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리더연구자지원사업 (4)
교육부 공식 블로그
유전자가위로 생쥐의 특정 유전자를 없애다- 네이처 자매지 발표, "신약개발을 위한 유전자 기능연구 및 질환동물모델 개발 활용" -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가위 기술로 생쥐 유전자의 단백질 생성기능을 없애는데(knockout) 성공하여, 생체 내 유전자의 기능 연구나 질환동물모델 개발을 가속화하여 신약개발 및 질병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 유전자가위 기술이란?특정한 DNA 염기서열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단백질을 디자인하고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그 근간으로 합니다. 이렇게 생산된 단백질에 DNA를 절단할 수 있는 비특이적인 DNA 제한효소를 달아서 원하는 부위를 마음대로 자를 수 있는 특이적인 DNA 제한효소를 제작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연세대 이한웅 교수(53세)와 서울대 김진수 교수(4..
자폐증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및 발병원인 첫 발견- 세계 최고 Nature지 발표,“자폐증의 유전요인과 새로운 치료법 제시” -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의 유전적 요인과 발병원인을 규명하고, 약물 부작용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자폐 치료법을 제시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서울대 강봉균 교수(왼쪽), KAIST 김은준 교수(가운데) 및 연세대 이민구 교수(오른쪽)가 주도하고, 원혜정, 이혜련, 지헌영, 마원, 김재익 박사(이상 제1저자)와 KAIST 김대수 교수 및 경북대 배용철, 이경민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적연구)과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SRC)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전문지인 ‘네이처(Natur..
효과적인 뼈 조직 재생을 위한 기능성 3차원 지지체 개발 Acta Biomaterialia지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한 손상된 뼈 조직 재생 가능”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접착력과 코팅력이 뛰어난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손상된 뼈 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하는 ‘기능성 3차원 지지체’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생체소재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Acta Biomaterialia’지에 온라인으로(4월 2일자) 게재된 이번 연구는 포스텍 차형준 교수와 조동우 교수 및 가톨릭대학교 이종원 교수가 주도한 성과입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리더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손상된 뼈 조직을 재생하기 위해 3차원 지지체에 줄기세포를 표면..
극초단(1000조 분의 1초) 펄스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최첨단 광계측 원천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한 KAIST 기계공학과 김승우 교수(金承佑 54세)가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김승우 교수는 지난 20년간 KAIST에서 초정밀 광계측(超精密 光計測) 연구의 일환으로, ▲절대거리 측정 기술, ▲신개념 고안정도(高安定度) 레이저 광원, ▲플라즈모닉(Plasmonic) 나노광학과 같은 최첨단 광계측 원천기술 개발과 실용화에 꾸준히 매진해왔습니다. 김 교수는 1999년부터 9년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 창의적 연구’의 지원으로, 10-9 상대불확도 극초정밀 위치결정 계측 제어 기술을 연구하였고, 그 후 도약연구지원사업, 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