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디지털교육혁신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S6j0/btsA7LUJbfw/1ZW6hKVc2nRAfroLDbWX81/img.jpg)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성과보고회 개최 마스터교원(846명), 리더교원(1,500명)의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 실천 사례 공유 및 2024년 현장 안착 방향 모색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성과보고회’(이하 성과보고회)를 12월 1일(금) 세종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호텔에서 개최한다. * AIEDAP(AI Education Alliance & Policy lab) : 아이에답, 미래교육과 디지털 교육 혁신으로 아이들의 미래 삶과 궁금증에 답한다. 아이에답(AIEDAP) 사업은 윤석열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인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의 일환으로 2025년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여 교원의 인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gLnC/btsy4sB6sdp/4N3lkqgCQmeoY1WNK9WwKk/img.jpg)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환경 조성 및 케이(K)-클라우드 활용 촉진 케이(K)-클라우드 협의체 교육 분과를 신설하여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에 적합한 개발도구, 기술지원, 인공지능 반도체 등 제공 추진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개발사의 클라우드 보안인증 부담 완화를 위해 보안인증 심사기간 단축 및 상담 지원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10월 24(화), 서울청사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과 케이(K)-클라우드 상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 케이(K)-클라우드 : 초고속・저전력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여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향상된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이번 업무협약은 다양한 클라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qQvg/btshBi46L8O/J2RcLYllm0klhGv6p1eUu1/img.png)
숫자로 보는 5월의 교육뉴스 ① 초등돌봄교실 대기인원 적극 해소 : bit.ly/3pLUG90 ② 8개 대학 기초과학 분야 연구 수행 예산 지원 : bit.ly/3VnVflf ③ 100명 현장교사, 수업혁신 위한 정책 제안 : bit.ly/3WlriCE ④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시범교육청 본격 운영 : bit.ly/42n39Oq ⑤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육' 확대 실시 : bit.ly/3VmY71z ⑥ 전국 직업계고 3학년 학생 대상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 지원 : bit.ly/3HA8oC2 #교육부 #5월 #교육뉴스 #초등돌봄교실 #LAMP #수업혁신 #디지털교육혁신 #안전체험교육 #직업계고 #직무교육지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BA7q/btsa44kHgLo/5byFIN2haxFXiCYgV5AEsk/img.jpg)
교육개혁은 시급성, 국민 공감도 등을 감안해 주요 3대 정책에 역량 집중 ‘2023 교육·인재정책 세미나(4.19.)’를 개최하여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교육개혁 핵심 정책과 인재양성 전략 논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4월 19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교육개혁 핵심 정책 및 국가 차원의 인재양성 전략을 논의하는 「2023 교육·인재정책 세미나」 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교육개혁 방향과 인재양성 전략을 수립·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변화를 반영하고, 전문가들과 함께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정책들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행사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정책의 시급성과 국민 공감도를 고려하여 교육부가 우선적으로 집중 추진해야 할 과제로서 △국가책임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