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본문

◈ 사교육 총액(↓11.8%)과 참여율(↓7.9%p) 전년 대비 감소
- 고등학교는 총액 및 참여율 1차 조사(3-5월) 감소, 2차 조사(7-9월) 증가
◈ 초중고 학생 기초학력 지원 강화 및 고교 교육 내실화 지원 등 사교육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 강화
◈ 잠재된 사교육 수요에 선제 대응하고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주요 교육정책 지속 추진
초중고사교육비조사는 사교육비 지출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교육정책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
본 내용은 통계청이 교육부와 공동으로 전국 초중고 약 3,000여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임
|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개요 |
||
|
o 주요 변경내용 - 연간추정: 연간화 미적용 - 대상기간: 연간 → 조사대상기간(3~5월, 7~9월) - 공표대상: 2019~2020년* - 공표범위: 부록 참조(p,43) ※ 조사시기별, 권역별 주요 통계를 보조정보로 추가 제공 * 전년 비교를 위해 연간화 미적용 2019년 통계를 동시 제공하며, 2018년 이전 연간화 미적용 통계는 제공하지 않음(2020년 연간화 적용 통계는 추후 공표 예정임) o 사교육비 범위 - 초중고 학생들이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사적인 필요에 의해서 학교 밖에서 받는 보충교육을 위해 개인이 부담하는 비용임 - 학원, 개인과외, 그룹과외, 방문학습지, 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의 수강료 지출 비용을 의미함 - 일반교과(국어, 영어, 수학 등) 및 논술, 예체능(음악, 미술, 체육) 및 취미교양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함 - 방과후학교, EBS 교재비, 어학연수비 등은 사교육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며 별도 항목으로 조사함 - 다만, 진로·진학 학습상담은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통계작성방법 변경에 따라 사교육비 범위에서 금년도에 한해 제외함 (부록 참조) -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우리나라 초중고 전체학생(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 포함)을 대상으로 한 평균 금액임 - 사교육 참여율은 전체학생 중 사교육비를 지출한 참여학생의 비율임 -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는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로 제공 - 2020년: 국가통계포털 ⇒ <주제별 통계> ⇒ <교육·훈련> ⇒ <초중고사교육비조사(2020년)> o 유의사항 - 사교육비 금액은 물가상승분이 포함된 명목 금액임 - 연간화가 적용되지 않은 2019년과 2020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는 기존 조사결과들과 구분하여 별도 제공됨 - 기공표된 2019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는 연간화되어 있으므로, 자료 이용에 주의 필요 - 동 조사는 학생(개인)단위로 조사되므로 가구단위 통계와 차이가 있음을 유의할 필요 -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하위항목 금액의 합계가 실제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 - 통계표에 0.0은 “단위미만”, -는 “해당숫자 없음”을 의미함 - 표본조사 결과에는 표본오차와 비표본오차가 포함되어 있음 o 향후 일정 - 연간화된 2020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통계작성 및 공표: 2022. 3.* * 2021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공표 시점
|

|
|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요약) |
|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약 9.3조원, 사교육 참여율은 66.5%, 주당 참여시간은 5.3시간으로 전년대비 각각 11.8%, 7.9%p, 1.2시간 감소 * 6개월(3~5월, 7~9월) 기준임 |
2020년 사교육비 총액은 약 9조 3천억원으로 전년도 10조 5천억원에 비해 1조 2천억원(-11.8%) 감소
전체 학생수 및 참여율과 주당 참여시간 모두 전년대비 감소
|
【 사교육비 총액 및 전체 학생수 】 |
【 참여율 및 주당 참여시간 】 |
||||||
|
구 분 |
2019년 |
2020년 |
|
구 분 |
2019년 |
2020년 |
|
|
증감률 |
전년차 |
||||||
|
사교육비 총액 (조원, %) |
10.5 |
9.3 |
-11.8 |
참여율 (%, %p) |
74.3 |
66.5 |
-7.9 |
|
전체 학생수 (만명, %) |
545 |
535 |
-1.9 |
주당참여시간 (시간) |
6.5 |
5.3 |
-1.2 |
|
전체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8만9천원, 참여학생은 43만 4천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0.1% 감소, 0.3% 증가 |
(전체학생) 초등학교 22만 1천원(6.9만원, 23.7%↓), 중학교 32만8천원(1.2만원, 3.4%↓), 고등학교 38만8천원(2.2만원, 5.9%↑)임
(참여학생) 초등학교 31만8천원(3.1만원, 9.0%↓), 중학교 49만2천원(1.2만원, 2.5%↑), 고등학교 64만원(3.2만원, 5.2%↑)임

|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구간별 비중은 월평균 10만원 미만 지출한 학생의 비중이 전년대비 1.5%p 증가함 |
월평균 10만원 이상 지출한 학생의 비중은 전년도에 비해서 감소하였으나, 10만원 미만 지출한 학생의 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일반교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학생의 경우 23만원이고, 참여학생의 경우 43만 6천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3.0% 감소, 4.4% 증가 |
(전체학생) 수학(9만원), 영어(9만원), 국어(2만4천원) 순으로 많이 지출
전년대비 국어(3.4%)와 사회・과학(0.5%)은 증가하였으나, 영어(-4.8%)와 수학(-0.5%)은 감소
(참여학생) 영어(21만 7천원), 수학(20만 4천원), 사회・과학(12만 2천원) 순으로 많이 지출
전년대비 사회・과학(11.7%), 국어(10.8%), 수학(6.1%), 영어(1.4%) 모두 증가

|
일반교과 관련 사교육 목적은 학교수업보충, 선행학습이 전년대비 증가하였으며, 예체능 관련은 진학준비, 취미·교양 및 재능계발 등이 증가함 |
일반교과는 학교수업보충(50.0%),선행학습(23.7%),진학준비(14.5%)에서 비중이 높았으며 전년대비 학교수업보충, 선행학습은증가, 진학준비 등은 감소
예체능 관련은 취미・교양 및 재능계발(59.3%)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전년대비 진학준비, 취미・교양 및 재능계발 등은 증가, 학교수업보충,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는 감소

|
가구의 월평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과 참여율이 높았음 |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비는 50만 4천원으로 가장 높고,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사교육비는 9만 9천원임
사교육 참여율은 월평균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경우 80.1%로 가장 높고, 200만원 미만 가구가 39.9%로 가장 낮게 나타남

|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9.5%, 진로·진학 학습상담 참여율은 2.4%, 어학연수 참여율은 0.4%임 |
방과후학교 총액은 약 3백억원이고 참여율은 9.5%로 전년대비 각각 94.2%, 39.2%p 감소
진로·진학 학습상담 총액은 약 8백억원이고 참여율은 2.4%로 전년대비 각각 5.1%, 0.1%p 증가
어학연수 총액은 약 1천 5백억원이고 참여율은 0.4%로 전년대비 각각 24.0%, 0.2%p 감소
|
【 방과후학교, 진로·진학 학습상담, 어학연수 총액 및 참여율 】 |
||||||
|
구 분 |
총 액(억원, %) |
참여율(%, %p) |
||||
|
2019년 |
2020년 |
|
2019년 |
2020년 |
|
|
|
전년차 |
||||||
|
증감률 |
||||||
|
방과후학교(유·무상)* |
5,312 |
309 |
-94.2 |
48.7 |
9.5 |
-39.2 |
|
진로·진학 학습상담* |
736 |
774 |
5.1 |
2.3 |
2.4 |
0.1 |
|
어학연수* |
1,953 |
1,485 |
-24.0 |
0.6 |
0.4 |
-0.2 |
|
* 방과후학교(6개월: 3~5월, 7~9월), 진로·진학 학습상담(연간: 1~12월), 어학연수(8개월:1~5월, 7~9월) |
||||||

※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교육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0) | 2021.03.11 |
|---|---|
| 교육부, 국립대병원 공공성을 강화한다. (0) | 2021.03.11 |
| 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특징 및 대응방안 (0) | 2021.03.09 |
| 철도 공공기관 직업계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0) | 2021.03.09 |
| 범정부 제4차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본계획 발표 (0)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