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에듀넷 (456)
교육부 공식 블로그
고구려를 이어받은 발해 ■ 고구려 장군의 아들 대조영, 고구려를 이어받는 나라 '발해'를 세우다.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중국 동북 지역을 중심으로 약 700년간 존속해온 고대국가입니다. 훌륭한 사냥, 기마기술을 바탕으로 동북아시아를 호령하였으나 서기 668년, 결국 당나라에 의해 무너지게 되었죠. 고구려의 멸망으로 인해 고구려 장수의 아들이었던 대조영은 아버지와 함께 당나라로 떠나야 했습니다. 당나라 땅 영주라는 곳에서 기회를 노리고 있던 대조영은 당나라와 돌궐이 싸우는 틈을 타서 조용히 고구려 유민들을 모으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당시 영주 땅에는 고구려인들이 그다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말갈족과도 힘을 합쳤습니다. 서둘러 무기를 모으고 병사들을 훈련시킨 대조영은 고구려가 멸망한 지 30년이 지난 698..
몽골의 침략과 고려의 저항 ■ 무신정권의 등장 무신정권은 1170년(명종 1년) 무신이었던 정중부의 난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당시 고려 사회는 문신 중심의 정치를 해 나가며 무신들을 푸대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고 일어난 무신정변은 고려 사회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무신정변 결과 고려사회는 새로 정권을 장악한 무신들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정권이 성립되게 됩니다. 무신정권은 약 백 년간 계속되었는데 무신들은 백성이나 나라 걱정보다는 본인들의 이익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권력을 독점하여 고려사회는 점점 어려워져 가게 되었습니다. ▲ 무신정권의 계보(출처: 에듀넷) ■ 약해진 고려의 국력, 몽골의 침략 몽골이 고려를 침략한 시기는 바로 고려시대 무신정권기였습니다. 만주지역..
스마트폰 화면은 어떻게나를 따라 움직일까요? ■ 나를 따라 움직이는 스마트폰 화면여러분은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요? 스마트폰을 기울였을 때, 내가 보고 있던 화면이 자동으로 회전되어 보여지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스마트폰을 왼쪽으로 기울였는지, 오른쪽으로 기울였는지에 따라 알아서 화면을 회전시켜 주는 스마트폰을 보면, ‘혹시 스마트폰이 나를 보고 있는 걸까?’라는 착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기술의 비밀은 무엇일까요? ▲ 방향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켜 주는 스마트폰(출처: 에듀넷) ■ 디지털 기기의 중력 센서(감지 장치) 사람이나 동물들은 몸속의 평형 감각 기관에서 중력을 감지하여 우리가 비틀거리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여 걸을 수 있도록 조절해 주는데, 이처럼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도 ..
왜 김치를 일반 냉장고에보관하면 시어버릴까? ■ 일반 냉장고와 김치냉장고는 무엇이 다를까? 냉장고가 없던 시절, 우리 조상들은 김치를 어떻게 보관했을까요? 김장철인 11월부터 다음 해인 2월까지 땅속의 온도는 0℃에서 -1℃ 사이로 김치의 유산균 발효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온도입니다. 이러한 온도를 활용하여 우리 조상들은 김치를 옹기에 담아 땅속에 묻어 보관하였습니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냉장고가 발명된 후, 김치를 땅속에 묻지 않고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었습니다. 일반 냉장고는 일정 기간 냉각을 반복하기 때문에 냉장고 안의 온도 차이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냉장고에 넣은 김치는 쉽게 건조해지고, 빨리 시어버렸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이 김치냉장고입니다. 김치냉장고는 어떻게 이러..
열대 지방에서는왜 비가 많이 내릴까? ■ 수증기를 다시 액체로? 건조대에 널어 놓은 빨래가 마르는 것은 빨래의 물이 증발하였기 때문이라는 것, 다들 알고 계시죠? 증발은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변화하는 현상인데요, 증발은 물의 표면에서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주변의 온도가 높거나 공기와 맞닿아 있는 부분이 넓을수록 잘 일어납니다. 증발된 물은 기체인 수증기로 공기 중에 머물게 됩니다. 공기 중의 기체 상태인 수증기를 다시 액체인 물로 돌아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시원한 얼음이 담긴 물 컵을 휴지 위에 올려놓고, 3분 정도 관찰해 봅시다. 3분 후에 바깥쪽에 액체 방울이 맺힌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물 컵 바깥쪽의 액체 방울은 어떤 물질이며, 어디로부터 온 것일까..
설거지하다 겹쳐진 그릇,어떻게 하면 빠질까? ■ 여름철 타이어 폭발의 원인 여러분들은 여름철 도로에서 갑자기 타이어가 폭발해 자동차가 멈춰선다거나 타이어 폭발로 자동차가 전복되는 등 타이어 폭발이 큰 사고로 이어진 이야기를 뉴스에서 본 경험이 있나요? 유독 여름철에 자동차 타이어의 폭발이 많이 일어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열 때문이랍니다. 여름철 타이어 안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여름철 타이어 폭발(출처: 에듀넷) 타이어를 채운 공기는 아주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름철 주행 전 타이어의 온도는 약 30도가 조금 넘어가는데, 시속 60km의 속도로 주행한 후에는 65도, 뜨거운 햇빛이 내리쬐는 날에 주행할 때에는 온도가 무려 100도까지 급격..
여보세요? 들리시나요?델린저 현상 ■ 델린저 현상 어느 날 갑자기 무선통신에 문제가 생긴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태양면의 폭발로 갑자기 많은 양의 전자기파가 방출되어 지구 전리층의 이온과 충돌하면서 전자의 밀도를 크게 증가시켜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단파무선통신이 끊어지는 전파 장애를 주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짧으면 몇 분에서 길면 수 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점차 회복합니다. 1935년 미국의 존 하워드 델린저가 통신 전파의 비정상적인 작동과 태양 흑점과의 관계를 밝혀내어 이를 ‘델린저 현상’이라고 부른답니다. ▲ 태양흑점 폭발로 인한 델린저 현상(출처: 에듀넷) 이러한 델린저 현상의 원인은 태양 표면의 흑점 주위에서 엄청난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쏟아내는 태양 플레어와 코로나 질량 방출 활동..
조상들은 어떻게혼례를 치렀을까요? ■ 우리 조상들의 여러 가지 결혼 풍습▲ 우리나라의 전통 혼례식을 치르는 현대인들의 모습(출처: 에듀넷) 우리는 흔히 ‘시집간다, 장가간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하는데요, 이것은 우리 조상들의 결혼 풍습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합니다. 여자가 남자의 집으로 들어가는 ‘시집간다’는 표현과 남자가 장인의 집으로 간다는 의미인 ‘장가간다’는 표현이 사용되었음을 미루어 볼 때, 결혼에 관한 다양한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삼국지]의 고구려 편에서 우리 고유의 결혼 풍습인 장가들기에 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혼인하는 경우, 구두로 미리 약속하면 여자 집에서 본채 뒤편에 작은 별채를 짓는데 그 집을 ‘사위집’이라 부른다.”이는 고구려의 독특한 혼인 풍습인 ‘서옥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