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19 결과 발표 본문

보도자료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19 결과 발표

대한민국 교육부 2020. 12. 8. 18:00

 

◈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는 지속적으로 상위 수준 유지

 (초4) 수학 3위, 과학 2위 / (중2) 수학 3위, 과학 4위


[교육부 12-08(화) 18시보도자료(국제엠바고)]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2019 결과 발표.pdf
0.66MB
[별첨] TIMSS 2019 결과 발표.pdf
2.40MB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는 2020년 12월 8일 10:00(중앙유럽 표준시각)*에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19 결과를 공식 발표하였다.

* 우리나라 시각으로 2020년 12월 8일 18:00에 공식 발표

이 연구는 초4·중2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취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고, 수학·과학 성취도와 교육 맥락변인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4년 주기로 시행되는 국제비교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는 58개국의 초등학생 약 33만 명, 39개국의 중학생 약 25만 명이 참여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18년 12월에 345개교의 학생 12,101명(초4 170개교 5,855명, 중2 175개교 6,246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나라 초4 학생의 성취도는 58개국 중에서 수학 3위, 과학 2위를 기록하였고, 중2 학생의 성취도는 39개국 중에서 수학 3위, 과학 4위로 나타나 상위 수준을 보였다.

우리나라 초4 학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 성취도는 평균 600점으로 참여국 중 3위, 과학 성취도는 평균 588점으로 참여국 중 2위이다.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19 초4 수학・과학 성취도 상위국 순위>

수학

과학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1

싱가포르

625

1

싱가포르

595

2

홍콩

602

2

대한민국

588

3

대한민국

600

3

러시아 연방

567

4

대만

599

4

일본

562

5

일본

593

5

대만

558

6

러시아 연방

567

6

핀란드

555

7

북아일랜드

566

7

라트비아

542

8

영국

556

8

노르웨이(5학년)

539

9

아일랜드

548

8

미국

539

10

라트비아

546

10

리투아니아

538

11

노르웨이(5학년)

543

11

스웨덴

537

12

리투아니아

542

11

영국

537

13

오스트리아

539

13

체코

534

14

네덜란드

538

14

호주

533

15

미국

535

15

홍콩

531

※ 성취도 점수는 평균 500, 표준편차 100인 척도점수임.

 

이 평가를 처음으로 실시한 1995년부터 주기적으로 참여한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성취도 수학 2∼3위, 과학 1∼2위 상위 수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주요국 초4 수학 성취도 추이>

1995

2011

2015

2019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1

싱가포르

590

1

싱가포르

606

1

싱가포르

618

1

싱가포르

625

2

대한민국

581

2

대한민국

605

2

홍콩

615

2

홍콩

602

3

일본

567

3

홍콩

602

3

대한민국

608

3

대한민국

600

4

홍콩

557

4

대만

591

4

대만

597

4

대만

599

6

아일랜드

523

5

일본

585

5

일본

593

5

일본

593

7

미국

518

8

핀란드

545

7

러시아 연방

564

6

러시아 연방

567

10

영국

484

9

영국

542

8

노르웨이
(5학년)

549

8

영국

556

12

노르웨이

9

러시아 연방

542

9

아일랜드

547

9

아일랜드

548

오스트리아

531

11

미국

541

10

영국

546

10

라트비아

546

라트비아

499

14

리투아니아

534

14

미국

539

11

노르웨이
(5학년)

543

호주

495

17

아일랜드

527

16

핀란드

535

12

리투아니아

542

대만

 

18

호주

516

16

리투아니아

535

13

오스트리아

539

러시아 연방

 

23

오스트리아

508

28

호주

517

15

미국

535

리투아니아

 

29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17

핀란드

532

핀란드

 

라트비아

 

라트비아

 

27

호주

516

≡ : 표집 참여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 ◇ : 평가 미참여 / ◎ : 평가 대상 학년 변경으로 점수 비교 불가

 

<주요국 초4 과학 성취도 추이>

1995

2011

2015

2019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1

대한민국

576

1

대한민국

587

1

싱가포르

590

1

싱가포르

595

2

일본

553

2

싱가포르

583

2

대한민국

589

2

대한민국

588

3

미국

542

3

핀란드

570

3

일본

569

3

러시아 연방

567

5

영국

528

4

일본

559

4

러시아 연방

567

4

일본

562

7

싱가포르

523

5

러시아 연방

552

5

홍콩

557

5

대만

558

8

아일랜드

515

5

대만

552

6

대만

555

6

핀란드

555

10

홍콩

508

7

미국

544

7

핀란드

554

7

라트비아

542

12

노르웨이

9

홍콩

535

10

미국

546

8

노르웨이
(5학년)

539

오스트리아

538

12

오스트리아

532

14

노르웨이
(5학년)

538

8

미국

539

호주

521

15

영국

529

15

영국

536

10

리투아니아

538

라트비아

476

22

아일랜드

516

19

아일랜드

529

11

영국

537

러시아 연방

 

22

호주

516

20

리투아니아

528

14

호주

533

대만

 

26

리투아니아

515

25

호주

524

15

홍콩

531

핀란드

 

33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18

아일랜드

528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라트비아

 

22

오스트리아

522

≡ : 표집 참여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 ◇ : 평가 미참여 / ◎ : 평가 대상 학년 변경으로 점수 비교 불가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 중 수월수준 학생 비율은 수학 37%, 과학 29%, 기초수준 이상 학생 비율은 수학 99%, 과학 99%였다.

 

<주요국 초4 수학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국가

평균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수월수준
(625점 이상)

우수수준 이상
(550점 이상)

보통수준 이상
(475점 이상)

기초수준 이상
(400점 이상)

싱가포르

625

54

84

96

99

홍콩

602

38

78

96

100

대한민국

600

37

77

95

99

대만

599

37

78

96

100

일본

593

33

74

95

99

영국

556

21

53

83

96

러시아 연방

567

20

61

91

99

아일랜드

548

15

52

84

97

미국

535

14

46

77

93

리투아니아

542

13

48

81

96

노르웨이(5학년)

543

13

48

82

97

라트비아

546

11

50

85

98

핀란드

532

11

42

78

95

호주

516

10

36

70

90

오스트리아

539

9

45

84

98

국제 중앙값

 

7

34

71

92

※ 각 성취수준 이상의 학생 비율을 합산하여 제시함.

 

<주요국 초4 과학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국가

평균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수월수준
(625점 이상)

우수수준 이상
(550점 이상)

보통수준 이상
(475점 이상)

기초수준 이상
(400점 이상)

싱가포르

595

38

74

93

98

대한민국

588

29

73

95

99

러시아 연방

567

18

63

92

99

일본

562

17

59

90

98

핀란드

555

15

56

87

97

대만

558

15

57

89

99

미국

539

15

48

79

94

호주

533

11

44

78

94

리투아니아

538

11

45

81

97

영국

537

10

44

81

96

노르웨이(5학년)

539

9

46

83

97

아일랜드

528

9

41

77

94

홍콩

531

8

41

79

96

라트비아

542

8

48

85

98

오스트리아

522

7

38

75

94

국제 중앙값

 

6

32

71

92

※ 각 성취수준 이상의 학생 비율을 합산하여 제시함.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은 이전 주기 대비, 수학은 수월수준, 우수수준 이상, 보통수준 이상 학생 비율이 낮았고, 과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4 수학・과학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변화(단위: %)>

과목

성취수준

1995

2011

2015

2019

수학

수월수준

25

39

41

37

우수수준 이상

70

80

81

77

보통수준 이상

94

97

97

95

기초수준 이상

99

100

100

99

과학

수월수준

22

29

29

29

우수수준 이상

67

73

75

73

보통수준 이상

93

95

96

95

기초수준 이상

99

99

100

99

▴ : TIMSS 2019가 유의하게 높음. ▿ : TIMSS 2019가 유의하게 낮음.

 

성별 비교에서는 수학・과학 모두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보다 지속적으로 높았고, 성차는 이전 주기보다 소폭 감소하였다.

 

<주요국 초4 남・여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

수학

과학

국가

남학생

여학생

차이‡

국가

남학생

여학생

차이‡

싱가포르

629

621

8*

싱가포르

598

591

8*

홍콩

604

599

6

대한민국

592

583

9*

대한민국

602

597

5*

러시아 연방

568

567

1

대만

601

597

4

일본

559

565

-6*

일본

593

593

-1

대만

559

557

2

러시아 연방

571

563

8*

핀란드

552

557

-5

영국

560

552

7

라트비아

540

544

-5

아일랜드

552

545

7

노르웨이
(5학년)

538

541

-3

라트비아

548

544

5

미국

541

536

5*

노르웨이
(5학년)

545

540

4

리투아니아

536

540

-4

리투아니아

544

540

5

영국

537

537

0

오스트리아

543

535

8*

호주

532

533

-1

미국

540

529

11*

홍콩

531

531

0

핀란드

533

531

3

아일랜드

530

526

4

호주

521

511

10*

오스트리아

525

519

6

국제 평균

503

499

 

국제 평균

489

493

 

* :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 ‡: 반올림으로 인해 제시된 차이 값과 남ㆍ여 학생의 평균 차가 일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초4 남・여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내용영역 및 인지영역별 성취도는 상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내용영역별 성취도의 ‘수’ 영역과 인지영역별 성취도의 ‘알기’와 ‘추론하기’에서 이전 주기보다 낮았고, 그 밖의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요국 초4 수학 내용영역 및 인지영역별 성취도>

국가

전체
평균

내용영역

인지영역

측정과 기하

자료

알기

적용하기

추론하기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싱가포르

625

635

5

620

13*

613

14*

640

10

626

6

614

11

홍콩

602

598

-18*

608

-9

607

-4

600

-18*

606

-14*

596

-4

대한민국

600

593

-16*

608

-3

602

-4

612

-15*

594

-1

596

-22*

대만

599

599

0

607

11*

590

-1

622

1

600

7*

576

1

일본

593

586

-6*

601

0

606

12*

597

-4

593

4

589

-6

러시아
연방

567

567

1

571

14*

560

-13*

555

-2

571

4

573

3

영국

556

559

12*

545

3

565

13*

563

9

553

9

554

14*

아일랜드

548

555

4

540

-2

543

-5

550

-4

551

3

542

7

라트비아

546

547

548

542

537

547

554

노르웨이
(5학년)

543

540

-2

546

-12*

547

-19*

541

-4

540

-10*

551

-5

리투아니아

542

538

0

543

18*

545

5

535

3

547

10*

534

-1

오스트리아

539

542

542

528

540

538

537

미국

535

542

-3

520

-6

533

-7

536

-11*

537

0

524

-7

핀란드

532

528

-4

538

-1

534

-8

531

1

531

-5

535

-5

호주

516

506

-3

516

-11*

534

2

509

0

516

-5

522

-1

* : TIMSS 2019와 TIMSS 2015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 ◇ : 평가에 참여하지 않음.

 

과학은 내용영역별 성취도의 ‘물상과학’이 이전 주기보다 높았고, ‘생명과학’과, 인지영역별 성취도의 ‘추론하기’가 낮았으며, 그 밖의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요국 초4 과학 내용영역 및 인지영역별 성취도>

국가

전체

평균

내용영역

인지영역

생명과학

물상과학

지구과학

알기

적용하기

추론하기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싱가포르

595

603

-4

613

10

557

10

588

13*

595

-4

604

-1

대한민국

588

574

-7*

607

9*

587

-4

584

3

596

2

581

-13*

러시아 연방

567

570

2

572

5

554

-8

562

-7

572

3

569

9

일본

562

550

-6

579

-8*

559

-4

535

-9*

576

0

580

-15*

대만

558

540

-4

573

5

568

13*

560

4

561

7*

552

-6

핀란드

555

558

2

544

-3

563

3

553

-3

551

-2

563

11*

라트비아

542

535

553

535

539

540

547

노르웨이
(5학년)

539

547

1

525

3

547

-2

540

8*

537

-5

540

3

미국

539

546

-9*

527

-10*

539

-1

542

-6

535

-11*

538

-3

리투아니아

538

537

10*

547

12*

525

9*

539

16*

531

5

548

10*

영국

537

537

1

537

-3

533

5

544

10*

526

-12*

544

5

호주

533

539

8

526

10*

527

7

538

15*

524

1

538

10*

홍콩

531

523

-27*

529

-26*

549

-25*

537

-25*

526

-28*

531

-22*

아일랜드

528

528

-3

523

-1

536

2

532

3

525

-5

525

0

오스트리아

522

523

519

524

523

523

518

* : TIMSS 2019와 TIMSS 2015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 ◇ : 평가에 참여하지 않음.

 

수학・과학에 대한 태도(자신감, 흥미)는 낮게 나타났다.

수학에서 자신감이 있는 학생은 64%, 흥미가 있는 학생은 60%로 나타났으나, 모두 국제 평균에 비해 낮았다.

과학에서 자신감이 있는 학생은 76%, 흥미가 있는 학생은 84%로 나타났으나, 모두 국제 평균에 비해 낮았다.

 

<초4 수학·과학에 대한 태도>

과목

교과에 대한 자신감

교과 학습에 대한 흥미

학생 비율(%)

평균

학생 비율(%)

평균

매우 자신있음

자신 있음

자신 없음

매우 좋아함

좋아함

좋아하지 않음

수학

우리나라

15

49

36

9.2

22

38

40

8.9

국제 평균

32

44

23

 

45

35

20

 

과학

우리나라

17

59

23

9.1

37

47

16

9.5

국제 평균

38

43

19

 

52

36

12

 

§ : 자신감, 흥미 점수는 평균 10, 표준편차 2인 척도점수임.

 

우리나라 중2 학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 성취도는 평균 607점으로 참여국 중 3위, 과학 성취도는 평균 561점으로 참여국 중 4위이다.

 

 

<TIMSS 2019 중2 수학・과학 성취도 상위국 순위>

수학

과학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1

싱가포르

616

1

싱가포르

608

2

대만

612

2

대만

574

3

대한민국

607

3

일본

570

4

일본

594

4

대한민국

561

5

홍콩

578

5

러시아 연방

543

6

러시아 연방

543

5

핀란드

543

7

아일랜드

524

7

리투아니아

534

8

리투아니아

520

8

헝가리

530

9

이스라엘

519

9

호주

528

10

호주

517

10

아일랜드

523

10

헝가리

517

11

미국

522

12

미국

515

12

스웨덴

521

12

영국

515

13

포르투갈

519

14

핀란드

509

14

영국

517

15

노르웨이(9)

503

15

터키

515

※ 성취도 점수는 평균 500, 표준편차 100인 척도점수임.

 

이 평가를 처음으로 실시한 1995년부터 주기적으로 참여한 이후, 우리나라 중학생의 성취도 수학 1∼3위, 과학 3∼5위 상위 수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주요국 중2 수학 성취도 추이>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1

싱가포르

609

1

싱가포르

604

1

싱가포르

605

1

대만

598

1

대한민국

613

1

싱가포르

621

1

싱가포르

616

2

일본

581

2

대한민국

587

2

대한민국

589

2

대한민국

597

2

싱가포르

611

2

대한민국

606

2

대만

612

3

대한민국

581

3

대만

585

3

홍콩

586

3

싱가포르

593

3

대만

609

3

대만

599

3

대한민국

607

4

홍콩

569

4

홍콩

582

4

대만

585

4

홍콩

572

4

홍콩

586

4

홍콩

594

4

일본

594

10

헝가리

527

5

일본

579

5

일본

570

5

일본

570

5

일본

570

5

일본

586

5

홍콩

578

11

러시아 연방

524

9

헝가리

532

9

헝가리

529

6

헝가리

517

6

러시아 연방

539

6

러시아 연방

538

6

러시아 연방

543

13

아일랜드

519

12

러시아 연방

526

10

러시아 연방

508

7

영국

513

8

핀란드

514

9

아일랜드

523

7

아일랜드

524

16

영국

498

13

호주

525

14

호주

505

8

러시아 연방

512

9

미국

509

10

미국

518

8

리투아니아

520

18

미국

492

14

핀란드

520

15

미국

504

9

미국

508

10

영국

507

10

영국

518

10

호주

517

22

리투아니아

472

19

미국

502

16

리투아니아

502

10

리투아니아

506

11

헝가리

505

13

헝가리

514

10

헝가리

517

호주

509

20

영국

496

영국

498

14

호주

496

11

호주

505

15

리투아니아

511

12

미국

515

대만

 

22

리투아니아

482

핀란드

 

핀란드

 

14

리투아니아

502

17

호주

505

12

영국

515

핀란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핀란드

 

14

핀란드

509

‡: 표집 대체학교를 포함하는 경우 표집 참여율 기준에 근접함.

≡ : 표집 참여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 : 평가에 참여하지 않음.

 

<주요국 중2 과학 성취도 추이>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순위

국가

평균

1

싱가포르

580

1

대만

569

1

싱가포르

578

1

싱가포르

567

1

싱가포르

590

1

싱가포르

597

1

싱가포르

608

2

체코

555

2

싱가포르

568

2

대만

571

2

대만

561

2

대만

564

2

일본

571

2

대만

574

3

일본

554

3

헝가리

552

3

대한민국

558

3

일본

554

3

대한민국

560

3

대만

569

3

일본

570

4

대한민국

546

4

일본

550

4

홍콩

556

4

대한민국

553

4

일본

558

4

대한민국

556

4

대한민국

561

5

헝가리

537

5

대한민국

549

5

일본

552

5

영국

542

5

핀란드

552

6

홍콩

546

5

러시아 연방

543

6

영국

533

7

호주

540

7

헝가리

543

6

헝가리

539

7

러시아 연방

542

7

러시아 연방

544

5

핀란드

543

9

러시아 연방

523

9

영국

538

9

미국

527

9

홍콩

530

8

홍콩

535

8

영국

537

7

리투아니아

534

10

아일랜드

518

10

핀란드

535

9

호주

527

9

러시아 연방

530

9

영국

533

10

아일랜드

530

8

헝가리

530

13

미국

513

15

홍콩

530

14

리투아니아

519

11

미국

520

10

미국

525

10

미국

530

9

호주

528

16

홍콩

510

16

러시아 연방

529

17

러시아 연방

514

12

리투아니아

519

11

헝가리

522

12

헝가리

527

10

아일랜드

523

23

리투아니아

464

18

미국

515

영국

544

13

호주

515

12

호주

519

15

리투아니아

519

11

미국

522

호주

514

23

리투아니아

488

핀란드

 

핀란드

515

14

리투아니아

514

17

호주

512

14

영국

517

핀란드

514

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핀란드

 

17

홍콩

504

‡: 표집 대체학교를 포함하는 경우 표집 참여율 기준에 근접함.

≡ : 표집 참여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 : 평가에 참여하지 않음.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 중 수월수준 학생 비율은 수학 45%, 과학 22%, 기초수준 이상 학생 비율은 수학 97%, 과학 96%로 나타났다.

 

<주요국 중2 수학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국가

평균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수월수준
(625점 이상)

우수수준 이상
(550점 이상)

보통수준 이상
(475점 이상)

기초수준 이상
(400점 이상)

싱가포르

616

51

79

92

98

대만

612

49

75

90

98

대한민국

607

45

74

90

97

일본

594

37

71

92

99

홍콩

578

32

66

87

96

러시아 연방

543

16

48

80

96

미국

515

14

38

66

87

호주

517

11

36

68

90

헝가리

517

11

36

68

90

영국

515

11

35

69

90

리투아니아

520

10

37

71

93

아일랜드

524

7

38

76

94

핀란드

509

5

29

69

93

국제 중앙값

 

5

25

56

87

※ 각 성취수준 이상의 학생 비율을 합산하여 제시함.

 

<주요국 중2 과학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국가

평균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수월수준
(625점 이상)

우수수준 이상
(550점 이상)

보통수준 이상
(475점 이상)

기초수준 이상
(400점 이상)

싱가포르

608

48

77

91

98

대만

574

29

64

88

97

일본

570

22

63

90

99

대한민국

561

22

56

86

96

핀란드

543

16

50

80

94

미국

522

15

43

70

88

러시아 연방

543

13

48

82

97

호주

528

13

43

74

92

헝가리

530

12

42

75

93

리투아니아

534

11

43

78

95

영국

517

11

38

69

89

아일랜드

523

10

40

73

92

홍콩

504

9

33

64

85

국제 중앙값

 

7

29

61

85

※ 각 성취수준 이상의 학생 비율을 합산하여 제시함.

 

이전 주기 대비, 수학은 보통수준 이상과 기초수준 이상 학생 비율이 낮았고, 과학은 수월수준 학생 비율이 높았다.

 

 

<주요국 중2 수학・과학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비율 변화(단위: %)>

과목

성취수준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수학

수월수준

31

32

35

40

47

43

45

우수수준 이상

67

70

70

71

77

75

74

보통수준 이상

89

91

90

90

93

93

90

기초수준 이상

97

99

98

98

99

99

97

과학

수월수준

17

19

17

17

20

19

22

우수수준 이상

50

50

57

54

57

54

56

보통수준 이상

81

81

88

85

86

85

86

기초수준 이상

95

96

98

97

97

97

96

▴ : TIMSS 2019가 유의하게 높음. ▿ : TIMSS 2019가 유의하게 낮음.

 

성별 비교에서 수학 성취도는 남・여학생 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과학 성취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주요국 중2 남・여 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

수학

과학

국가

남학생

여학생

차이‡

국가

남학생

여학생

차이‡

싱가포르

614

617

-3

싱가포르

611

604

7

대만

611

614

-2

대만

576

572

4

대한민국

609

604

5

일본

575

565

10*

일본

595

593

2

대한민국

566

555

10

홍콩

575

582

-7

러시아 연방

546

539

7

러시아 연방

546

541

5

핀란드

533

552

-19**

아일랜드

523

524

-1

리투아니아

533

535

-2

리투아니아

521

519

2

헝가리

540

520

20*

호주

519

515

4

호주

528

529

0

헝가리

524

510

14*

아일랜드

521

526

-5

미국

514

517

-4

미국

520

525

-5

영국

516

514

2

영국

515

518

-3

핀란드

507

511

-4

홍콩

503

505

-2

국제 평균

488

491

 

국제 평균

485

495

 

* :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 ‡: 반올림으로 인해 제시된 차이 값과 남ㆍ여 학생의 평균 차가 일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중2 남・여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내용영역 및 인지영역 성취도는 상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수학의 내용영역과 인지영역 성취도는 모든 영역에서 이전 주기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요국 중2 수학 내용영역 및 인지영역별 성취도>

국가

평균

내용영역

인지영역

대수

기하

자료와 확률

알기

적용하기

추론하기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싱가포르

616

611

-18*

619

-4

619

2

620

3

614

-19*

614

-5

620

4

대만

612

613

23*

618

5

623

16*

593

5

616

18*

610

8*

616

14*

대한민국

607

605

4

609

-3

617

5

598

-3

614

7

604

-2

609

1

일본

594

578

6

602

6

610

12*

594

5

589

11*

596

5

599

8*

홍콩

578

570

-25*

584

-9

596

-6

563

-34*

580

-20*

575

-20*

582

-9

러시아 연방

543

541

8

560

2

540

5

517

10

550

7

543

2

536

9

아일랜드

524

541

-4

505

4

506

3

541

7

530

3

526

6

508

-13*

리투아니아

520

514

3

518

21*

529

15*

522

1

518

16*

524

4

514

13*

호주

517

522

10*

501

11*

513

13*

533

14*

511

6

521

19*

515

3

헝가리

517

515

-2

509

6

521

3

521

2

516

5

517

1

512

-3

미국

515

520

0

520

-5

499

-1

509

-13

522

-6

515

0

507

-7

영국

515

519

-8

504

11

509

-6

523

-18*

510

-3

518

-1

512

-10

핀란드

509

515

489

511

514

505

510

506

* : TIMSS 2019와 TIMSS 2015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 ◇ : 평가에 참여하지 않음.

 

과학은 인지영역별 성취도의 ‘적용하기’가 이전 주기보다 높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요국 중2 과학 내용영역 및 인지영역별 성취도>

국가

평균

내용영역

인지영역

생물

화학

물리

지구과학

알기

적용하기

추론하기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평균

T19-T15

싱가포르

608

622

13*

616

22*

619

11

562

-3

621

27*

608

8

595

0

대만

574

576

11*

594

16*

555

-5

579

-2

600

11*

567

1

559

-2

일본

570

574

3

560

-10*

570

1

572

-2

563

-5

576

1

570

0

대한민국

561

560

6

551

0

569

5

562

7

558

3

560

8

564

4

러시아 연방

543

543

4

551

-7

540

-7

533

1

543

-14*

543

4

543

5

핀란드

543

534

545

539

558

545

537

548

리투아니아

534

535

14*

530

13*

529

16*

534

16*

527

14*

530

14*

541

15*

헝가리

530

530

9**

527

-7

528

-3

535

13*

537

12*

528

0

524

0

호주

528

531

9*

515

22

529

24**

533

11*

515

4

532

20*

536

23*

아일랜드

523

521

-13*

512

-5

519

-6

536

-6

513

-10*

521

-12

534

2

미국

522

530

-11

509

-10

515

-1

530

-5

515

-17*

523

-8

528

2

영국

517

516

-26*

512

-17***

516

-19

517

-18**

520

-3

515

-24*

513

-31*

홍콩

504

501

-48

485

-51**

510

-30*

512

-46

501

-46*

501

-39

504

-47*

* : TIMSS 2019와 TIMSS 2015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 / ◇ : 평가에 참여하지 않음.

 

수학・과학에 대한 태도(자신감, 흥미, 가치인식)는 낮게 나타났다.

수학에서 자신감이 있는 학생은 46%, 흥미가 있는 학생은 40%,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70%로 나타났으나, 모두 국제 평균에 비해 낮았다. 과학에서 자신감이 있는 학생은 34%, 흥미가 있는 학생은 53%,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66%로 나타났으나, 모두 국제 평균에 비해 낮았다.

 

<중2 수학·과학에 대한 태도>

과목

교과에 대한 자신감

교과 학습에 대한 흥미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

학생 비율(%)

평균

학생 비율(%)

평균

학생 비율(%)

평균

매우 자신있음

자신 있음

자신 없음

매우좋아함

좋아함

좋아하지않음

매우
가치
있음

가치
있음

가치
없음

수학

우리나라

8

38

54

9.5

8

32

61

9.0

14

56

30

8.5

국제평균

15

42

44

 

20

39

41

 

37

47

16

 

과학

우리나라

9

25

65

8.9

12

41

47

8.7

16

50

34

9.1

국제평균

23

39

38

 

35

44

20

 

36

42

22

 

§ :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 점수는 평균 10, 표준편차 2인 척도점수임.

 

전진석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를 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과학의 성취도는 세계적으로 상위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라고 설명하면서, “앞으로 첨단 기술 기반 체험·탐구 중심 수업, 맞춤형 자기주도 학습 지원, 학생 발달 수준에 따른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등을 통해 수학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 등 정의적 태도도 함께 높여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2019’ 결과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수학교육과 과학교육의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해 나갈 예정이다.

 

[별첨] TIMSS 2019 상세 결과

 

※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