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문대학 (62)
교육부 공식 블로그
「2014 한-독 직업교육 포럼」개최 - 전문대학 및 특성화고 직업교육 활성화 기대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기우)와 함께 ‘한-독 직업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한-독 직업교육 포럼」을 3월 7일(금) 오후 2시, 대구보건대학교에서 개최합니다. 직업교육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이번 포럼에서는 독일의 직업교육전문가를 초청하여 국내 직업교육전문가들과 함께 양국의 직업교육 정보를 공유하고, 양국의 직업교육이 나아갈 발전방향과 장기적 비전에 대해 논의합니다. 독일 직업교육전문가로 초청된 베아테 그뤠블링호프(Beate Groeblinghoff, 독일 함부르크 직업훈련원 연구원)가 독일의 이원식 직업교육제도(Dual Training)의 장점에 대해 소개한 내용은 다음과 ..
교육부 1주년, 지방대학과 전문대학을특성화시켜 나가고 있습니다아이디어 팩토리가 마음에 드신다면 구독+해 주세요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지정서 및 현판 수여식! -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교육성과 박람회 개최 - - WCC 21개 대학의 체험 및 공감의 장 열려 - 박람회 관련 세부정보는 공식 웹사이트(www.wcc.n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팩토리가 마음에 드신다면 구독+해 주세요
지방대학의 정의 및 범위는 무엇인지? 통상적으로 지방은 비수도권 지역을 의미하며, 비수도권 지역은「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아닌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방대학은 비수도권에 위치한 고등교육법 상의 학교(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등)를 의미합니다. 구분 수도권 지방 계 대학 수 72개교 (36%) 129개교 (64%) 201개교 대학생 수 822,369명 (37.1%) 1,395,911명 (62.9%) 2,218,280명 대학입학자 수 135,752명 (35.8%) 243,830명 (64.2%) 379,582명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2) 현재 지방대학이 위기가 맞는지? 교육 및 연구여건 등 여러 지표를 통해 지방대학이 현재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
전문대학을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집중 육성 핵심과제 주 요 특 징 목 표 특성화 전문대 100개교 ● 대학별․학과별 강점 분야에 대한 집중 투자를 통해 - 창조경제의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전문대학 특성화 지원 ● 특성화 모형 : 대학단위, 복합분야, 프로그램, 평생직업교육 ● 지식기반산업 및 창조경제의 핵심 산업인력 연간 15만명 양성 *총 100교 육성 (취업률 61% → 80% 이상) 수업연한 다양화 ● NCS 기반 및 산업수요에 따라 수업연한을 1~4년 까지 다양화 - 조기입직을 촉진하고 재직자 계속교육을 위한 선순환 직업교육 체제 확충 ● 지식기반산업에서 요구하는 핵심 전문 직업인 양성 체제 구축 산업기술 명장 대학원 ● 명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특수대학원 설치 - 숙련 기능인력․국제 올림픽 ..
전문대학 육성방안이 왜 필요한가요? 박근혜 정부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지식, 기술, 태도)를 도출하여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 및 현장성 높은 지역산업과 연계된 지식기반산업 및 창조경제의 핵심 전문직업인을 양성하고자, 이번「전문대학 육성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특성화 전문대학에는 어떻게 참여하고 어떤 유형이 있나요? 대학이 특성화 모형 4가지 중 대학의 강점과 특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1가지 모형을 선택하여 참여하시면 됩니다. 또한, 특성화 유형에는 대학단위, 복합분야, 프로그램, 평생직업교육 특성화의 4가지로 구분되며 참여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