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환경문제 (8)
교육부 공식 블로그

지구온난화로 인해 식목일을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지금, 학생들에게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알려주고 탄소 중립 생활 실천 방법을 알려 줄 필요가 있습니다. 환경교육의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는 '학교환경교육정보센터'를 함께 알아볼까요? ▼학교환경교육정보센터 바로가기 ▼ https://www.seeic.kr/ www.seeic.kr 학교환경교육정보센터 프로그램 소개 유치원, 초 · 중 · 고, 특수학교용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진 환경 교육자료 제공 예 ) 탄소중립 체험활동 사례, 학습 동영상, 플라스틱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활동지 등 학습 활동지 제공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 탄소 중립 활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기후 · 환경교육 자료 제공 탄소발자국 모니..

9월 7일은 대기환경의 중요성과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지정된 ‘푸른 하늘의 날’입니다. 지난 2019년 9월 유엔총회 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가 ‘푸른 하늘의 날’을 최초로 제안하였고, 그해 12월 제74차 유엔총회에서 ‘푸른 하늘을 위한 세계 청정 대기의 날(International Day of Clean Air for blue skies)’ 지정을 채택했습니다. ▼ UNEP ‘푸른 하늘의 날’ 소개 누리집 ▼ https://www.cleanairblueskies.org/ 유엔환경계획(UNEP)은 올해 “Let’s act together for the air we share (우리가 공유하는 공기를 위해 함께 행동하자).”라는 표어와 함께 ‘푸른 하늘의 날’을 기념합니다. 우리가 공유..

환경문제 인식과 환경 보존 실천을 위해 필수적인 학교에서의 환경, 생태 교육! 섬마을학교에서는 텃밭 가꾸기를 통해 아이들이 자연을 체험하는 생태교육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자연을 즐기고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는 아이들의 모습, 누리울림의 청춘교사둘 팀이 기록한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볼까요? 모종 심기 - 따스한 햇볕, 바람 소리, 흙 그리고 모종 심기를 통해 학생들이 자연을 오감으로 받아들이는 활동 주인이 되어 정성껏 식물 가꾸기 - 자라난 식물들을 보고 자연의 경이를 느끼며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살아있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되는 활동 텃밭 작물 수확 - 끊임없는 노력으로 키운 소중한 결실로서 자연이 준 선물을 수확 - 자연의 존재만으로도 가치 있는 것을 느끼는 활동 지속가능한 생태전환교육 - ..

◈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직업계고 학생들을 지원하고, 졸업 이후 사회진출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직업계고 지원 및 취업 활성화 방안」 논의 ◈ 환경시민이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환경교육을 활성화하는 「녹색전환 촉진을 위한 국민환경역량 제고방안」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5월 22일(금),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겸 제3차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 연석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지고 있는 일상을 ‘포스트 코로나(Post-COVID19)’라고 부르며 주목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교육·환경 분야의 안건을 바탕으로 ‘더 나은 미래란 무엇인가?’에 대한 사회부처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제1호 안건으로「직업계고 지원 및 취업 ..
[해외 과학기술 현장을 가다!] 2.‘미국 항공우주국 고다드 스페이스 센터’ 며칠 전, 미국 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의 화성탐사로봇인 ‘큐리오시티’가 화성 표면에 착륙해서 촬영한 생생한 화성의 사진이 국내외 언론에 소개되면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그래서 이번 기사에서는 해외과학기술 현장 탐방 두 번째로,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우주탐사·연구의 최전선인 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센터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미 동부 메릴랜드주 그린벨트에 위치한 고다드 우주비행센터(GSFC, Goddard Space Flight Center)는 1959년 설립된 미국 최초의 우주센터로 NASA의 주요 10개 연구센터 중의 하나입니다. 센터의 이름..
쓰레기 소각장과 타워/신재생에너지 홍보관/곤충생태 체험관 서울 인근의 구리시에는 전 세계가 배우러 오는 최첨단 모범적 자원 회수 시설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이곳은 쓰레기 처리, 에너지 절약과 개발, 환경을 두루 생각하게 하는 교육과 홍보 기능도 지니고 있습니다. 1. 쓰레기 소각장과 문화 예술 공간 타워 외곽순환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서울을 벗어나면 토평 IC 근처에 구리타워가 보입니다. 세계에서 몇 번째로 높은 건물은 아니지만 둘째 가라면 서러울 아이디어 건물입니다. 바로 이곳이 쓰레기 소각장 굴뚝이라는 점. 타워 꼭대기에는 전망대, 회전식 레스토랑, 그리고 전시회가 열리는 문화 예술 공간이라는 사실이 놀랍지 않으신가요? 쓰레기 처리 시설이라 하면 이내 지독한 냄새와 하늘을 뒤덮은 먼지를 떠올리..
환경문제, 어떻게 사람들의 공감을 얻지? 심리학이 기후변화 문제 해결하는 방법 250만원의 복권과 410만원의 복권, 이 두 가지 중 무엇을 원할까? 당연히 돈이 더 많은 410만원의 복권일 것이다. 그런데 만약 이런 경우라면 어떨까? 지금 당장 250만원 복권에 당첨되는 것과 1년 있다가 410만원의 복권에 당첨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라면 말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은 어떤 선택을 할까? 최근 미 컬럼비아 대학 심리학과 엘케 웨버(Elke Weber) 교수 연구팀은 사람들에게 이와 같은 질문을 던졌다. 그러자 대다수 사람들은 지금 당장 250만원의 복권에 당첨되는 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려 160만원이나 차이가 나는데도 왜 사람들은 후자를 버리고 전자를 선택하는 걸까? 1년 후 ..