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부 소식/영상·카드뉴스·인포그래픽 (1191)
교육부 공식 블로그

👩 🦱: 초1인데 공부에 집중을 못해요. 👨 🦱: 맞벌이라 공부를 계속 봐줄 수가 없어요. 초등학생 대상 AI 학습지원시스템 삼총사가 우리 아이의 학습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카드뉴스로 함께 알아볼까요?! #교육부 #초등학생 #AI학습지원시스템 #책열매 #똑똑수학탐험대 #펭톡 "우리 아이는 책을 너무 안 읽어서 걱정이에요." 책열매 ▶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맞춤 도서를 추천할 뿐 아니라, 어휘력을 진단하고 보정까지 해줘요. ▶ #독서습관 #어휘력 한번에 OK! "우리 아이는 수학이 어렵다고 너무 싫어해요." 똑똑! 수학탐험대 ▶ 게임기반 콘텐츠로 아이들에게 흥미를 끌어 학교뿐 아니라 집에서도 스스로 공부할 수 있어요. ▶ #집중력 #학습력 한번에 OK! "우리 아이는 영어말하기를 너무 힘들어해요." AI..

보여줄게! 달라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고 선택권을 존중하기 위해 수능이 달라졌다! 어떤 점들이 달라졌는지 카드뉴스에서 살펴보시죠! ▶자세히 보기: https://vo.la/IWgYJ #교육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왜, 어떤 것들이 달라졌나요?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시험 체제가 개편돼요 ※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영역 예외 ▶ 문·이과 취지*가 반영됐어요 * 2015 개정 교육과정 ▶ 학생들의 수험부담을 완화하고 과목 선택권 강화를 위해 개편됐어요 달라진 점 하나! 국어, 수학, 직업탐구 영역 공통+선택과목 구조 도입 ▶ 적성과 진로에 맞고 잘할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달라진 점 둘! ..

👩🏻: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이래. 🧑🏻: 응. 3년 먼저 실시하는 학교도 있어 👩🏻: 정말? 어디야? 🧑🏻: 카드뉴스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까? ▶자세히 보기 : bit.ly/2PSDIUr #교육부 #고교학점제 #마이스터고 #직업계고 #특성화고 직업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우선 도입 ✔ 2020년 마이스터고(직업계고) ✔ 2022년 특성화고(직업계고) ✔ 2025년 일반고 미래 산업사회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마련 ✔ 전문교과Ⅱ→ 전문교과 NCS 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 직업계고 학생을 위한 보통교과 신설 ✔ 최소 성취수준 적용 미도달 학생, 보충학습 지원 ✔ 계절수업 활성화 8월 ✔ 학교 밖 학습경험을 학점으로 인정 ✔ 3학년 2학기 사회진출 준비를 집중 지원하는 전환학기 운영 직업계고 학..

고교학점제 그것이 궁금하다! 現 초등학생·학부모 필독! 🙋🏻♂️: 고교학점제가 뭔가요? 학점 못 따면 졸업 못해요? 🙋🏻♀️: 시간표를 직접 짠다는데 모든 과목을 다 선택할 수 있나요? 카드뉴스를 통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교육부 #고교학점제 #초등학생 #학부모 고교학점제가 뭐야? ✔ 학생이 스스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듣는거야. ✔ 우리나라 고등학생도 대학생처럼 교실을 옮겨 다니면서 이동수업을 하는 거야. ✔ 맞아. 내가 신청한 과목으로 시간표를 직접 짜는 거지. 학급별 시간표가 아닌 나만의 시간표가 생기는 거야. 고교학점제, 뭐가 핵심이지?! ✔ 고등학교 3년 동안 192학점을 이수해야 해. 현재 204단위 보다 줄어 들어. 50분 수업을 16회 듣게 되면 1학점이 되는 거야! ✔ 고등학교..

코로나 19로 등장한 온라인 등교와 함께 주목받고 있는 학습법 "자기주도학습"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중요한 것은 부모의 계획이 아닌 아이 스스로 세운 계획! 부모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계획은 어떻게 세우면 좋을지 함께 알아볼까요? #교육부 #초등학생 #학습공백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이란? 아이 스스로 자신에게 잘 맞는 공부법, 현재 자신의 공부 수준과 위치 등을 파악하고 채워가는 과정 1단계: 마음먹기(목표 설정) ✔ 아이가 목표를 세우고, 꿈을 가질 수 있도록 본격적인 대화 시작 ✔ 지금 하는 공부의 주인이 다른 사람이 아닌 아이 자신임을 인식하도록 지원 "공부는 누구를 위해서 하는 것일까?" "부모님도, 선생님도 아닌 바로 저를 위해서요!" 2단계: 도전하기(공부 계획 수립) ✔..

더 깨끗하고 투명한 사립유치원 만들기 대작전 학부모는 안심하고 유치원 선생님은 근로 의욕이 상승한다?! 사립유치원의 투명성과 책무성을 강화해나가고 행·재정적 지원으로 건전한 사립유치원을 만들기 위한 교육부의 든든한 계획! 함께 살펴볼까요? 자세히 보기: https://bit.ly/3bADYjB #교육부 #사립유치원 #투명성 #책무성 #공공성 건전한 사립유치원 육성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충실하게! ✔ 누리과정 지원 단가 인상 학급 운영비 지원 확대 ✔ 방과후 과정비 지원 기준 완화 ✔ 적립금 제도 개선 및 적립내역 공시 ✔ 가업상속 공제 대상에 유치원 포함 "행정·재정 지원이 유치원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적립금 관련 자료를 투명하게 볼 수 있다니 안심이 돼요!"..

🤷 ♀ 2025년 ○○○○○로 고등학교가 달라진다? 🤷 ♂ 2009년생인 초등학교 6학년 이하는 주목! 2025학년도부터 도입되어 고등학교를 확~ 바꿀 ○○○○○를 소개합니다! ▶자세히 보기: https://c11.kr/mgqn #교육부 #2025학년도 #고교학점제 2025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가 도입되어 고등학교가 확~ 달라집니다! Q. 고교학점제?? A. 고등학생도 대학처럼 학생이 진로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192학점을 채우면 졸업하는 제도야! Q. 내가 원하는 과목으로 나만의 시간표가 생긴다? A. 진로에 맞는 과목을 직접 선택해서 공부할 수 있어! 대학교처럼 나만의 시간표가 생기는 거지! A. 학생이 원할 경우, 특목고 수준의 심화·전문 과목, 직업계열의 과목 등 다양한 과목을 선..

대학과 지역의 중심에서 혁신인재 양성을 외치다📢 지역인재의 유출을 막고 지역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부가 계획을 세웠습니다! 카드뉴스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교육부 #지방대학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지속가능한 고등교육 생태계 전환 지원 ◆ 공유성장형 지역고등교육 생태계 구축 ◆ 지방대학 제도개선 및 재정지원 확대 ◆ 지방대 우수인재 유입을 위한 유인책 마련 혁신 선도자로서 지방대 육성을 위한 전략적 특성화 지원 ◆ 글로벌 지방대 육성 ◆ 뉴딜인재, 디지털 인재 양성 지원 대학의 질적 혁신을 위한 체계적 관리 지원 ◆ 지방대학 체계적 관리(적정 규모 관리 + 한계사학 등 관리) ◆ 평생직업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체질 개선 캠퍼스 공간 혁신으로 산학협력 촉진 ◆ 도심융합 특구 등 지역청년 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