는 땅이 태양과 이루는 각도에 있습니다. 적도 지방과 비교하면 극지방은 태양이 높게 떠오르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태양과 땅이 이루는 각도가 작기 때문입니다. 적도에서 한낮이 되면 해가 머리 바로 위에 높이 뜨지만, 극지방에서는 한낮에도 해가 낮은 곳에 뜹니다. 다시 말해 적도 지방은 태양이 머리 바로 위에 떠서 햇빛을 많이 받고 날씨가 더워집니다. 반면 극지방은 아침이나 저녁처럼 태..
호젓할 정도로 한적한 거리를 성큼성큼 걸었다. 그동안 익숙했던 풍경과는 거리가 멀었다. 빽빽이 서있던 고층 아파트, 다닥다닥 붙어있어 달빛이 훤히 비춰지던 주택가…. 사람 많아 북적이던 한국과 달리 이곳의 한적한 거리가 인상적이다. 눈높이에 맞는 2층짜리 빨간 지붕 집들, 스키누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이 가끔 보인다. 천연 자연의 모습도 인상적이다. 거리에 펼쳐진 눈 덮인 산, 그 밑에 두꺼운 땅을 뚫고 올라와 얼굴을 환히 내미는 노란 꽃은 이곳도 지구의 일부분이란 것을 느끼게 한다. 거의 하루 종일 해가 떠 있다가 가끔 온 세상을 보랏빛으로 물들이는 백야현상도 매우 인상적이었다. 한국에서 보지 못한 자연현상이 있는 이곳에서의 연구체험활동도 기대된다. 이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북극입니다. 흔히 북극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