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길라잡이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15년 2차 개정 후 약 8년 만에 「산학협력 길라잡이」 개정·발간 연구기획·관리, 기술사업화·창업, 회계처리 등을 담아 산학협력 전반에 대한 대학 실무자의 전문성 향상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산학협력 전반에 대한 대학 현장의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2015년 2차 개정 후 약 8년 만에 「산학협력 길라잡이(산학협력단 업무매뉴얼)」를 개정·발간한다. 「산학협력 길라잡이」는 대학 산학협력단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교직원에게 연구관리, 지식재산권 관리, 회계·세무 등 전문 분야 관련 규정 및 지침의 이해와 적용을 돕기 위한 현장 업무안내서(매뉴얼)로, 총 두 권으로 구성되었다. 제1권 ‘산학협력단 운영 안내서’는 산학연협력 조직·운영, 연구기획과 관리..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길라잡이팀이 한글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면서 한글과 한글날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함께 문제를 풀어보며, 한글에 대한 정보도 얻고, 아름다운 우리말의 매력을 느껴볼까요? 한글에 대한 상식 문제 문제. 한글날은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다. 정답 : O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법률로써 지정한 날들로,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이 있습니다. 문제. 한글날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한 것은 우리나라가 광복되기 전에 일어난 일이다. 정답 : X ‘9월 상한’을 9월 상순의 끝날인 음력 9월 10일로 잡고, 그것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로 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문제. 한글은 세종대왕이 홀로 직접 만들었다. 정답..
청소년을 위한전공 길라잡이,한양대 전공알림단 ▲ 등촌고등학교에서 전공강연을 진행중인 한양대학교 전공알림단(사진출처: 직접촬영) 지난 10월 28일 오후 4시, 서울 등촌고등학교 1학년 교실은 정규수업이 마무리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의 열정으로 가득찼습니다. 옹기종기 모여 앉아있는 등촌고 학생들 그리고 한양대 대학생들. 이들은 무엇을 하고 있던 것일까요? 이 날은 바로 한양대학교 전공알림단에서 등촌고등학교로 전공 강연을 하러 온 날이었습니다. 이들의 정체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여러분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고자 이 기사에서 한양대학교 전공알림단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보다 풍성한 내용을 위해 전공알림단 담당자인 한양대학교 입학처 소속 이혜진 입학사정관님과 전공알림단 단장인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
얘들아, 토요일에 학교 놀러 가자!대학생들 열정으로 만들어가는 '함성소리 토요 프로그램'토요일이 지루하던 초등학생들, 다양한 체험 활동을 즐겨 토요일은 학교 안가는 날 아니였던가요? 2015년 4월 18일, 조용한 진주 서진초등학교에 학생들의 웃음소리가 들립니다. 바로 한국과학창의재단과 교육부가 주관하는 '함성소리 토요 프로그램'을 즐기는 초등학생들입니다. 2012년 3월 이후, 주 5일제가 전면 시행되면서 학생들은 토요일에 등교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시간을 보냅니다. 토요일을 지루하게 집에서 보내거나 학원에서 보내는 학생들을 위해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는 '함께 성장하는 우리들의 소중한 이야기'라는 의미의 '함성소리' 대학생 교육 기부단을 운영하여 초등학생들에게 다양한 체험 활동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목표를 중심으로 균형 있는 생활을~ 중1 학생을 위한 학교생활 길라잡이 공부법 I 길라잡이 I 나이스I 신입생 I 중학생 I 포트폴리오 I 학교생활 중학교 1학년을 마무리하고 새 학년이 되었습니다. 어느새 '신입생'이라는 단어보다 '중학교 2학년'이라는 단어가 저에게 더 익숙해졌습니다. 요즘 중학교 2학년에 올라오면서 "중1에 미리 알았더라면 더 충실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저에게 생겼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를 졸업한 '중학교 1학년'들은 중학교 생활에 대한 궁금증이 정말 많을 것입니다. 제가 1년 동안 시간을 쪼개서 공부한 경험담과 정보를 후배들과 나누어서 '든든한 선배'로 자리매김을 하고 싶습니다. 목표를 중심으로 균형 있는 생활을~ 저는 초등학교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