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친구 (1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상담 전문가들, 학생 고민 해결 위해 사이버 상담자원봉사 시작- 학교폭력, 교우관계 등 학생 생활 고민 전반에 대해 사이버 상담으로 해결 도움 -- 2014년도 네이버 지식 iN 지식파트너 학교생활 컨설턴트 위촉식 및 협의회 개최 -전국의 상담전문가 40명이 학교폭력으로 고민하는 학생들을 돕기 위하여 사이버 상담 자원 봉사자로 나섭니다. 교육부(장관 서남수)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백순근)은 ’14. 7. 14(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14년도 교육부 학교생활 컨설턴트-네이버 지식 iN 지식파트너’ 위촉식을 갖고 학교폭력, 교우관계 등 학생생활 전반에대한 사이버 상담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위촉되는 40명의 학교생활 컨설턴트는 전국의 초‧중‧고교 및 교육지원청 Wee센터에 근무하는 교원 및 전문..
‘만나서 반갑습니다’ 나는 새 친구 만들기가 어려워요 새 학년 I 걱정 I 친구 I 이별 I 적응 I 고민 I 선생님 I 부모님 새 학년을 맞이하면서 학생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어려워진 공부? 새로운 선생님?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뜻밖에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1년 동안 함께 한 친구들과 헤어지고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고 지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로, 교우관계입니다. 특히 내성적인 학생이나 유독 친한 친구 몇 명과 어울려 지내던 학생은 새 학년이 다가오는 것을 무척 겁냅니다. 부모님은 보통 ‘우리 아이가 어서 새 학년에 적응해야 할 텐데’ 하고 포괄적인 걱정을 한다면 또래 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들은 ‘3월 첫날에 가면 누구랑 앉지?’하는 것이 큰 고민입니다. 학생들이 3월에 하게..
중학생이 되어서 달라졌다고 생각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우리도 어엿한 중학생이랍니다! 입학식 I 학번 I 교장 선생님 I 기쁨과 설렘 I 나의 꿈 발표 I 새로운 친구들과 새로운 선생님 오늘은 내 인생의 새로운 장이 펼쳐지는 날 따뜻한 봄이 온듯했으나 찾아온 꽃샘추위에 아직은 외투를 여미게 되는 3월 초, 전국의 중학교에서는 입학식이 열렸습니다. 교복 공동구매 추진으로 교복을 입지 않고 펼쳐진 입학식은 흔히 보아오던 입학식과는 조금 달랐지만, 새 출발에 대한 열기는 그 누구 못지않게 뜨거웠습니다. 입학식이 시작하려면 한 시간도 훨씬 넘게 남았는데 학생들이 벌써 입학식이 열릴 강당 주변으로 하나둘 모여들기 시작했습니다. '내 이름은 어디에 있을까?' 하고 명단에서 이름을 찾아보고 중학생 학번을 보며 중학생이..
‘유유상종’, ‘끼리끼리 논다.’는 말이 있습니다. 중고생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교실에서도 가만히 살펴보면 어떤 아이들끼리 친한지, 누가 영향력이 있는지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어울려 노는 친구들은 옷차림도 비슷하게 입고, 말투, 좋아하는 연예인, 같이 다니는 학원 등 많은 것을 공유합니다. 아이들에게 이러한 또래 집단은 매우 중요한데요. 아이들은 늘 고민거리로 꼽는 ‘성적’ 못지않게 가장 중요하고 큰 영향을 끼치는 존재를 바로 ‘친구’로 생각합니다. 근래에 학교에서는 집단 상담이라는 시간을 심심치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학교폭력예방 교육의 하나로 전문가의 지도로 시행되는 집단 상담은 바로 이러한 ‘친구’ 관계, ‘또래 집단’에서의 관계 회복이 아이들의 즐거운 학교생활과 학교폭력예방에 가장 중요한 요..
≪맹자≫의 상편에는 '호연지기(浩然之氣)'라는 말이 나옵니다. '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를 뜻하는 호연지기는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기르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호연지기는 일반적으로 많은 체험과 자유분방한 태도를 통해 기를 수 있다고 보고, 젊은 시절에 완성해야 할 요소라고 보기도 하지요.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해 대부분 학교에서는 현장체험학습, 야영 및 수련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야영 및 수련활동의 대표적인 기관이자 전라남도 야영 활동의 대표적인 장소인 [유달학생야영장]을 다녀왔습니다. ※[유달학생야영장]은 전라남도교육청 직속기관으로 야영프로그램에 관한 검증이 충분히 이루어진 곳입니다. 1997년 개장한 유달학생야영장은 115개교 11,933명(총 연인원 165,264명)이 야영교육활동을 수료..
청소년기에 어떤 경험을 하는가는 우리 인생에 큰 영향을 줍니다. 오늘은 연극 활동을 통해 삶의 경험을 쌓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바로 '제23회 대구 청소년 연극제'입니다. 이 연극제는 대구 지역의 9개 고등학교 연극팀(함지고, 대곡고, 다사고, 제일여자상업고, 혜화여고, 신명고, 도원고, 경북공고, 대구관광고)이 참가하여 그들의 꿈과 열정을 발산하는 귀중한 무대입니다. 청소년 연극은 극 자체의 완성도로 평가되기보다는 학생들이 연극 활동으로 쌓는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며, 그 과정에서 실생활에 대해 많이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활동입니다. 특히, 청소년 연극은 청소년들의 정서를 반영하거나, 청소년 문제를 다루어서 그들이 몰입할 수 있는 작품을 주로..
우리 반 아이는 경도의 정신지체를 가진 2학년 여학생입니다. 지능이 낮아 학습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일상생활하는 데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자신감이 부족하고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데에 어려움을 느낍니다. 같은 반 친구들도 우리 반 아이의 발음이 조금 어눌하고, 하는 행동이 친구들과 조금 다르다는 이유로 우리 반 아이를 멀리합니다. 그런 아이들의 모습을 본 특수교사인 저는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 우리 반 아이가 즐거운 학교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배려와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반아동의 생각과 마음을 변화시키기 위해 수업이 비는 시간을 이용하여 장애이해교육을 하였습니다. 아이들과 인사를 하고 네모의 꿈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수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네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