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공식 블로그
제3차 교육정책 열린 대화 개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평가 및 교육복지 발전방안 모색 - 본문
□ 교육복지 대표정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과거와 현재 논의
□ 코로나19 이후 시대 모든 학생의 성장을 위한 교육복지 발전방안 모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한양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와 공동으로 제3차 ‘교육정책 열린 대화’를 3월 11일(금), 오송&세종컨퍼런스회의실(충북 청주 소재)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한다.
‘교육정책 열린 대화’는 미래교육 방향 정립 등을 위해 연속 기획으로 마련되어 지난 2월 23일(수)(주제 : 산학연협력), 2월 28일(월)(주제 : 고등교육) 진행된 바 있으며, 이번 제3차 열린 대화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평가 및 교육복지 발전방안 모색’을 주제로 진행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NqMvK/btrvEGXRVrM/WWFuGrcNSDkqv3tjkYkrmk/img.png)
제3차 ‘교육정책 열린대화’에서는 교육 전문가, 현장 전문가 등이 2003년부터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교육복지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주제 발표를 맡은 한양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의 송지훈 소장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평가 및 교육복지 발전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 광주광역시교육청 박상철 장학사, 서울교육대학교 김성식 교수, 대구대학교 김민희 교수, 경기도교육청 서동미 교육복지조정자 등 토론자들이 지난 20년간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와 한계를 되짚어보며 향후 교육복지정책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아울러, 시도교육청 교육복지담당자, 교육지원청 교육복지안전망 담당자, 중앙교육복지연구지원센터(KEDI) 관계자 등도 온라인으로 참석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고,
- 토론 현장도 온라인으로 생중계(유튜브)하여 참석자들이 통신대화(채팅)을 통해 토론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정종철 교육부차관은 “아이엠에프(IMF) 이후 서민층과 중산층 자녀의 적극적인 지원을 위해 도입·확대해 온 교육복지정책은 이제 ‘결핍모형’을 벗어나 모든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성장모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라며,
“교육부는 모든 학생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현장과 지속해서 소통하고, 보편적 복지 실현과 보다 두터운 선별적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복지 발전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소득층 중·고생의 꿈을 향한 걸음,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이 지원합니다 - 2022년 신청 기간, 대상, 지원내용 안내 - (0) | 2022.03.13 |
---|---|
2021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 주요 특징 및 대응방안 (0) | 2022.03.11 |
탄소중립 실천, 학교에서 시작합니다 - 2022 탄소중립 중점학교 지원 사업 선정 결과 발표 - (1) | 2022.03.09 |
2022학년도 1학기 개학 첫 주 학사운영 등 현황(3.8.) (0) | 2022.03.08 |
교육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교섭‧협의 합의-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지위 향상을 위해 25개조 35개항 합의 -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