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디지털교과서 (1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최근 교육현장의 트렌드는 비대면 강의입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안심하면서 어디서나 쉽게 들을 수 있는 장점 덕분에 많은 교육현장에서 비대면 강의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비대면 강의가 일상인 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꿈을 응원하는 특별한 교과서 소식들을 전달드리고자 하는데요. 저와 함께 디지털교과서와 현장 맞춤형 교과서에 대해 만나보시러 가실까요? "내 진로와 적성을 이끄는 교과서, 현장 맞춤형 교과서" 현장 맞춤형 내용을 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 교과서가 있다는 사실, 여러분들은 알고 계셨나요? 지난 2020년 3월, 현장 실무 중심의 학습 내용이 담겨있는 정부 부처 협업 교과서가 처음 개발되었는데요. 올해는 과기정통부, 외교부, 문체부, 해수부, 소방청, 농식품부로 총 6개의 정부 부처에..

4차산업혁명에 발맞추어 학교 교육에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ICT활용교육, STEAM교육 등 수업에서 변화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학교 수업뿐만 아니라 교과서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학교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교과서는 단순히 서책형 교과서를 인터넷으로 볼 수 있는 걸까요? 교과내용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접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실감형 콘텐츠, 평가 문항, 보충 및 심화학습 등 풍부한 학습자료와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이 추가되고 외부자료와 연계가 가능합니다. 에듀넷·티-클리어 회원으로 가입해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 14세 미만 ..

◈ 12월 11일(금), 디지털 교과서 관련 비대면 간담회(온라인 토크쇼) 개최 ◈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법 공유 ◈ 디지털교과서의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모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2월 11일(금),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방법을 공유하고 발전적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비대면 간담회(온라인 토크쇼)를 개최하였다. 사전 신청한 교원·학생·학부모 및 예비교사 등 200여 명이 실시간 화상을 통해 비대면 간담회에 참여하였다. 1부에서는 디지털교과서 내려 받기, 녹음, 외부자료 연결 등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디지털교과서의 다양한 활용 방법과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우수 수업 사례(경기 숲속초 등)를 공유하였고 2부에서는 디지털교과서의 변화 방향과 개선 사항을 논..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디지털교과서 국·검정 구분」 일부 수정 고시안 행정예고실시 ◈ 검정 전환되는 디지털교과서는 초등학교 3~6학년 사회・과학총 16책으로 2022년부터 학년군별로 단계적 적용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9월 11일(금)「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디지털교과서 국・검정 구분」(교육부 훈령)일부 수정 고시안을 행정예고했다. 현행 국정인 초등 3~6학년 사회・과학 디지털교과서를 검정으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과서 발행으로 경쟁을 통해 품질 향상 및 교사・학생의 선택권 보장을 도모하고자, 초등 국정도서 중에서 사회・과학 과목을 지난해부터검정으로 전환 결정함에 따른 것이다. 검정 전환 대상 디..

주요 교육 사이트 데이터 사용량을 차감하지 않는 조치를 올해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자세히보기 : https://bit.ly/3hiB9Uq [데이터요금 무상지원 연장 교육사이트] EBS www.ebs.co.kr 디지털교과서 www.webdt.edunet.net e학습터 www.cls.edunet.net 사이언스ALL www.scienceall.com 엔트리 www.playentry.org 커리어넷 www.career.go.kr 듀에이블 www.nise.go.kr 위두랑 rang.edunet.net
스마트 교육으로 학생들의 수업 흥미도가 쑥쑥!- 디지털 교과서, 학습 커뮤니티 등 다양한 스마트 교육의 모습 -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는 스마트 기기를 많이 사용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손바닥 만한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뉴스를 볼 수 있게 되었고, 실시간으로 친구들과 이야기도 나눌 수 있게 되었지요. 이러한 스마트한 시대에 교육 현장에서도 달라진 모습이 있다고 합니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수업시간을 더욱 다채롭게 만들어가고 있다는 서울 구일초등학교 4학년 7반 교실로 찾아가보았습니다. < 스마트 교육이란? > 다양하고 편리한 기기들이 만들어지면서 교육 또한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스마트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를 높일 수 있다는 점..
과학탐구앱(APP) :‘손바닥 과학탐구 안내서’, 대통령상 수상-「2014년 교육정보화종합시상식」개최 -교육부는 12월 10일(수) 더-케이 호텔(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학교장, 장학사, 교사, 학생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4년 교육정보화종합시상식」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행사는 교육정보화 관련 2개 대회(교육정보화연구대회, 디지털교과서 공모전)의 시상 및 작품 전시를 통해 우수 사례를 공유·확산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제8회 교육정보화연구대회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학교현장의 연구로 교수학습, 교육용소프트웨어, 사이버학습, 학교경영의 4개 분과로 운영되며,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예선을 거친 후 본선심사(한국교육학술정보원)를 통해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교육..
하루가 다르게 빠른 속도로 변해가는 세상은 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미래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교육제도뿐만 아니라 교육 기자재, 교육용 콘텐츠 등도 세상의 변화에 맞춰 첨단화, 전문화되어가고 있습니다. 미래 스마트 교육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고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그동안 많은 노력이 있었는데요, 이런 교육계의 노력과 성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제11회 대한민국 교육박람회가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습니다. 교육 기자재 박람회, 교육용 IT 콘텐츠 페어, 랭귀지월드, 문화예술·체육 교육박람회 등 4개 분야의 전시를 동시에 개최하여 교육의 현재와 미래 모습을 보여준 이번 박람회에는 총 130여 개의 교육 관련 업체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