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통학버스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유아교육 국가책임 확대를 위해 국공립유치원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2020년 1월 17일 금요일 조선일보(유소연 기자)에서 보도된 '사립유치원 폐업땐 공립 전환? 불안한 학부모’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문재인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유아교육의 국가책임 확대’에 따라 국·공립유치원 확충(취원율 40%)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국공립유치원 학급 수(개) : (’17)10,395 → (’18)10,896 → (’19)11,889 지난 ‘18년「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10.25)」의 국․공립유치원 다양화 모델의 일환으로 공립유치원 선호도가 높은 지역,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에 우선하여 ‘매입형 유치원’*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운영 중인 사립유치원을..

국공립유치원 다양화 모델로 매입형 유치원을 공립유치원 선호도가 높은 지역,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으로 우선 설립•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교육부 #사이다 #사실은이렇습니다 #유아교육 #국가책임 #국공립유치원 #확대 #선호도 #저소득층 #통학버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함께 통학권역 등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통학버스 확대를 비롯한 공립유치원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 https://bit.ly/2IBaPFZ #교육부 #사이다 #사실은_이렇습니다 #시도교육청 #국공립유치원 #통학버스 #확대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함께 국공립유치원 통학버스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2019년 10월 11일 금요일 조선일보(박세미 기자)에서 보도된 '서울 국공립유치원 232곳, 통학버스는 1대'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지난해 12월, 국공립유치원 서비스 개선에 따른 통학버스 단계적 확대 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교육부는, 국공립유치원 통학버스 확대를 위해 유아교육공공성강화추진단 회의를 통해 시도교육청과 통학버스 확대방안에 대해 논의하여 왔습니다. 전국 시도교육청에서는 통학권역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공립유치원 통학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18)1,182개원, 1,344대 운영 → (’19.8.)1,461개원, 1,871대 운영 특히, 서울교..
모두의 노력으로 안전한 학교를 만들어요 하노이한국국제학교의 안전교육 안전의식 I 안전교육 I 통학버스 I 소방훈련* 열악한 베트남 현지의 상황과 안전의식은?!베트남 하노이 거리를 걷다 보면 도로나 길에 사람보다 오토바이가 더 많이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듭니다. 그리고 종종 보이는 화재현장을 보면서 좁은 도로를 헤치고 소방차가 제시간에 도착할 수 있을까 하는 염려도 듭니다. 그만큼 열악한 베트남 현지의 안전 의식과 상황을 보면 학교에서 안전교육을 더욱 철저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게다가 지하철도 없고 버스도 이용하기 어려운 하노이 현지에서 등하교 자체가 하노이한국국제학교 학생들에게는 큰 걸림돌이었습니다. 그 결과 학교 통학버스가 운행되었지만, 1학년부터 12학년까지 전교생이 비슷한 시간..
교육부 장관님의 현문즉답 토크 콘서트가 있다면 경남에는 경남교육 토크가 있습니다.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우문현답'을 모토로 현장민원실을 열었습니다. 6월 19일 창원을 시작으로, 6월 28일 통영, 7월 15일 진주, 7월 18일 거창, 7월 19일 김해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어 개최하고 있습니다. 사전에 인터넷으로 200~300명의 교사, 학부모, 및 교육에 관심 있는 분들이 참가 신청했습니다. 선착순에서 밀릴까 노심초사했는데, 다행히 참가 문자를 받았습니다. 뒤늦게 알고 동행한 분도 있습니다. 자리 없으면 서서 듣겠노라 열의를 보이셨습니다. 경치도 좋은 진성면 너른 들판에 자리 잡은 과학고등학교에 들어서니 괜히 으쓱해집니다. 제 아이가 다니는 학교도 아닌데 대한민국의 미래 동량이 공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