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호수 (5)
교육부 공식 블로그
극한 생물 ■ 극한 생물모든 생명체는 지구의 환경과 어우러져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구 환경은 대부분 생물이 살아가기에 적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가끔은 지구의 극단적인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생물들도 있습니다. 100℃ 이상의 뜨거운 물에서 사는 생물도 있고, 바닷물의 10배 이상의 염분 농도를 가진 곳에서 살아가는 생물도 있는가 하면, 방사능으로 오염된 지역에서 사는 생물들도 있습니다. 오늘날 극한 환경에 사는 생물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들에 대한 연구가 우주에 있을지 모를 생물체를 연구하는 출발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극한 환경에 사는 생물을 이해하는 건 우주의 극한 환경에 사는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 원리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그럼 지..
카스피 해,바다일까 호수일까 바다의 특성과 호수의 특성 모두 가진 카스피 해.이런 점 때문에 카스피 해 주변국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고 합니다.카스피 해 이야기, 카드뉴스로 살펴보겠습니다.
카스피 해 이야기 ■ 카스피 해는 바다일까, 호수일까? ▲카스피 해의 위치와 위성 사진(출처: 에듀넷) 중앙아시아의 카스피 해는 면적이 371,000 km2로서, 한반도 전체 면적의 2배나 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입니다. 바다라는 의미의 이름을 가진 카스피 ‘해(海)’가 호수라니 이해가 잘 안 되지요? 카스피 해는 5,000만~6,000만 년 전 대서양과 태평양에 연결되어 있었으며, 담수보다 염도가 높아 바다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로, 주변에서 강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어 호수와 유사한 생태계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호수의 특성도 가지고 있답니다. 우리에게는 그저 흥미로운 이야기일 뿐이지만 카스피 해 주변 국가들은 오랫동안 이 문제를 둘러싸고 열띤 논쟁을 벌이고..
목마른 하천, 말라가는 호수 물 부족 문제가 만드는 대표적인 문제가 사막화라고 해요. 우리나라도 중국의 사막화로 인해 봄철마다 황사로 피해를 보고 있는데요. 대체 사막화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또 얼마나 심각한지 함께 알아보아요. ■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바다는 지구 표면의 3/4을 덮고 있어요. 또 바닷물은 지구 물의 97.5%를 차지해요. 바닷물은 염화나트륨 등의 광물이 포함되어 있어 인간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답니다. 결국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구 물의 2.5%인데 그 중에서 68.7%는 극지방과 고산 지역에 있는 빙하와 만년설이에요. 지하수, 토양의 수분 등을 제외하고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하천과 담수호의 물은 0.3%에 불과해요. 지구 전체 물의 양으로 환산하면 지구 전체 ..
‘돈을 물 쓰듯이 한다’라는 말은 낭비 벽이 심한 사람의 소비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며, 동시에 물은 매우 흔한 재원이라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요즈음 같이 물이 소중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물을 돈 쓰듯이 아껴가며 절약을 해서 사용을 하는 것이 좋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물 소비량은 약 400 리터 정도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는 미래에 물 부족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예측은 벌써 오랜 전부터 있어 왔다. 격렬한 운동 후 갈증을 느낄 때 마시는 한 잔의 물, 몸을 청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물, 불을 끄기 위한 물, 매우 유용하고 다양하게 이용되는 우리 주변에 있는 물은 물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다. 화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물 분자는 산소원자 1개와 수소원자 2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