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순우리말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gv3n/btrN4PcK8ol/rb62tuWyKYrWMZn9gcq8w0/img.jpg)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길라잡이팀이 한글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면서 한글과 한글날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함께 문제를 풀어보며, 한글에 대한 정보도 얻고, 아름다운 우리말의 매력을 느껴볼까요? 한글에 대한 상식 문제 문제. 한글날은 5대 국경일 중 하나이다. 정답 : O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법률로써 지정한 날들로,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이 있습니다. 문제. 한글날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한 것은 우리나라가 광복되기 전에 일어난 일이다. 정답 : X ‘9월 상한’을 9월 상순의 끝날인 음력 9월 10일로 잡고, 그것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로 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문제. 한글은 세종대왕이 홀로 직접 만들었다. 정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8pT7/btqKwSis11l/yldkMI9QtpOdRuAzHOsqV0/img.png)
여러분~ 10월 9일은 한글날이에요! 오늘 만큼은 외국어, 외래어가 아닌 순 우리말을 사용해 보면 어떨까요? #한글날 #한글 #세종대왕 #순우리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FbOl/btqy0Fi10on/LI934seG7BhaeWfP9itgmk/img.png)
지난 10월 9일은 바로 한글날이었습니다.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한글날의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습니다.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어 한글 창제의 기쁨과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고 있죠.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말에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등등 다양한 말들이 섞여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한글날을 기념하여 순우리말로 자주 착각하는 외래어들을 다른 표현으로 바꿔보고, 가을과 관련된 순우리말들 또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0월 9일? 한글날! 순우리말로 착각했던 생활 속 외래어들 가을과 관련된 순우리말 카드뉴스 속 그림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어감도 아름답고 그 뜻도 정겨운 순우리말! 앞으로도 관심을 가지고 일상 속에서 조금이나마 순우리말을 쓰고자 한다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0fiG/btqyUKxlXy8/0EquPqyJrINEKVjuLKenn0/img.jpg)
오늘은 573돌 한글날이죠. 교과서에도 예쁘고 신기한 우리말 표현이 많아요! 교과서 소설 속 우리말 표현과 그 의미를 알려드립니다. 기억해두었다가 재밌는 표현은 한 번쯤 사용해보는 게 어떨까요~ >
교실에서 아이들의 말을 듣고 있으면 머리가 아플 때가 많습니다. 마냥 예쁘고 순수한 말만 사용할 것 같은 초등학생들도 어른들 못지않게 거친 언어를 사용하고 듣도 보도 못한 외국어와 줄임말, 비속어를 자주 사용합니다. 요즘 언어 파괴 현상이 심각하다고 하지요. 먼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중 외래어, 외국어, 한자어, 고유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유어는 옛날부터 사용하여 온 순우리말로 어버이, 하늘, 땅 등이 있습니다. 한자어는 한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말로 국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외래어는 본래 다른 나라의 말이지만 우리말처럼 쓰이는 말로 라디오, 버스, 빵 등이 있습니다. 외국어는 우리말로 바꾸어 쓸 수 있는 다른 나라의 말로 홈페이지, 네티즌 등이 있으며 필요 이상의 남용으로 아름다운 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