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교육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독일의 교육제도와 미디어 교육을 들여다보다 지난 5월 28일부터 7월 16일까지 노원정보도서관에서 독일 아카데미 강좌가 진행되었습니다. ‘독일의 주거문화와 복지제도’, ‘독일의 환경 정책과 정치 문화의 발전사’, ‘독일식 정당 제도와 정치 문화의 발전사’, ‘독일의 교육 제도와 일자리 문제’, ‘독일의 언론 정책과 미디어 교육’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5개 강의 중 독일의 교육제도와 미디어 교육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 독일은 어떤 나라?유럽 중부에 위치한 독일은 연방 정부와 16개의 주정부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입니다. 총인구는 약 8000만 명이며 총면적은 약 36만㎢으로 한반도의 1.5배 정도입니다. 독일은 경제 강국으로 알려진 나라답게 GDP(국내총생산)는 세계 ..
황우여 부총리, 대통령 중남미 순방 후속조치 이행을 위한중남미 교육외교 활동- 한국 교사의 첫 중남미 진출 및 유학생 교류 확대 등 교육 분야 교류 가속화 기대 -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7월 26일(일)부터 8월 2일(일)까지 브라질, 페루, 콜롬비아를 방문하여 교육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교사 파견 의향서 체결, 유학생 유치 등 교육협력 활동에 나섭니다. 이번 방문은 지난 4월 박근혜 대통령의 중남미 4개국 순방 후속조치로, 정상회담시 논의된 교육협력 방안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후속사업 협력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또한, 지난 5월 인천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세계교육포럼에서 논의된 한국 교원 및 교육전문가 파견 등 인적교류에 대해서도 구체화할 예정입니다. 황부총리는 브라질 자니니(Jani..
교장 선생님이 이메일을 자주 보내는 이유는? 미국에서 초등 학부모로 지내면서 가장 많이 받은 메일은 다름 아닌 교장선생님으로부터 발신된 메일입니다. 물론 학교에서 학생들을 통해 갖가지 안내문과 행사 일정을 보내고 숙제와 함께 전달사항도 보내는데요. 그럼에도 교장선생님이 자주 이메일을 보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부모가 직접 확인하는 이메일은 학교와의 소통 수단으로 주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학교 행사를 안내문으로 배부할뿐 아니라 교장 선생님이 직접 학부모 이메일로 보낸다. ■ “학교와의 소통, 이렇게 하니 참 좋네요!”자녀가 학교에서 배부해준 안내문을 바로 전달해주지 않거나 전달사항을 까맣게 잊기라도 하면 학부모는 학교 행사나 일정을 전혀 듣지 못하게 되는 일이 생깁니다. 직장 때문에 바쁜 학부모들은..
2015 세계교육포럼"교육을 통한 삶의 변화, 대한민국에서 시작합니다." 2015년 5월 19일부터 22일까지, 4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15 세계교육포럼'이 열리고 있습니다.UNESCO 195개 회원국 대표 등 1,500여명 참석하는 이번 행사는향후 15년간 세계가 공유할 새로운 교육목표 수립과 실천을 위한 실행계획 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캄보디아, 한국 사례가 교육정책에 방향이 돼황우여 부총리는 5월 20일 오후 세시 반에 세계교육포럼에 참석한 캄보디아 항 추온 나론 (Hang Chuon Naron) 교육청소년체육부장관을 만나 양국 간 교육 분야 협력을 확인하고 향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황부총리와 캄보디아 장관은 국가 발전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교사와 학생들의 인적 교류 확대에 노력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황부총리는 작년 12월에 체결한 교육협력 업무협약(MOU)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는데요. 교육자와 학생 교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양국의 교육협력을 확대해 갈 것을 제안했습니다. 항 캄보디아장관은 현재 캄보디아가 교사 양성과 교육 환경 조성 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한국의 교육 경험과 사례를 가장 참고..
2015 세계교육포럼을 통해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을 전 세계와 나눈다- 제6차 국제교육협력포럼 개최 -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백순근)은 내년 5월 개최될 예정인 2015 세계교육포럼*을 준비하면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제6차 국제교육협력포럼(’14.11.28,금)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유네스코의 주최 포럼으로, ’90년 출범한 모두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 EFA)의 지난 성과를 점검하고 ’15년 이후 ’30년까지 세계교육발전 아젠다를 설정 • 일시/장소 : 2015.5.19.(화)-22.(금) / 인천 송도 컨벤시아• 참가 규모 : 유네스코 회원국(195개 정회원국, 8개 준회원국) 장관급 대표, 유엔, 세계은행 등 국..
“한국의 교육을 본받아야 합니다!!”-Barack Obama- 우리나라는 교육을 통하여 큰 성장을 이룩한 대표적인 나라이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때문인지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의 교육에 대해 큰 관심이 있고, 한국의 교육 열기를 본받아야 한다고 예찬한 것은 이미 수차례이다. 재임 기간 내내 교육분야에 대한 발언에서 한국을 자주 언급해 왔다. 한국의 교육열기와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점을 본받고 싶다는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3월에 한국외국어 대학교에서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강연하였다. 역대 미국 대통령의 방한 중 이렇게 대학교에서 강의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왜 미국의 대통령이 한국까지 와서 이렇게 강연을 하였을까? 그것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교육에 대해 큰 관심이 있기에..
OECD, PISA에서 우수한 결과를 내는 국가의 교육정책 사례 비디오 소개하며 한국의 교육 소개! “한국, ICT를 활용하여 교육의 질 제고” OECD는 미국 비영리재단 피어슨 파운데이션(Pearson Foundation)과 공동으로, 국제학업성취도조사(PISA)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거나 성적이 많이 향상된 국가를 대상으로 그 국가의 특징적인 교육제도 및 정책을 소개하는 비디오 시리즈를 제작하여, 웹사이트에 게재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한국의 교육제도 및 정책이 소개되었습니다! PISA는 OECD에서 주관하는 국제학업성취도 조사로 매 3년마다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수학, 과학과목을 테스트하고(70여 개국 참가), 한국은 최근 실시된 2009년 PISA에서 읽기 2위, 수학 4위, 과학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