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질의응답 (6)
교육부 공식 블로그

10월 25일부터 11월 10일까지 ‘찾아가는 학부모 정책설명회’ 권역별 개최 교육부가 직접 학부모에게 2028 대입개편 시안 설명 및 질의응답 유튜브 실시간 댓글을 활용해 온라인 질의응답 가능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10월 25일(수)부터 ‘찾아가는 학부모 정책설명회’를 권역별로 개최하여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이하 2028 대입개편 시안)에 대한 학부모의 궁금증을 해소한다. 지난 10월 10일에 발표한 2028 대입개편 시안은 국가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심층 논의 및 의견수렴을 거쳐 연내 확정할 계획이다. 다만, 최근 사교육업체를 중심으로 학부모 불안 심리를 자극하는 대입개편 관련 예측이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2028 대입개편 시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치료약을 복용했고 의심증상이 없는데 등교해도 되나요?" "해외여행을 다녀왔는데 등교 중지해야 하나요?" 알쏭달쏭 헷갈리는 코로나19 등교 관련 사항 Q&A로 알려드립니다.
「2015 개정교육과정」질의응답(Q&A) ■ 총론 Q&A1.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과 이번에 발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다른 교육과정인가요?그렇지 않습니다.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를 특징으로 표현한 것이며, 교육과정의 공식 명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입니다. 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무엇인가요?『2015 개정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이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우리 교육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하는 교육과정입니다. 기초 소양 함양을 위해『공통과목』을 도입하고 통합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통합사회』,『통합과학』..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질의 ‧ 응답 자료 (Q & A)Q.1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이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우리 교육을 근본적으로 개혁하고자 하는 교육과정입니다. Q.2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무엇인가요? 많이 가르치는 교육에서 배움을 즐기는 ‘행복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추구합니다.- 암기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배움에서 즐거움을 경험하는 가운데 지식 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을 위해 교..
[질의응답으로 살펴보는] 대학 구조개혁 추진 계획 1. 구조개혁으로 입학 정원이 감소함에 따라 대입 경쟁이 심화될 우려는 없는지? 학령인구 감소 및 고교졸업자의 대학진학률 추이 등을 고려하여 입학 정원을 축소할 계획이므로 전체 대학의 경쟁률은 큰 변화가 없을 것입니다. 또한, 단계적으로 입학정원을 감축할 계획이므로 입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구조개혁 방안의 취지에 따르면, 교육 여건이 우수한 대학의 정원 감축은 최소화될 것이므로, 경쟁이 심화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편, 구조개혁 과정에서 대학 간 경쟁을 통해 전체 대학의 교육 여건이 개선될 경우, 학생들이 특정 대학군을 지나치게 선호하여 경쟁률이 심화되는 문제도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동일한 기준으로..
Q 제2차 계획과 이번 제3차 계획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제2차 계획(‘08~’12)은 전체 초․중․고생 1%까지 영재교육기회 확대와 영재교육체제 확립에 초점을 두었었습니다. 이번 제3차 계획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 자산인 창의적 ․융합적 인재의 확보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잠재력 개발의 기회 확대를 통하여 국민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영재교육의 서비스의 내실화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Q 제3차 계획 시행으로 5년 후 달라지는 모습은? A 제3차 계획의 성공적인 시행으로 교사관찰추천제가 현장에 정착되어 영재교육과 관련한 불필요한 사교육 및 과열경쟁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울러, 잠재적 영재의 발굴이 확대되어 기존의 방식으로는 선발이 곤란했던 다문화학생 등 다양한 소외계층 영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