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교육비 (17)
교육부 공식 블로그

□ 2021년 사교육비 총액·참여율, 코로나19 이전(2019년) 수준 이상으로 반등 ㅇ (학교급별) 모든 학교급에서 2020년 대비 2021년 사교육비 증가 - 초등학교는 2020년 감소 후 2021년에 반등하여 2019년보다 높게 증가했고, 중․고등학교는 코로나19 상황에도 2020년과 2021년 지속 증가 ㅇ (교과별) 일반교과와 예체능 사교육비 모두 2020년 대비 2021년 증가 - 일반교과 중 국어, 사회/과학 사교육비의 2019년 대비 증가율이 크고, 예체능은 2020년 감소 후 2021년은 증가하여 2019년 수준으로 회귀 ※ 이상 학교급별/교과별 분석은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기준임 ㅇ 유료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 온라인 관련 참여유형의 사교육비 증가 □ 학교 일상회복을 통한 학습..

◈ 사교육 총액(↓11.8%)과 참여율(↓7.9%p) 전년 대비 감소 - 고등학교는 총액 및 참여율 1차 조사(3-5월) 감소, 2차 조사(7-9월) 증가 ◈ 초중고 학생 기초학력 지원 강화 및 고교 교육 내실화 지원 등 사교육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 강화 ◈ 잠재된 사교육 수요에 선제 대응하고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주요 교육정책 지속 추진 초중고사교육비조사는 사교육비 지출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교육정책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 본 내용은 통계청이 교육부와 공동으로 전국 초중고 약 3,000여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임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개요 o 주요 변경내용 - 연간추정: 연간화 미적용 - 대상기간: 연간 → 조사대상기간(3~5..

◈ 사교육 총액(↓11.8%)과 참여율(↓7.9%p) 전년 대비 감소 - 고등학교는 총액 및 참여율 1차 조사(3-5월) 감소, 2차 조사(7-9월) 증가 ◈ 초중고 학생 기초학력 지원 강화 및 고교 교육 내실화 지원 등 사교육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 강화 ◈ 잠재된 사교육 수요에 선제 대응하고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주요 교육정책 지속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020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특징과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3월 9일(화) 발표하였다. 이번 계획에는 2020년 사교육비조사 결과가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이 반영된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음을 고려하여, 코로나19 상황의 사교육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응방안과 함께 잠재된 사교육 수요에 대한 대응방안을 포함하였다..

2019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발표 ◈ 총 규모 약 21조원, 참여율 74.8%,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32.1만원 ◈ 초등학생 예체능, 돌봄 목적 사교육 수요 지속 ◈ 자사고‧특목고 진학을 희망할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많음 ◈ 고소득층일수록 사교육비 지출 및 참여율이 높음 ◈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지역 맞춤 대응 및 점검 강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통계청(통계청장 강신욱)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9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를 3월 10일(화)에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2019년 3~5월과 7~9월에 지출한 사교육비 및 관련 교육비를5~6월과 9~10월에 전국 초중고 3,002개교 학부모 8만여 명(학급 담임 및 방과후 교사 포함)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분석한 것..

주요 정책과제들을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고교학점제 추진 ✔️선거권 연령 확대에 따른 선거교육 지원 ✔️사교육비 경감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교육부 #시도교육청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신년간담회 #정책과제 #고교학점제 #선거교육 #사교육비 #지방교육재정
교육부는 ’14. 12. 18(목)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교육의 희망사다리 재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사교육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대책」을 수립․발표하였습니다. 오늘 발표된 대책은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이자,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세부 추진과제의 하나로 교육전문가와 다양한 학교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마련되었습니다. 금년초 발표된 사교육비․의식 결과(’14. 2월)에 따르면, 사교육비 총규모(18.6조원)와 참여율(68.8%)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으나, ’13년 1인당 사교육비는 23.9만원, 참여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34.7만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0.3만원, 0.7만원 상승했습니다. 사교육비의 현황과 발생 원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사교육비의 65%를 영어(6.3조원, 34%)와 수..
EBS 교재, 사회적 배려계층 학생들이 가장 먼저 받아 본다 - 금년 6월부터 EBS 교재 발간 즉시 사회적 배려학생들에게 무상 지원 - - 초·중·고 학생 23만 여명에게 EBS교재 92만부 지원 - 교육부(장관 서남수)와 한국교육방송공사(사장 신용섭)은 저소득층 자녀의 EBS 교재구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올해 초·중·고 학생 23만 여명에게 EBS교재 92만부(정가기준 69억원 상당)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교육부와 EBS는 금년 6월부터 사회적 배려계층 학생들이 EBS 교재가 발간됨과 동시에 교재를 받을 수 있도록 무상 배포시기를 개선할 방침임을 밝혔습니다. 그간 매년 2월초 EBS교재 무상 지원대상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3월 중순경부터 교재를 무상 지원하는 방식으로 인해 ..
2013년 사교육비‧의식조사 결과 발표 1. 사교육비 총규모 4년 연속 감소, 참여율 ․ 참여시간 6년 연속 하락세 ◦ ’13년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8조 6천억원으로 ’12년 19조원 대비 4,435억원(△2.3%) 감소하였음 ◦ 사교육 참여율은 68.8%로 전년 대비 0.6%p, 참여시간은 주당 5.9시간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여 ’07년 조사 이래 감소세 지속 2.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3천원 증가, 실질 사교육비는 6천원 감소 ◦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3.9만원으로 전년 대비 3천원(1.3%) 증가하였으나, 실질 사교육비는 21만원으로 전년 대비 6천원(△2.8%) 감소 ◦ 초등학교 23.2만원(5.9%), 중학교 26.7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