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천문대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cho/btqw7QtdYJG/eUKThCWTPkIVh3LXxwshwK/img.jpg)
무더운 열대야에 잠 못 드는 밤, 감성충만 별자리 여행을 떠나는 건 어떨까요? 재미있는 별자리 이야기와 전국 천문대 정보 보시고 가족, 친구들과 반짝이는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별자리 #별여행 #천문대 #반짝반짝_별자리 #어디_가면_볼수있지 #별관찰
왜 나라마다시간이 다를까? ■ 세계 여러 도시들의 시간이 다른 이유는?지난해 2014 브라질 월드컵에 출전한 우리나라 선수들을 응원해 보았나요? 브라질에서 한낮에 경기를 하고 있는 선수들을 보려면 우리는 새벽에 일어나야 했습니다. 브라질과 우리나라의 시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세계 여러 도시들의 시간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적으로 살펴본다면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입니다. 햇빛이 우리나라를 비추고 있을 때 지구 반대편 나라들은 깜깜한 밤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역에 따른 시간은 어느 기준에 맞추어 정해진 걸까요? ▲ 지구의 자전에 따른 밤과 낮의 변화(출처: 에듀넷) 세계지도나 지구본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로선과 세로선이 그어져 있습니다. 가로선은 위선이라 부르고 적도를 기준으로 얼마..
별자리의기원과 신화 ■ 별자리의 기원깜깜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은 신비로운 느낌을 주며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이지요. 오래 전에 우리 땅에 살고 있었던 사람들도 이 별을 보고 있었을 것이며 그들도 마찬가지였을 것입니다. 아니, 옛날 사람들은 지금보다 밤하늘을 더 많이, 더 자주 바라봤을 테니 더 많은 상상을 했을 것입니다. 시계나 달력, 나침반이 없었을 시기에는 별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연 지표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별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지요. 별을 보고 방향과 시간을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밤하늘의 별은 잘 알려진 바대로 북극성을 중심으로 원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별이 하루에 한 바퀴 도는 것으로 보일 뿐 별은 움직..
◆ 신나는 사이언스데이 과학체험전 높고 푸른 가을 하늘로 기분 좋은 주말, 10월 13일부터 14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 광장에서 개최된 ‘사이언스데이’ 창의체험전에 다녀왔습니다. 창의체험전에는 전국의 과학 선생님과 학생동아리, 연구원, 박물관, 천문대 및 전국과학관협회 회원기관, 국립중학과학관 창의과학교실 등이 참여하는 80여 개 과학체험부스와 과학 뮤지컬과 문화공연 등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첫날 아직 이른 시간이라 준비하는 사람들로 더욱 북적였는데요. 부스별 프로그램 안내 자료를 받아보니 암석, 화석 등 자연사 박물관 프로그램부터 과학음식, 기상·기후 등 과학 체험과 각 학교에서 준비한 흥미로운 체험 활동 등 매우 다양한 체험활동 종류가 있었습니다. [프로그램을 보시려면 더 보기 클릭하세요!] 자, 그럼 ..
세계자연 7대 경관으로 선정된 제주도에 볓빛누리 공원이 있다. 제주 별빛누리공원은 제주에서 야경이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한라산 자락에 소담스럽게 자리잡고 있는 마법의 성과 같은 곳이다. 별빛계단으로 이어진 구름다리를 지나가면 태양계 8개 행성이 광장을 수놓고 있고, 내부로 들어가면 4D 영상관, 천체를 바라볼 수 있는 투영실, 관측실이 우리들을 신나는 우주 체험공간으로 안내한다. 천문대의 중심에는 망원경이 있다?! 망원경이란 렌즈 또는 반사경을 여러개 조립하여 멀리있는 물체를 확대하여 확실하게 볼 수 있게 하는 광학기기이다. 천체 망원경은 가장 단순한 광학만으로도 그 특성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망원경을 처음 만든 것은 네달란드의 한스 리퍼셰이이다. 하지만 한스 리퍼셰이는 망원경으로 천체를 보지는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