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수학놀이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수포자를 탈출하기 위해 나는 오늘도 수학과 싸운다! 재미있고 흥미로운 수학의 세계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신나는 #수학놀이 함께해요! #방학 #수학 #펜토미노 #님게임 #국민서포터즈 #교육부 ※위 기사는 2020 교육부 국민서포터즈의 의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아이들 수학 공부 어떻게 해야 할까? 초등1학년, 수학과 친해지면 모든 공부가 쉬워진다 초등공부 I 수학 I 송재환교사 I 공부 | 교과서 | 수학놀이 | 발달수준학창시절 교양과목으로 수학과 학생들이 필수로 들어야 하는 미적분학을 듣고 좋은 점수를 받았을 정도로 수학을 재미있어하고 곧잘 했습니다. 그래서 수학만큼은 누구의 말도 듣지 않고 제 나름의 판단으로 아이들을 가르쳤습니다. 그런데 6학년인 큰아이가 얼마 전 받아온 시험지를 보고 한숨이 나왔습니다. 한 번의 시험으로 모든 것을 판단할 수는 없지만, 평소에도 제가 수학문제를 풀며 느꼈던 재미를 아이는 느끼지 못하는 듯 보였고 억지로 공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었습니다. 뭔가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을 즈음 한 권의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어린이들이 수학을 어렵고 재미없는 것으로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수학 시간이 되면 머리가 아프고 배가 아프다고 합니다. 수학 문제를 풀다가 엉엉 울어버리는 친구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유명한 교육학자 피아제는 말했습니다. 초등학교 아동들의 나이는 구체적 조작적 사고기이므로 아동들은 현실 상황에서 직접 사물을 관찰하거나 구체물이나 반구체물을 이용한 구체적 조작활동을 통해서 학습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교구를 이용하여 수학을 공부하면 학생들이 수학을 더 쉽고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직접 만져보고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해 어린이들은 직관적으로 수학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학습지의 문제를 푸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어린이들이 경험을 통해 수학을 ..
요즘 주위를 둘러보면 수학 싫어~ 영어 싫어~ 하는 아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수학을 사랑하는 아이들이 될 순 없는지. 엄마들의 고민이 많습니다. 수학은 왜 배울까요? 수학하면 연산이 떠오르고 우리는 가끔 수학을 산수로 착각하기도 합니다. 수학은 창의력, 논리력, 이해력 같은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이끌어내 주고 우리가 살면서 부딪히는 여러 일을 해결해나가는 밑바탕이 됩니다. 매일 선택의 연속에 사는 우리가 어떻게 일을 처리할지 가장 효과적인 선택을 하게끔 도와주는 것. 그것이 바로 '수학'입니다. 유아들에게 이렇게 중요한 수학을 쉽게 접해줄 방법은 없을까 생각해보면 바로 책과 교구가 있습니다. 그중에도 전 보드게임을 이용한 수 놀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2년 전 아이가 5살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