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고교학점제 (76)
교육부 공식 블로그

디지털 전환, 기후환경 변화, 학령인구 감소 등 시대에 변화에 대응한 ‘2022 개정 교육과정’ 대공개! ‘국민과 함께하는 교육과정’ 이라는 비전 아래 시행될 네 가지 주요 과제를 소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만나 볼까요?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혁신 - 학교급별 발달 단계에 따라 내용 기준 개발 및 모든 교과의 디지털 소양을 강화 - 기후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생태환경교육을 교육목표와 전 교과의 내용 요소에 반영 -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이 차별 받지 않고 학교간 교육격차를 완화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 마련 - 특수교육 과정의 기본교육과정 성격 확립 - 장애 특성과 정도 등을 고려, 교과 이외의 '일상생활 활동'을 신설 학습자 맞춤형 교육 강화 - 상급학교(초등학교6, 중학교3, 고등학교..

교육의 대전환 고교학점제는 올해 중학교 3학년이 고등학생이 되는 2023년부터 2024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되어,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입니다. 곧 시행될 고교학점제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만나 볼까요? 고교학점제 완전 정복! 고교학점제란?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 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 시행 배경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이 각각 다르므로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개인별 맞춤형 교육 시행 기존 수업 방식과 달라지는 점 고등학교 1학년 : 공통 과목 이수 고등학교 2~3학년 : 학생이 직접 선택하여 과목 이수 (선택 과목 비율 70%이상) 석차등급 표기가 아닌, 성취평..

여러분은 고교학점제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으신가요? 뉴스에서, 주변에서 자주 들리는 만큼 들어본 적은 있지만, 아직 그 개념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거나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잘 모르시진 않나요? 이런 고민을 가진 분들을 위해, 오늘 이 시간 누리울림에서 고교학점제를 소개하려고 해요. 자꾸 들어도 알쏭달쏭한 고교학점제,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알고 가자고요! 고등학생 진학을 앞둔 친구나 자녀를 둔 부모님께서 읽으시면 더 좋을 거예요! Chapter 01. 고교학점제란 무엇일까? 고교학점제란, 쉽게 말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들으면서 고등학교 졸업에 다가서게 하는 제도예요. 자신이 희망하는 진로에 맞게 다양한 과목을 선택해 수강하고, 목표 수준에 도달하면 해당 과목을 이수하게 돼요. 그렇게 수업을 하나하나 듣..

언론사명 : 한겨례 / 2022.3.2.(수) 제목 : 교육부, ‘고교학점제 맞춤형 전형’ 대학에 재정 지원한다. <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교육부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을 통해 대입전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고, 각 대학이 고교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대입전형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평가지표 등 세부내용에 대해 논의 중이며, 교육부는 2022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정하여 3월 중순에 기본계획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 보도자료 전체보기는 상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교육부 업무계획을 소개합니다. ✓ 코로나 위기를 넘어 학교 일상회복 ✓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미래교육 대전환 지금 바로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교육부 #일상회복 #미래교육 #고교무상교육 #국가장학금 #코로나19 #고교학점제 #지역혁신플랫폼 #평생학습 https://www.youtube.com/watch?v=IvKbAV7u3hM&t=337s

최근 법원(1심 재판부 및 2심 일부 재판부)*은 2019년 자사고 운영성과평가 당시, 일부 변경된 평가지표를 사전에 안내하지 않은 부분 등에 절차상 하자가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 * (1심) 서울 4건(8개교). 부산 1건(1개교), 경기 1건(1개교) / (2심) 부산 1건(1개교) 이에 서울‧부산교육청은 2025년에 일반고 전환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그동안의 소모적인 갈등을 종결하고,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등 시대적 요구에 더 충실히 부응하기 위해 소송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 교육부는 절차상 하자가 있다는 법원의 판단에 대해 소송을 중단하겠다는 서울‧부산교육청의 결정을 존중하며, 미래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해 자사고‧외고‧국제고를 일반고로 전환하는 새로운 고교체제 마련은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직무대리 겸 부원장 홍미영)은 ‘2021학년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성과발표회’(이하 성과발표회)를 1월 27일(목)에 개최한다. 이번 성과발표회는 2021학년도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 및 성과와 우수연구학교 사례를 공유하고, 고교학점제의 현장 안착과 발전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과 의견을 나누고 소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이번 성과발표회는 2022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를 운영하는 학교가 대폭 확대됨에 따라 신규 연구‧선도학교 교원들도 함께 참여하여 연구학교 운영 사례를 확인하고, 고민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수(일반계고 기준) : (2021) 939개교(55.9%) → (2022) 1,413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