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립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임용시험 공고일) 2021. 9. 15.(수) ※ 중등·특수(중등)·보건·영양·사서·전문상담의 경우 2021. 10. 15.(금) 예정 ’21.9.15.(수) 10:00에 시·도교육청별 누리집을 통해 발표될 ’22년 공립 유치원·초등·특수(유·초) 교원 임용시험 선발 규모를 취합하여 제공해 드리는 것입니다. 유치원교사 선발공고 인원 시도 사전예고(A) (8.12) 모집공고(B) (9.15) 증감 (B-A) 합계 466 579 113 서울 40 42 2 부산 50 50 0 대구 9 10 1 인천 60 65 5 광주 5 5 0 대전 2 2 0 울산 3 11 8 세종 7 10 3 경기 38 108 70 강원 22 22 0 충북 15 15 0 충남 34 39 5 전북 16 26 10 전남 30 38 8 경북 ..

(사전예고 개요) 시․도교육청은 신규교사 임용시험(매년 11월) 6개월 전까지 선발예정인원 및 선발 교과(중등)를 사전에 공고 다만, 교원수급 관련 특별한 사유 발생 시, 시험일 3개월 전까지 예고 가능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제9조 (사전예고 공고일) ’21. 8. 23.(월) (사전예고 규모) 17개 시․도교육청에서 3,917명 선발 규모 공고 (최종선발 규모) 임용시험을 최종 공고하는 ’21. 10월에 확정될 예정이며, ’20.7.23. 발표한 교원수급계획 상의 채용규모(4,270명~4,410명) 수준 선발 전망 ’21.8.23.(월) 10:00에 시·도교육청별 누리집을 통해 발표될 ’22년 공립 중등 교원 임용시험 사전예고 채용 규모를 취합하여 제공해 드리는 것입니다. 시・도별 ..

(사전예고 개요) 시․도교육청은 신규교사 임용시험(매년 11월) 6개월 전까지 선발예정인원 및 선발 교과(중등)를 사전에 공고 다만, 교원수급 관련 특별한 사유 발생 시, 시험일 3개월 전까지 예고 가능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제9조 (사전예고 공고일) ’21. 8. 12.(목) ※ 중등 공립 교과교원의 경우 ’21. 8. 20.(금) 예정 (사전예고 규모) 17개 시․도교육청에서 3,455명 선발 규모 공고 서울지역 선발규모는 감소하나, 수도권 선발 규모는 증가* * 수도권 사전예고 규모 : (’21년) 1,572명 → (’22년) 1,758명(↑186명) (최종선발 규모) 임용시험을 최종 공고하는 ’21. 9월에 확정될 예정이며, ’20.7.23. 발표한 교원수급계획 상의 채용규모(..

제1회 유아교육 상생발전협의회 개최 - 현장과 함께 ‘공‧사립 유치원 상생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 시작 - 학부모·유치원 교원, 제도 개선 과제 발굴부터 방안 마련까지 참여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0월 1일(화) 제1회 ‘유아교육 상생발전협의회’를 개최하여 ‘(가칭)공‧사립 유치원 상생발전방안(이하 ’상생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를 시작한다. 올해 5월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은 현장 소통을 바탕으로 ‘상생발전방안’ 마련을 위해 지역과 중앙에 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했고, 그 간 교육청 중심으로 지역별 협의회를 만들어 지역의 여건을 반영한 제도 개선 과제를 발굴하는 등의 활동을 진행했다. 지역별 협의회가 제안한 내용 중 보다 큰 틀에서 논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중앙단위인 ‘유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