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거중기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거중기의 원리 ■ 일의 원리인간은 오래전부터 적은 힘으로 큰 물체를 옮기거나 드는 일을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도구를 발명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지레를 발명하여 큰 돌을 옮길 수 있었으며, 도르래를 사용하여 큰 물체를 들어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현재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시소, 병따개, 손톱깎이, 자전거 기어 등이 도구를 사용한 예입니다. ▲ 일의 원리가 적용된 시소, 손톱깎이, 병따개(출처: 에듀넷) 그러면 일의 원리란 무엇일까요? 일을 하기 위해 도구를 사용할 때 한 일의 양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한 일의 양과 같은데 이를 일의 원리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왜 도구를 사용할까요? 바로 힘에 이득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큰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옮길..
교육과 재미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나들이 장소 체험 거리 가득한 수원 화성으로 봄 나들이 화성열차 I 정조대왕 I 건축기술 I 국궁체험 I 연무대 I 붕당정치 I 타종체험 I 효원의 종 코끝에 스치는 바람이 제법 보드랍습니다. 다시 찾아온 이 봄에 집 안에만 있기 답답하시다고요? 특히나 학생이 있는 집 부모님들은 '놀토'를 알차게 보낼 방법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렇다고 해서 아무 데나 가고 싶지는 않고, 어디 교육과 재미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나들이 장소는 없을까요? 교사로서 아이들에게 역사공부를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보다가 수원 화성에 재미있는 체험거리를 통해 역사를 배울 수 있다는 정보를 얻게 되었어요. 사적 3호인 수원 화성은 아버지 장헌세자(사도세자)에 ..
'박물관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라는 궁금증에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에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우연히~ 이 '큐레이터와의 대화'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는데요. 큐레이터는 ‘전시연구기획자’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더 쉬울 것 같습니다.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방문객들이 더 깊이 있는 설명을 듣고 직접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답을 들을 수 있는 시간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매주 수요일 저녁, 약 4~5개 프로그램이 6시 30분, 7시 30분에 운영하고 있는데요. 저는 ‘정조와 수원화성’, ‘죽간’을 들었습니다. 제가 들은 강의! 같이 살펴볼까요? 18세기 정조는 지금의 수원에 화성이라는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아버지 사도세자를 복권, 자신의 정통성을 강화했죠. 그런 점에서 화성은 정조에게 상당히..
국립중앙과학관에서는 청소년 과학 도슨트 를 발굴하기 위하여 얼마전에 '제1회 청소년과학도슨트 UCC공모전'을 개최하였습니다. 도슨트(Docentㆍ안내인)란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서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을 설명해 주는 해설사인데요. 과학관에도 과학기술관련 전시품의 과학원리를 해설해주는 도슨트가 생긴다니 관람이 너무 재밌어질 거 같죠? 이번 공모전의 수상작들을 쭉 보는데 특히 제 눈에 띠는 UCC가 있었습니다. 그건 바로 대상을 받은 대덕초 지식나눔팀의 UCC '선조들의 지혜-거중기'였는데요. 원리도 너무 쉽게 설명해 주었지만 위트 있는 대사 덕분에 저도 모르게 키득키득 웃게되더라구요. 어떻게 이렇게 재밌는 UCC를 만들었나 싶어 호기심이 생긴 저는 대덕초 지식나눔팀의 유지용 어린이를 인터뷰했습니다. 그 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