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휴대폰 (7)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0학년도 수능시험 부정행위 예방 안내 - 수험생, 4교시 선택과목 응시 방법 및 유의사항 반드시 숙지 - 통신·결제기능, 엘이디(LED) 등이 없는 아날로그 시계만 사용 가능 - 스마트워치, 전자담배, 블루투스 이어폰 등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 유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올해 11월 14일(목)에 시행되는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부정행위 예방대책을 발표하였다. 작년 수능의 경우 293명의 학생들이 부정행위자로서 당해 시험이 무효 처리되었다. 특히, 탐구영역 선택과목 응시방법 위반(147명) 및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 소지(73명) 사례가 가장 많아, 휴대 가능 물품 및 선택과목 응시방법에 대한 수험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붙임1] 부정행위 유형 및..
학교 관리 중 휴대폰 분실시 보상, 교원 교육활동 지원 - 학칙 등에 의해 성실하게 관리하다 분실한 경우에 지원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각급학교에서 교사(敎師)가 학생의 휴대폰을 일괄 수거하여 보관하다가 분실한 경우 이를 보상․지원하는 학교배상책임공제사업이 내년 1월부터 시작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수업 중 학생의 휴대전화 사용으로 수업방해가 심각해지자 각급학교에서는 학칙 등 관련 규정에 따라 교내 휴대폰 소지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학생휴대폰 소지관련 학교규칙 현황(’13. 10, 교육부 전수조사) - 소지 허용(초 35.7%, 중 4.4%, 고 25.6%), 불허(초 5.6%, 중 10.0%, 고 9.2%), 수거후 반환(초 58.7%, 중 85.6%, 고..
“과학자나 엔지니어들도 하나만 전문적으로 파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고 봅니다. 오히려 전체를 볼 줄 아는 안목을 키우는 게 먼저라는 생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 선진화를 이끈 원동력이 엔지니어링에 있다는 것을 지금의 10대들이 얼마나 알고 있을지 사뭇 궁금합니다.” '과학자 릴레이 인터뷰' 2. 김범만 교수편 김범만현 포스텍 교수IEEE 최고 권위자 그룹뛰어난 확장성으로 3G, 4G 주파수 대역 커버이동통신 2G 주파수의 잡음과 확장성 문제 해결 (핸드폰 대중화에 결정적 기여)밀리미터파 대역 반도체 개발(기존 30배)미 텍사스 중앙연구소 (초고주파 연구) 포스텍의 김범만 교수는 IEEE(국제 전기전자 기술협회)에서 인정하는 초고주파 영역 최고 권위자 그룹에 속한다. 당연히 초고주파에 대한 이야기들이 진..
휴대전화 충전시간을 1/6로 줄이는 획기적인 충전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신기술융합 성장동력사업 지원을 받고 있는 울산과학기술대 조재필 교수 연구팀이 휴대폰 충전시간을 기존보다 1/6로 단축할 수 있는 충·방전 기술을 개발하여 차세대 전지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울산과학기술대 조재필 교수 연구팀 향후 5~10년 후 세계 기술시장 선점이 가능한 융합형 원천기술개발을 목표로 교과부가 추진하는 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의 차세대전지기술 융합연구단(연구단장 : 조재필 교수) 연구단은 차세대 플랙서블 전지의 핵심인 구형 실리콘 나노 음극소재 분말을 뭉치는 현상 없이 입자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고 균일하게 합성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나노 음극소재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은..
노트북, 휴대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리튬 2차전지의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 노영창 박사팀이 리튬 2차전지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막(separator)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고유강점기술을 육성하기 위한 교과부 원자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다. 이상 고온에서도 수축 최소화로 안정선 유지 연구팀은 현재 상용 리튬 2차전지 전지막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에 나노 알루미나를 혼합해 다공성 막을 제조했다. 그 후 막 표면에 불소계 수지, 나노 입자, 가교제 혼합용액을 코팅해 기공 구조의 고체 상태로 바꾼 후, 방사선의 일종인 전자선을 조사함..
KIST, 나노기술 이용한 고출력 이차전지 개발 고효율 이차전지 나노소재 제조 기술이 개발돼 주목된다. 16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에너지재료연구단 김일두 박사팀이 고용량 · 고출력 전지 특성의 나노섬유 전극소재를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이에 따라 한 번 충전만으로 휴대폰이나 노트북을 장시간 사용하고, 고출력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일반적으로 전지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용량 특성을 가진 음극소재가 필요하다. 특히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등에는 고출력 양극소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흑연계 음극소재는 이론 용량이 372mAh/g으로 리튬이온을 저장하는 능력에 제한이 있어 장시간 사용이 힘들다. 한..
010으로 시작되는 3세대 휴대전화를 새로 구입하면 배터리 외에 손톱만 한 크기의 카드를 하나 더 구입해야 한다.이 카드의 이름은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우리말로 하면 ‘범용가입자인증모듈’이라는 다소 긴 단어로 번역된다. 이 카드는 휴대전화 뒷면 배터리 옆에 장착하게끔 되어 있다. ‘범용가입자인증모듈’이라고 하면 무슨 소린지 알쏭달쏭하지만 이 카드는 쉽게 설명하면 아무 휴대전화에나 붙였다 뗐다 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다. 이 카드 안에는 가입자의 고유번호인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비롯해 비밀번호 등 서비스 개통에 필요한 정보가 모두 들어 있다. 다시 말하면, 자신의 휴대전화를 갖고 있지 않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