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본계획 (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 시험 시행: 2023년 11월 16일(목) / 성적 통지: 12월 8일(금) ◈ 2022학년도부터 시행되는 체제(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 ‘공통+선택 과목’ 구조, 제2외국어/한문 영역 절대평가 등) 동일 적용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3학년 때 응시하게 될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을 8월 24일(화)에 발표한다. 시험은 2023년 11월 16일(목)에 시행되고, 성적은 2023년 12월 8일(금)에 통지될 예정이다.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 ‘공통+선택 과목’ 구조, 제2외국어/한문 영역 절대평가 등 올해 11월 18일(목)에 시행되는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체제가 그대로 적용된다. 이 같은 내용을 구체화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 모든 학생의 교육회복을 위해, 2022년까지 집중·총력 지원 - 내년까지 중앙정부 예산 약 8,000억원 투입(*당초 계획보다 12배 추가 투입) - 2024년까지 총 3조원 투입하여, 전국 28명 이상인 과밀학급 적극 해소 - 교육감협의회, 8월 중, 2021년 추경 증액분 반영한 세부계획 발표 예정 ◈ 「교육회복 종합방안」 기본계획 주요내용 ❶ (기초학력보장) 초중고 학생의 1/3이 넘는 203만 명 학생들에게, 교과보충 특별프로그램 ’학습도움닫기‘ 운영 및 수강료 전액 지원 * ‘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기준 1수준(기초학력 미달) 추정 학생 수 대비 3~6배 해당 * 현직교원 등이 소규모 3~5명 또는 1:1 지원(약 178만명), 교·사대 예비교원 튜터링(약 24만명) ❷ (맞춤형 학습지원..

◈ 전년(123억 원) 대비 약 2배(236억 원) 수준의 예산을 확보하여, 2021년 전 세계 43개국 1,800개교의 한국어교육 지원 목표 ◈ 13억 인구의 인도, 유라시아 진출의 교두보인 러시아, 잠재력이 큰 베트남에서 한국어 채택 및 교육과정이 승인됨에 따라 신남·북방 지역 집중 지원 ◈ 해외 초·중등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한 초·중급 교재 및 맞춤형 교재 개발 착수 ◈ 현지 유수대학 내 교원양성과정 개설 확대(14개 과정)로 우수 교원 확충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해외 초·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정규 외국어 과목으로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1년 해외 한국어교육 지원 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미국 현지학교에 한국어반이 최초로 개설(1999년) 된 이래, 우리나라의 국격..

◈ 독도·주변해역 환경 및 기후변화 대비 생태계 관리 ◈ 독도 거주·방문자 안전 제고 ◈독도 관광 활성화 및 독도체험·교육 확대 ◈독도 관련 정보 통합, 해양법 역량 강화 - 독도체험관 신축·개선, 독도지킴이 학교 등 체험 중심 「’21년도 독도 교육 기본계획」도 발표 1. 정부는 3월 5일(금) 14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4차 독도지속가능이용위원회를 개최했습니다. *독도의 지속가능이용과 관련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한 국무총리 소속 위원회로서, 위원장(국무총리)을 포함한 20명 이내의 정부‧민간위원으로 구성(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제7조) ※ 참석자 - 정부위원(10명) : 기재·교육‧외교·환경·해수부 장관, 문화재청장, 행안·산업부 차관, 국토부 2차관, 경북 ..

◈ 공정·투명한 대입전형 운영과 학생·학부모 입시부담 완화 기대 ◈ 중간평가 및 추가선정평가를 실시, 총 75개 내외 대학(약 559.4억 원)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3월 5일(금), 「2021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 기본계획」(이하 ‘지원 사업’)을 확정·발표하였다. 이번 지원 사업은 대입전형의 공정성을 높이고 학생과 학부모의 입시부담 완화에 초점을 두고, 지원 사업 내용과 지원 대학 선정방식(중간평가 및 추가선정평가) 등을 결정하였다. ▶ (목적) 대입전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형 과정의 공정성·투명성을 제고하고, 합리적으로 대입전형을 운영하여 교육과정에 충실한 고교교육 여건 조성 ▶ (규모) 559.4억 원, ..

◈ 시험 시행 2022년 11월 17일(목), 성적 통보 12월 9일(금) ◈ 2022학년도부터 변경되는 체제(국어, 수학 공통+선택 과목 구조, 제2외국어/한문 절대평가)동일 적용 교육부(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는 8월 27일(목)에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현재 고교 1학년학생들이 2022년에 응시할 시험으로, 국어, 수학 ‘공통+선택’ 과목 구조, 제2외국어/한문 절대평가 등 2022학년도부터 변경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체제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22년 11월 17일(목)에 시행되고, 성적은 2022년 12월 9일(금)에 통보된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은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

학교장 자체해결제 활성화와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의 교육적 역할 강화 피해학생 보호·치유 확대와 가해학생 교육·선도 조치 내실화 우범소년 송치제도, 촉법소년 연령 하향 등 중대 학교폭력 엄정 대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국무총리 주재 제15차 학교폭력대책위원회(붙임1)의 심의·의결을 거쳐, 1월 15일(수) ‘제4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20~’24)’(이하 4차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수립·시행하는 법정 계획 지난 ‘제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은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확산하고 학생안전 및 상담·지원 기반을 확충하여 학교폭력 예방과 대응을 위한 제반여건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 결과, 학교폭력에 대..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 기본계획(안) 발표 - 2020년9월~2027년 8월(7년간) 연간 4,080억 규모로 추진 - 사회 변화를 선도할 창의적·도전적 석·박사급 인재 연간 1만9천여 명 양성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12월 3일(화), 서울시립대학교 대강당에서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 기본계획(안)」을 발표하였다. 두뇌한국21(Brain Korea21, 이하 BK21) 사업은 학문후속세대가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석·박사급 인력양성사업으로, 1999년에 시작한 이후 1단계, 2단계를 거쳐 현재 3단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1단계(1999년~2005년) → 2단계(2006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