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소비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공교육 12년이라는 시간 동안 진로, 진학에 초점을 두고, 최종적으로는 입시라는 관문을 통과해야 하는 아이들에게 경제 교육은 너무나 동떨어진 이야기인 것만 같습니다. 특히 지금은 과거처럼 단순한 저축이 끝이 아닌 시대이기 때문에 아이들은 자라면서 다양한 경제 활동 경험을 하며 자본주의의 원리를 이해하고, 올바른 소비 습관, 현명한 투자 습관을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올바른 경제 관념을 갖고, 습관을 들이게 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슬기롭게 살아갈 수 있는데요. 오늘은 어린 시절부터 경제 교육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관련된 다양한 실천 사례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산 송수초등학교 먼저, 《세금 내는 아이들》이라는 책, 혹시 들어보셨나요? 이 책은 유튜브 ..
시장의 원리 ■ 다양한 형태의 시장시장이란 상품을 사고자 하는 사람과 팔고자 하는 사람 사이에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을 말합니다. 시장에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재래시장, 수산물 시장, 대형 마트와 같은 가시적인 곳도 있지만 증권시장, 외환시장, 전자상거래 시장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가 온라인으로 이뤄져 눈에 보이지 않는 시장도 존재합니다. 이처럼 형태는 달라도 각 시장은 상품을 팔고 사는 사람이 모여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양한 시장의 종류(월마트 / 재래시장)(출처: 에듀넷) 시장은 언제 생겨나게 된 것일까요? 아주 오래 전 과거 사람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은 자급자족하는 생활로 충당했으나, 각자가 가장 잘 만든 물건을 다른 사람과 바꾸어 쓰면 번거롭지 않으면서 풍요로..
인간 생활은 모두 경제다! ♣ 경제 활동이란 무엇을 말하나요?우리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것들이 필요하지요. 추위나 더위를 피하고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집과 옷도 필요하고, 생존을 위해서는 먹을 음식도 필요합니다. 또 배우기 위해서 우리는 학교에 가고, 전화로 통화도 하며, 가끔씩 친구들과 떡볶이를 사먹기도 합니다.생존을 위한 것이든 학업 및 여가를 위한 것이든 우리는 옷, 집, 음식, 공기 등과 같은 재화가 필요하고 머리를 자르기 위한 이발, 아픈 것을 치료하기 위한 의사 선생님의 진료와 같은 서비스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처럼 인간이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만들고 생산하는 하는 모든 활동을 경제 활동이라고 부릅니다. ▲ 재화와 서비스의 예 경제 활동의 대상인 재화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
돈이면 다 된다고 생각하는 물질만능주의를 이곳저곳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도 은연중에 아이가 뭔가가 필요하다고 할 때 '그래. 엄마가 다 해줄게'라는 말과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아이에게 부족함 없이 다 채워진다면 나중에 아이가 사회에 나가서 경제적 자립의 어려움과 돈의 씀씀이 또한 올바르지 않을 것이 분명합니다. 모든 교육이 그렇듯 경제교육 또한 집에서의 교육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의 생활 습관이 자연스럽게 아이의 경제관념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몸에 배게 되면서 생활습관이 됩니다. 요즘에 저희 아이는 자신의 집을 사겠다면서 심부름을 하겠다고 자청합니다. 가끔 우유를 사오라고 보내면 뭔가 자신의 힘으로 물건을 사고 돈을 내고 돈을 거슬러 받는 게 신기한가 봅니다. 심부름 값을 꼭 챙기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