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영천 (2)
교육부 공식 블로그

전국적으로 출산율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있는 지금, 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수가 현저히 줄어 문을 닫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1982년부터 시행된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으로 폐교의 수는 더욱 증가하였는데요. 이제는 수도권 내 학교들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문을 닫은 학교 시설들은 모두 어떻게 되는 걸까요? 새로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다들 궁금하지 않나요? 이번 시간은 폐교시설을 교육, 체험, 문화시설로 재활용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교육적,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협력적인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한 몇 가지 사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폐교시설의 정의 폐교란, 운영이 폐지된 학교를 의미합니다. 현재 취학아동 수의 감소로 문을 닫는 학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요. 폐교의 시설은..
화약을 발명한 고려말의 과학자 - 최무선을 만나다 그동안 최무선은 국사책 속에서 화약 발명으로 기억하는 위인이었습니다. 영천에 최무선 과학관이 문을 열었다고 했을 때에도 조금 의아했던 건 최무선의 고향이 경상북도 영천이라는 것을 몰랐기 때문이었습니다. 방학을 맞이해 최무선 과학관을 아이들과 함께 방문했습니다. 너른 초록 들판에 자리한 최무선 과학관의 외관은 푸른 바다 위에 떠 있는 한 척의 배처럼 보였습니다.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하다 최무선 과학관은 1층에는 최무선의 활약상을 홍보물로 만들어 상영해주는 시청각실, 화약의 발전사에 관해 정리해 둔 기획전시실이 있으며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는 교육부가 선정한 우리나라를 빛낸 과학자 28인의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2층에는 최무선의 생애와 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