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일상 (9)
교육부 공식 블로그

보건교사란, 보건교육, 학생·교직원의 건강관리 및 상담 등 학교 보건업무에 종사하는 교사입니다. 학생 안전을 위해 분주한 보건교사의 하루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카드뉴스로 만나보세요~! ▶ 브이로그 보러가기 : https://bit.ly/3oPikwa #슬기로운학교생활 #보건교사 #vlog #브이로그 #교육부 #코로나19 #포토툰 #일상

소규모 학교의 1학년 선생님의 일상은? 남학생 3명, 여학생 3명... 1학년 전체가 6명이라고요?? 거의 학생들과 엄마처럼 함께 해주는 선생님의 하루입니다! * 본 영상의 촬영일은 11월26일로 사회적거리두기 기준 1단계 당시 촬영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초등교사 #초등학교 #선생님 #브이로그 #일상 #vlog

잘 노는 아이가 행복하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와 잘 놀 수 있는지 부모님께 알려드리는 놀이 방법 꿀팁을 지금 바로 카드뉴스로 확인해보세요👀 아이와 함께 이렇게 놀아요! 행복한 아이, 잘 노는 아이 이런 고민을 하셨나요? "비싼 교구인데 왜 안가지고 놀지?" "자꾸 지적하게 되네, 어떻게 놀아줘야 하지?" "유치원 다니니까 따로 안 놀아줘도 되겠지?" 놀이는 왜 중요한가요? 1. 아이의 신체적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2.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3. 아이의 지적·정서적 발달 및 정신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4. 아이의 언어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부모님은 이런 역할을 해주세요~ 1. 자녀 놀이에 관심 갖고 지켜보기 2. 부모님이 직접 놀이에 참여하여 역할 맡기 3. 연..

여러분은 우리 주변에 역사유적지를 얼마나 알고 있나요? 일상에 가까이 스며들어, 그 의미를 지나치진 않았나요? 청명한 하늘과 함께 한껏 서늘해진 요즘, 교육부 서포터즈는 서울로 역사 탐방을 다녀왔습니다! 구 러시아 공사관부터 환구단, 중명전까지! 모두 대한민국 근현대사에 있어 중요한 장소들인데요. 여러분도 교육부 서포터즈 영상과 함께, 그 의미를 되새겨 보는 건 어떨까요? 평소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교육정책을 국민 눈높이에서 쉽고 재미있게 소개해 드릴 국민서포터즈, 앞으로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 https://www.youtube.com/watch?v=nQ1VGU4Gg_I&t=12s "멀리 갈 필요 없어요", 도심에서 체험하는 교과서 속 역사 탐방! 여러분은 우리 주변에 역사유적지를 얼..

평생학습, 삶의 가치를 더하다! 전 생애에 걸친 배움을 통한 새로운 인생 설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평생학습을 통해 끊임없는 도전으로 스스로 성장하는 당신의 배움을 응원합니다. ▶️ 자세히보기: https://bit.ly/2MCeWCV 2019 대한민국 평생학습대전 개최 2019 대한민국 평생학습대전 개최- ‘평생학습 삶의 가치를 더하다’를 주제로 평생학습 우수사례 공유- 대... blog.naver.com #교육부 #학습 #교육 #도전 #배움 #인생 #평생교육 #평생학습 #일상_속의_배움
슬픔에도 불구하고 학교로 돌아가야 한다. - 단원고등학교의 조속한 정상화를 바라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들의 바람 지금 대한민국은 슬픔, 그 자체입니다. 속속 발견되는 희생자들의 시신에 우리는 무력감과 분노를 느낍니다. 하지만 슬픔에 빠져만 있다면 우리는 또 다른 위험을 키우고 있을지 모릅니다. 단원고 2학년 학생들 중 생존자들은 살아있음에 기뻐하기보다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1, 3학년 학생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거리를 배회하고, 인터넷 공간을 헤매며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희생된 아이들을 위하여 눈물을 흘리는 어른들은 많았지만, 남겨진 아이들 곁에서 격려하고 너희들이 안전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하는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습니다. 이 아이들을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일각에서는 학교를 폐쇄하고, ..
가장 기억에 남는 하루는 언제인지? 추억이 담긴 공간은 어디인지? 일상 속의 이야기! 풍요로운 삶 속의 즐거운 인문학 인간에 대한 관심 I 무관심 I 즐거움 I 소설가 I 소소한 이야기 인문학에 대해 무관심한 현실 학교 캠퍼스를 거닐다 보면 신축 공사 중이거나 새로 지어진 예쁜 건물들이 있는 반면 보수 공사가 필요할 정도로 오래된 건물들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깨끗한 새 건물은 공과대학 건물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인문대학이나 사회과학 소속의 건물은 오래된 예전 건물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무래도 각 대학 측에서는 연구 실적과 같은 가시적이고 성과적인 측면을 고려하기 때문에 공과대학 측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앞서 이야기한 각 단과대학 소속의 건물의 차이도 편향된 투자와 관심의 차이를 바로 보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