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대한독립만세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3월 1일, 그날의 함성을 잊지 않겠습니다. 독립을 위해 순국하신 분들을 기리며 태극기를 꼭 게양해 주세요! 🙏 #교육부 #1919년 #삼일절 #대한독립만세 #그날의함성

2020년 11월 3일, 제91주년 학생독립운동기념일입니다. 일제강점기에 학생들이 주도한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꼭 기억해주세요~ #교육부 #11월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 #대한독립만세 #기억해주세요 나주역 사건, 광주에서 시위 1929년 10월 30일, 나주역에서 한일학생 간 충돌이 발단이 되었습니다. 1929년 11월 3일, 광주의 학생들이 일본의 편파적인 수사와 식민지교육에 저항하는 대대적인 시위를 벌였습니다. 1920년대의 학생조직과 학생들의 주장 1920년대 후반, 교육시설 개설과 기회 확대, 식민지 노예교육 철폐를 외치는 학생의 동맹휴학이 빈번했으며, 학생들은 '독서회'등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전개와 확산, 전국적 독립운동 1929년 11월 12일 이후, 광주의 학생들의 반일시위가 전국적으로 ..

"대한독립만세!" 오늘은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에 알린 날입니다. 교육부는 3.1절을 맞이하여 숭고한 자주독립정신을 기립니다.

2월 14일, 무엇이 가장 생각나시나요? 소중한 사람들과 초콜릿을 나누며 축하하는 발렌타인데이가 생각나지는 않나요? 하지만 우리에게는 발렌타인데이보다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2월 14일은 우리나라의 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의 사형 선고일입니다.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해 암살하는 작전을 펼칩니다. * 이토 히로부미 : 일본 제국의 초대내각총리대신이며조선통감부의 통감 작전에 성공하고 안중근 의사는 러시아어로 "코레아 우라!" 라고 크게 외쳤습니다. 이 외침은 "대한독립만세"라는 뜻이었습니다.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 작전은 대한민국의 독립 의지를 널리 알리고, 후대 독립운동가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작전에는 성공했지..

오늘은 학생 독립투사를 기리는 '학생독립운동 기념일' 입니다. 간략히 그 유래와 변천사를 알아보며 학생들의 숭고한 정신을 되새겨보는 건 어떨까요? #교육부 #11월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 #학생항일운동 #대한독립만세

이틀 후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지 딱 100년이 되는 날입니다. 기억해야 하는 100년 전 그날. 각 지역의 다양한 전시와 행사에 참여하고, 대한민국을 지킨 이들의 뜻과 얼을 기리는 것은 어떨까요?
'제97주년 3·1절, 대한 독립 만세의 함성을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8월 15일은 제68주년 광복절이자 대한민국 정부 수립 65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입니다.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던 애국지사들의 모습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일본의 식민지였던 우리나라의 역사를 치욕스럽게 생각하지 말고 그것을 발판으로 더 열심히 사는 우리 국민들에 대한 이야기를 아이와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국기를 걸고 태극기를 바라보며 잠깐의 묵념시간과 광복의 기쁨과 가치에 대해 되새기며 하루를 시작하였습니다. 아이는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 독립만세'를 외치며 마음속 깊이 애국심이 서서히 자리 잡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이런 의미 있는 날을 기념하기 위해 대전 한밭 수목원으로 향했습니다. 매년 광복절이 되면 한밭 수목원에서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라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를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