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방안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여러분들 중에 지금까지 비대면 수업을 하면서 대학 생활을 즐기지 못하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는 코로나19가 지속됨에 따라 교육격차와 교사와 학생과의 소통 문제, 사회적 발달 저하 문제 등 다양한 결손으로 인해 교육 회복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면서 등교 수업 확대를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등교 수업 확대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방역 진행 상황과 백신접종과 같은 여러 상황을 고려해서 방역 강화 조치를 마련하며 체계적으로 등교 수업 확대를 하고 있는데요. 대학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예외가 아니랍니다. 대학교도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수업 지속으로 대학생들의 학습결손 및 사회적..

◈ ‘학교운영위원회 학생대표 참여 법제화, 학생회 법제화’ 추진을 주제로 교육부와 강득구·박찬대·장경태 의원실 공동으로 열린 토론회 개최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유튜브 생중계, 온라인 참여자 의견 수렴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국회 교육위원회 강득구 의원실, 박찬대 의원실, 국토교통위원회 장경태 의원실과 함께 ‘학생의 학교운영 참여 확대’를 위한 공동 토론회를 6월 3일(목) 오후 2시에 한국교육시설안전원(서울 영등포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대한민국 교육자치 30주년’을 맞이하여 이번 토론회에는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국회 강득구 의원, 박찬대 의원을 비롯해 학생, 교원단체, 교육감, 청소년활동가 등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유튜브 채널을 ..

◈ 영재학교 지원 시 의약학계열 제재 방안에 대해 지원자, 보호자 서약 ◈ 의약학계열로의 진학을 희망하거나 지원하는 경우 진학지도 미실시, 교육비 및 장학금 환수 등 제재 전체 영재학교(8개교)는 이공계분야 우수 인재 양성이라는 학교 설립 목적을 달성하고, 영재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진학 지도를 강화하기 위해 ‘영재학교 학생 의약학계열 진학 제재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하여 2022학년도 입학전형 모집요강에 반영한다고 밝혔다. ※ 영재학교별 2022학년도 입학전형 모집요강 공고일 : ’21.4.30.(금) 또는 5.1.(토) 2022학년도 영재학교 입학전형에 응시를 희망하는 지원자 본인과 보호자는 응시원서에 명시된 제재 방안에 서약해야 원서접수가 가능하며, 제재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재학..

총 이수학점, 미이수[F학점] 등 마이스터고 학점제 적용 방안은 아직 결정된 바가 없습니다. 2019년 6월 10일 월요일 머니투데이에서 보도된 '"고교학점제"..."총이수 180학점·미이수 땐 F" 검토' 보도내용에 관련하여 알려드립니다. 동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20년 마이스터고(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에 우선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이수학점, 미이수(F학점) 적용 등에 대한 사항은 현재 개발 과정 중으로,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습니다. * ('20) 마이스터고 우선 도입 → ('22) 특성화고‧일반고 등 제도 부분 도입 → ('25) 고교학점제 본격 시행 마이스터고 도입 고교학점제 제도는 전문가 토론, 학교현장 의견수렴, 부내 토론 등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될 예정입..
- 14학년도 특성화고 모집정원의 10%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선발 - 특성화고 진학기회 확대를 위해 학급당 학생수 탄력적 운영 - 직업교육을 원하는 일반고 학생들에 대한 직업교육기회 확대 교육부(장관 서남수, ’13.7.26)는 특성화고 취업희망자 특별전형 등 소질과 적성, 취업의지를 갖춘 학생의 직업교육기회 확대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특성화고의 경우, 졸업 후 실제로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직업교육기회 확대를 위해 ‘14학년도 학생선발시 전체 모집인원의 10%(약 1만1천명)를「취업희망자 특별전형」으로 모집하고, 최근의 특성화고 입시경쟁률 상승을 고려하여 수요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입학정원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일반계고등학교에 진학하였으나 적성에 맞지 않아 진로를 변경하여 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