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제학업성취도평가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우리나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수학 1∼2위, 읽기 1∼7위, 과학 2∼5위 기록 전체 참여국 81개국 중 수학 3∼7위, 읽기 2∼12위, 과학 2∼9위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는 12월 5일(화) 19시*에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 2022 결과를 공식 발표하였다. * 프랑스 파리 시각 2023년 12월 5일(화) 11:00 ※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는 만 15세 학생(중3~고1)의 수학, 읽기, 과학 소양의 성취와 추이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고 교육맥락 변인과 성취 사이의..
국제학업성취도평가의 진실! 창시자의 목소리로 들어보자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는 2000년부터 3년 간격으로 OECD국가들을 대상으로 치러지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Reading, Science, Mathematics 총 세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인 정기고사와 달리 학생에게 창의력과 사고력을 요구합니다. 이 시험은 21세기 인재양성에 효과적인 교육제도를 시행하고 있는지 판단해주는 시험이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시험과 다른 만큼 시험에 대한 관심은 현재 대한민국에서도 높은 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험을 만든 목적에 대해 궁금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과연 창시자는 교육에 대한 어떤 관점과 가치로 이 시험을 만들었을까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 창시자에게 물어봤습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의..
매해 치러지는 OECD 주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는 중하위권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경쟁력 세계 5위에 과학 강국을 자랑하는 독일은 교육체계가 탄탄한 교육 강국입니다. 이렇게 역사의 반성에서 출발해 다시 성공적인 인재양성을 이끌어 오던 독일교육에도 혹독한 시련이 찾아옵니다. 바로 지난 2006년 독일을 떠들썩이게 한 학교폭력 동영상인데요. 베를린의 한 학교에서 일어난 폭력사태, 이 사태는 독일 교육계에 큰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이 영상은 교내 폭력에 손 쓸 방법이 없었던 교사들이 교내 경찰 투입 또는 학교 폐쇄를 요청하는 극단적인 상황으로까지 끌고 갔습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독일에서도 학교폭력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였습니다. 심각한 문제로 대두한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독일은 여러모로 노력을 ..
행복한 학교를 꿈꾸는 STEAM 교육공부가 즐거운 아이들, STEAM에서 길을 찾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PISA)에서 매년 상위권을 차지하는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감’과 ‘흥미도’는 최하위권에 속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지수도 OECD 23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 우리 아이들은 행복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행복하기를 바라며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교육을 받는 아이들이 행복하지 않다면 우리는 교육에 대해 반성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공부가 재미있고 몰입할 수 있는, 그래서 아이들이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행복한 학교가 있다고 합니다. 지금 만나볼까요? 1. 미술을 품은 과학 최하영군(13세, 수문초등학교)은 요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