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학령인구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교육통계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그저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하실 것 같은데요. 하지만, 교육통계 하나만 잘 알아두면 우리나라 교육의 과거부터 미래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교육부 국민 서포터즈 '누리울림'이 하~나도 어렵지 않게 학령인구부터 다문화 학생 수까지 차근차근 아주 쉽게 풀어서 수치를 설명하고, 해석해준다고 해요!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영상으로 만나 볼까요? #교육 #통계 #교육통계 #교육기본통계 #학령인구 #교원 #학생수 #작은학교 #다문화 #학생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부 #2021년 #국민서포터즈 교육통계 하나로 우리나라 교육의 과거부터 미래까지 알 수 있다? [ 교육부 국민 서포..

언론사명 / 보도일시 : 한국경제(배태웅 기자), 한국일보(이윤주 기자) 등 / 2020. 7. 23. (목) 제목 : 공립 초․중․고 교원 채용 2023년까지 1,300명 줄인다초중등 교원 선발 700명 줄인다 등 2020년 7월 23일 발표한 에 제시된 중등교원 신규채용 규모는 2018년 발표한 수급계획을 유지한 것입니다. ※ 중등교원 신규채용규모를 2020년 대비 2024년까지 최대 650명 감축하는 것은 2018년에 기 발표된 사항 한편, 2030년 초등 학령인구가 242만명이 아닌 180만명으로 추계되어 학령인구 감소폭이 25%에 달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초등 신규채용 규모를 2018년 계획보다 감축하되, 기존 계획에 대한 신뢰 보호 및 코로나 19 상황 등을 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장기 미사용 학교용지의 활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9년 9월 16일 월요일 서울경제(김상용 기자)에서 보도된 '학령인구는 주는데… 학교용지 605만㎡ 방치'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학교용지법‘)」에 따라 300세대 이상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개발사업시행자는 교육감과 협의하여 적정한 규모의 학교용지를 확보하여야 합니다. ※ 교육감과 협의하여 확보하기로 결정된 학교용지에 대하여 시․도지사, 시장 또는 군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른 도시․군관리계획을 입안하여, 도시․군계획시설(학교시설)로 결정 다만, 개발사업 추진 지연 및 사업내용 변경, 학령인구 감소 추세, 개발사..

초등교사가 중·고교 수업을 가르치는 방안은 결정된 바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2019년 7월 14일 일요일 뉴시스에서 보도된 '학생 수 감소로 초등교사가 중학생 가르치는 길 열릴까'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초등교사가 중·고교 수업을 가르치는 방안은 결정된 바 없습니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감소, 교원 수급 규모 변화,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등 미래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범부처가 참여하는 인구 정책 T/F 및 국회, 시·도교육청, 전문가, 교육 현장의 의견청취 등을 통하여 교육 분야의 중장기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에 「교원양성 및 자격체계 개편 방안 연구」,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한 중장기 ..
“고등교육 종합발전 방안(시안)”발표 - 대학과 세상이 만나 국민행복과 창조경제로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향후 고등교육정책의 기본 방향과 내용을 담은 「고등교육 종합발전 방안(시안)」을 마련하고, 대학 현장 의견수렴을 위해 3회에 걸친 권역별 공청회를 개최합니다. 동 방안은 학령인구 감소와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여 대학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대학의 발전 전략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지난 4월부터 현장 전문가와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하는 대학발전기획단*을 구성, 70여회가 넘는 회의와 토론, 대학발전자문단 검토를 거쳐 완성되었습니다. * 6개 분과(기획‧평가체제 개선‧지방대학 육성‧전문대..
지방대학의 정의 및 범위는 무엇인지? 통상적으로 지방은 비수도권 지역을 의미하며, 비수도권 지역은「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아닌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방대학은 비수도권에 위치한 고등교육법 상의 학교(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등)를 의미합니다. 구분 수도권 지방 계 대학 수 72개교 (36%) 129개교 (64%) 201개교 대학생 수 822,369명 (37.1%) 1,395,911명 (62.9%) 2,218,280명 대학입학자 수 135,752명 (35.8%) 243,830명 (64.2%) 379,582명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2) 현재 지방대학이 위기가 맞는지? 교육 및 연구여건 등 여러 지표를 통해 지방대학이 현재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