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의사항 (11)
교육부 공식 블로그

겨울철이면 엄마가 하는 건강과 안전에 대한 잔소리 레퍼토리가 있는데요. 올해는 코로나19로 한 가지 더 늘었다고 하는데, 함께 살펴보면서 어떤 점들을 유의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그리고 오늘은 부모님께 직접 유의하시라고 따뜻한 잔소리를 해보는건 어떨까요? 🙂 #겨울철 #안전수칙 #유의사항 #안전제일 #교육부 사회적 거리두기 지키고, 마스크 꼭 쓰고! ✔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하기 ✔ 마스크 꼭 착용하기 ✔ 주기적으로 환기하기 ✔ 개인 위생 신경쓰기 빙판길, 감기 조심! ✔ 보온 신경쓰기 ✔ 수분 충분히 섭취하기 ✔ 보행시 스마트폰 사용하지 않기 ✔ 주머니 손 넣지 않기 난방기구, 저온화상 조심 ✔ 저온화상 예방하기 ✔ 난방기구 화재 예방하기 겨울철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조심하기 ✔ 손 자주 씻기 ✔ 음식 익..

몇 번을 강조해도 중요한 수능 유의사항 총정리 zip으로 꽈악 모아 왔어요😃 다시 한 번 정독하고 유의사항 확인하세요. 코로나19로 인한 방역 수칙도 꼭 챙겨주시길 바랍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유의사항 #총정리 #교육부

◈ 예비소집일에 반드시 참석하여 수험표 수령 및 시험장 확인 ◈ 확진·격리 수험생은 교육청에 반드시 신고 ◈ 시험 당일 오전 6시 30분부터 출입 가능하고, 8시 10분까지 입실 완료 ◈ 수험생 마스크 의무 착용, 감독관의 신분 확인에 적극 협조 ◈ 시험장 반입금지 물품 및 휴대 가능 물품, 4교시 응시방법 숙지 ◈ 시험 전, 당일, 시험 후 방역 수칙 준수 철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에 수험생들이 원활하게 응시할 수 있도록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하였다. 올해는 방역 관리를 위해 새로운 준수 사항이 추가되었고, 필요한 경우 수험생이 직접 조치해야 하는 사항도 있으므로, 수험생들은 관련 내용을 명확히 숙지해야 한다. 수험생은 예비소집(12.2...

열심히 준비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장에서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유의사항 함께 살펴볼까요? ▶ 자세히보기 : https://bit.ly/32sgsA5 #수능 #수험생 #유의사항 #수험표필수 #신분증필수

올해 수능,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 예비소집일에 반드시 참석하여 수험표 수령 및 시험장 확인 - 시험장 반입금지 물품과 휴대가능 물품 사전 숙지 - 휴대폰, 스마트워치, 전자담배, 블루투스 이어폰 등 전자기기는 시험장에 가져가지 않도록 주의 - 통신·결제기능, 엘이디(LED) 등이 없는 아날로그시계만 허용 - 4교시 한국사영역 필수 및 탐구영역 선택과목 응시 방법 숙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11월 14일(목)에 실시될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하는 수험생들을 위한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하였다. 수험생 유의사항은 수능시험 전날(예비소집일, 11월 13일) 수험표와 함께 배포된다. 수험생들은 수능 당일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도록 배부 받은 수험생 유의사항을 사전에 명확히..

2020학년도 수능시험 부정행위 예방 안내 - 수험생, 4교시 선택과목 응시 방법 및 유의사항 반드시 숙지 - 통신·결제기능, 엘이디(LED) 등이 없는 아날로그 시계만 사용 가능 - 스마트워치, 전자담배, 블루투스 이어폰 등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 유의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올해 11월 14일(목)에 시행되는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부정행위 예방대책을 발표하였다. 작년 수능의 경우 293명의 학생들이 부정행위자로서 당해 시험이 무효 처리되었다. 특히, 탐구영역 선택과목 응시방법 위반(147명) 및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 소지(73명) 사례가 가장 많아, 휴대 가능 물품 및 선택과목 응시방법에 대한 수험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붙임1] 부정행위 유형 및..

폭염주의보가 내려지는 무더위가 찾아왔습니다. 더워지는 날씨와 여름 방학 시즌에 맞추어 물놀이를 계획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우리의 무더위를 날려주는 물놀이, 하지만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매년 빈번히 발생합니다. 출처: 행정안전부(2019), 여름철 물놀이 사망사고 연령대별 비율 더 심각한 문제는 위의 그림과 같이 10살 미만 사망자가 5.2%, 10살에서 19살 사망자가 29.1%로 어린이 혹은 청소년의 사고사가 34.3%나 된다는 것입니다. 물놀이 사고사의 3명 중 1명은 스무살 이전의 학생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호자의 동행과 보호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러한 학생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학생들 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물놀이 안전수칙 숙지는 매우 필수적입니다. 그렇다면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